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응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및 스트레스 =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related to CPR performanceof emergency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3257

      • 저자
      • 발행사항

        창원 : 창원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창원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전공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61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창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보현
        참고문헌 : p.42-4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응급실과 내과계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150명을 표집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불충분한 응답이 있는 질문지는 제외한 14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은 조희연(2008)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2011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태도는 박세훈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스트레스는 cole 등(2001)이 개발하여 차동희(2013)가 번역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월 20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고 수집 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검정 t-test,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

      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응급실과 내과계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150명을 표집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불충분한 응답이 있는 질문지는 제외한 14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은 조희연(2008)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2011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태도는 박세훈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스트레스는 cole 등(2001)이 개발하여 차동희(2013)가 번역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월 20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고 수집 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검정 t-test,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levels related to CPR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ata from 146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 emergency rooms and internal medicine wards in the Gyeongnam area were collected,
      Knowledge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 revised version by Cho (2008) reflecting 2011 Korean CPR guidelines. Attitude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Park (2006). Stres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ole (2001) and translated by Cha (2014).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th to February 29th, 201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levels related to CPR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ata from 146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 emergency rooms and internal medicine 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levels related to CPR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ata from 146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 emergency rooms and internal medicine wards in the Gyeongnam area were collected,
      Knowledge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 revised version by Cho (2008) reflecting 2011 Korean CPR guidelines. Attitude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Park (2006). Stres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ole (2001) and translated by Cha (2014).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th to February 29th, 201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 정의 4
      • Ⅱ. 문헌 고찰 7
      • 1.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및 태도 7
      • 2.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스트레스 10
      • Ⅲ. 연구 방법 13
      • 1. 연구 설계 13
      • 2. 연구 대상 13
      • 3. 연구 도구 13
      • 4. 자료 수집 15
      • 5. 자료 분석 16
      • 6. 연구의 제한점 16
      • Ⅳ. 연구 결과 17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심폐소생술 경험관련 특성 17
      • 2.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21
      • 3.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관계 31
      • Ⅴ. 논의 33
      • Ⅵ. 결론 및 제언 39
      • 1.결론 39
      • 2.제언 41
      • 참고문헌 42
      • 부록 46
      • Abstract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