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레몬그라스 식초의 초산발효 특성과 항산화 활성 =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mongrass vineg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8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레몬그라스를 활용한 식초의 초산발효 특성과 품질특성 그리고 항산활 활성을 알아보았다. 레몬그라스를 고두밥대비 5% 첨가한 현미주정을 제조한 결과 알코...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레몬그라스를 활용한 식초의 초산발효 특성과 품질특성 그리고 항산활 활성을 알아보았다. 레몬그라스를 고두밥대비 5% 첨가한 현미주정을 제조한 결과 알코올 함량이 7.2%였다. 여기에 초산균인 Acetobacter sp. RIC-V 종초를 10% 가하여 초산발효하여 레몬그라스 식초를 제조하였다. 초산발효 결과 pH가 3.62에서 3.13으로 낮아졌으며, 총산도는 1.43%에서 7.21%로 증가하였다. 레몬그라스 식초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가 0.81 g/100 g으로 나타났고, glucose, sucrose,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분석결과는 acetic acid가 3,658.58 mg%로 가장 높았으며, citric acid, lactic acid가 각각 214.66 mg%, 159.44 mg%로 나타났고, malic aicd, tartaric acid, oxalic acid 모두 소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glutamic acid가 0.233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histidine, alanine, proline, aspartic acid이 각각 0.129 g/100 g, 0.113 g/100 g, 0.103 g/100 g, 0.069 g/100 g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식초와 레몬그라스 무첨가 식초가 각각 $568.6{\mu}g\;GAE/mL$, $490.9{\mu}g\;GAE/mL$이며, 레몬그라스 식초에 레몬그라스 분말과 추출물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아져 레몬그라스 분말 5% 첨가군이 $895.7{\mu}g\;GAE/mL$로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레몬그라스 식초와 레몬그라스 무첨가 식초 2.5%농도에서 각각 58.0 43.2%로 분석되었으며, 이 또한 레몬그라스 분말과 추출물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아져 레몬그라스 분말 5% 첨가군이 91.0%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결과 레몬그라스 식초는 총산도 7.21로 높고,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이 우수하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품질의 기능성 식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by addition of lemon grass to develop high quality vinegar by using lemongreass. Traditional brown rice wine contained 5% lemongrass powder and had an alco...

      This study investigated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by addition of lemon grass to develop high quality vinegar by using lemongreass. Traditional brown rice wine contained 5% lemongrass powder and had an alcohol content of 7.2%. The wine was fermented by Acetobacter. sp. RIC-V and made into lemongrass vinegar (LV). The pH and total acidity of the LV were 3.13% and 7.21%, respectively. Fructose was detected whereas glucose, sucrose, and maltose were not detected. Among organic acids, acetic acid was highest at 3658.6 mg%; trace amounts of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and oxalic aicd were detected. Of the 17 free amino acids, glutamic acid, histidine, alanine, and proline were mainly detected. To conduc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 and 5% lemongrass powder (P3LV, P5LV) and 1%, 2%, and 3% of lemongrass extract (E1LV, E2LV, E3LV) were added to LV,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increased as the added lemongrass powder and extract increased. Total phenolics were 490.9, 559.4, and $895.7{\mu}g$ gallic acid equivalents/mL in brown rice vinegar, LV, P5LV.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43.2%, 58.0%, and 91.0% in brown rice vinegar, LV, P5LV,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lemongrass vinegar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high quality functional vinegar with antioxidative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혜진, "흑마늘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2 (32): 16-26, 2016

      2 최명효, "흑마늘 첨가 형태에 따른 식초의 품질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179-190, 2016

      3 황지영, "홍국발효 콩 함유 현미 식초의 Tyrosinase와 Elastase의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5 (45): 149-154, 2016

      4 최승권, "팽화미와 레몬밤을 이용한 허브식초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미란,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 한국유화학회 34 (34): 189-202, 2017

      6 고유진, "주박추출물을 첨가한 사과식초의 최적 발효 조건"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193-200, 2016

      7 김용두, "유자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배양조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357-362, 2006

      8 모혜원,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441-449, 2013

      9 정은정, "양파식초의 발효제조 및 제품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9 (29): 962-970, 2016

      10 조덕조, "시판 고산도 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204-1210, 2013

      1 심혜진, "흑마늘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2 (32): 16-26, 2016

      2 최명효, "흑마늘 첨가 형태에 따른 식초의 품질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179-190, 2016

      3 황지영, "홍국발효 콩 함유 현미 식초의 Tyrosinase와 Elastase의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5 (45): 149-154, 2016

      4 최승권, "팽화미와 레몬밤을 이용한 허브식초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미란,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 한국유화학회 34 (34): 189-202, 2017

      6 고유진, "주박추출물을 첨가한 사과식초의 최적 발효 조건"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193-200, 2016

      7 김용두, "유자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배양조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357-362, 2006

      8 모혜원,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441-449, 2013

      9 정은정, "양파식초의 발효제조 및 제품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9 (29): 962-970, 2016

      10 조덕조, "시판 고산도 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204-1210, 2013

      11 홍성민, "복분자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 및 그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594-603, 2012

      12 조계만, "보리수 열매 식초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함량 및 생리활성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125-133, 2017

      13 박연옥, "배를 이용한 발효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778-787, 2016

      14 주경호, "발효 현미식초의 발효방법 및 원료함량에 따른 품질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33-39, 2009

      15 류충호, "매실식초의 최적 발효조건 설정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361-365, 2007

      16 주탁, "레몬그라스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8 (48): 347-353, 2016

      17 이정화, "레몬그라스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8 (28): 794-801, 2015

      18 이수원, "누룩첨가량 및 배양방법을 달리한 현미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6-32, 2011

      19 채인경, "국내 시판되는 허브류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11-1417, 2010

      20 장세영, "교반 및 정치배양에 따른 사과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08-312, 2010

      21 이미란, "감귤 미숙과 식초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250-257, 2014

      22 Krotz F, "Reactive oxygen species : players in the platelet game" 24 : 1988-1996, 2004

      23 Morrell CN, "Reactive oxygen species : finding the right balance" 103 : 571-572, 2017

      24 Hong KP, "Inhibitory effects of fatty acids, polyphenols and organic acids on the glucoamylase activity" Korea University 2015

      25 Velluti A, "Inhibitory effect of cinnamon, clove, lemongrass, oregano and palmarose essential oils on growth and fumonisin B1 production by Fusarium proliferatum in maize grain" 89 : 145-154, 2003

      26 Seerama NP, "In vitro antiproliferative, apopto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nicalagin, ellagic acid and a total pomegranate tannin extract are enhanced in combination with other polyphenols as found in pomegranate juice" 16 : 360-367, 2005

      27 Budak NH, "Functional properties of vinegar" 79 : 757-764, 2014

      28 Cheel J, "Free radical scavengers and antioxidants from lemongrass(Cnmbopogon citratus(DC. )Stapf. )" 53 : 2511-2517, 2005

      29 Rice-Evans CA,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2 : 639-738, 1997

      30 Xu Q,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melanoidins" 102 : 841-849, 2007

      31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2 Tzortzakis NG, "Antifungal activity of lemongrass(Cympopogon citratus L. )essential oil against key postharvest pathogens" 8 : 253-258, 2007

      33 Zhang Q,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18 : 445-450, 2006

      34 신진숙, "2단계 발효에 의한 양파식초의 성분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079-1094, 2002

      35 성나혜, "2단계 발효에 의한 고산도 사과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877-88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 1.63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