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마트 팜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Rogers의 혁신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Focusing on the Rogers’ Innovation Process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1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는 스마트 팜 정책의 시기...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는 스마트 팜 정책의 시기별 주요 사건의 특징과 정책 산출물을 분석한다. 특히 Rogers의 혁신과정 모형을 토대로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분석하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4년 정보통신부의 u-Farm사업부터 부처 간 협력하여 스마트 팜R&D 사업을 추진하는 ‘스마트 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통과 시점인 2019년 10월 28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스마트 팜 정책과정은 의제설정기, 시범협력기, 농정편입기, 스마트팜 개발·확산기, 스마트농업 추진기의 다섯 기간으로 구분된다. 스마트 팜 정책은 이행 과정에서 농업정책으로서의 정체성이 확립되지만, 농업인들의 혁신 저항이 가장 큰 장애물로 나타난다. 따라서 스마트 팜 정책의 안착을 위해서는 농업인의 농업혁신에 대한 합의도출이 필수적이고, 이들이 혁신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격차가 소득격차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디지털포용의 관점에서 농업인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farm policy. To this end,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by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outputs of major events in the policy pr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farm policy. To this end,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by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outputs of major events in the policy process a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analyzed based on Rogers' innovation proces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the agenda-setting period, the pilot cooperation period, the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tegration period, the smart farm development and spread period, and the smart agriculture promotion period. The smart farm policy establishes its identity as an agricultural policy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ut the farmers' resistance to innovation appears to be the biggest obstacle. Therefore, for the settlement of smart farm policy, it is essential for farmers to reach a consensus on agricultural innov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innovation process should be expanded. Also, considering that the digital divide can be a cause of income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farmer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i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