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
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응급실과 내과계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150명을 표집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불충분한 응답이 있는 질문지는 제외한 14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은 조희연(2008)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2011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태도는 박세훈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스트레스는 cole 등(2001)이 개발하여 차동희(2013)가 번역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월 20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고 수집 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검정 t-test,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levels related to CPR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ata from 146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 emergency rooms and internal medicine 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levels related to CPR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ata from 146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 emergency rooms and internal medicine wards in the Gyeongnam area were collected,
Knowledge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 revised version by Cho (2008) reflecting 2011 Korean CPR guidelines. Attitude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Park (2006). Stres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ole (2001) and translated by Cha (2014).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th to February 29th, 201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