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과 경비 상호간의 협력은 치안인프라 증진을 도모하는 첩경이다. 다만 양자의 협력은 공동모색과 동시에 규제도 수반되기 때문에상호간의 균형유지를 고려할 필요하다. 그런데 근래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39131
2017
-
350
KCI등재
학술저널
79-108(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찰과 경비 상호간의 협력은 치안인프라 증진을 도모하는 첩경이다. 다만 양자의 협력은 공동모색과 동시에 규제도 수반되기 때문에상호간의 균형유지를 고려할 필요하다. 그런데 근래 경...
경찰과 경비 상호간의 협력은 치안인프라 증진을 도모하는 첩경이다. 다만 양자의 협력은 공동모색과 동시에 규제도 수반되기 때문에상호간의 균형유지를 고려할 필요하다. 그런데 근래 경비업법의 개정으로 규제자로서의 경찰과 피규제자로서의 경비업 상호간에 규제적 긴장수준이 증가되어 왔다. 이러한 상태는 경비업에 긍정적인 기능 마저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따라서 상호 협력을 위한 효율적 규제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치안강화를 위해 종요로운 논의라 할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비업자와 경비지도사의 경찰 지도감독에 대한 지각수준의 차이를 파악ㆍ조사함으로써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경비업자ㆍ경비지도사ㆍ경비업 담당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찰 지도감독의 내용과 형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업자와 경비지도사는 경찰공무원의 경비업무 민원대응성에 만족 이상으로 82.2% 응답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경비지도사가 경비업자에 비하여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비업자와 경비지도사는 경찰공무원의 전문성은 “전문적”이상으로 73.5%가 응답했지만 경비지도사는 경비업자에 비하여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게인식하였다. 셋째, 경비업자와 경비지도사는 경찰관의 협력체계를 양호이상에 69.3%가 응답했고 경비지도사가가 경비업자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게 지각하였다. 넷째, 경찰관의 경비업 지도점검 시 경찰관의 언행ㆍ태도에 대한 경비원관리자의 만족도는 응답자의 85.%가 “만족”이상으로 응답하였다. 경비지도사의 만족수준이 경비업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다섯째, 경비업을 담당하는 경찰관의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전문성에 대한 자가평가 결과는 “전문적” 이상의 응답이 66.4%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보통(31.2%), 비전문적(2.4%)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담당 경찰관의 경비업 지도점검 시 언행태도에 대한 자가평가
에 대해서는 63.3%가 만족이상으로, 나머지는 보통(36%), 불만족 이하(0.8%)로 응답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the security increases the level of security. Cooperation is mean that co-production and efficient regulation of security.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Act”, there has been a higher ten...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the security increases the level of security. Cooperation is mean that co-production and efficient regulation of security.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Act”, there
has been a higher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 force and security industry. This situation can reduce the positive function of the security industry as a security supplement. Therefore, effective regulation for mutual
cooperation is an important point for strengthening sec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ivate security instructor and security industry operator and to find desirable cooperation with poli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police officers and security manag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82.2% of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sponsiveness of the police
officer s questions about security services. Second, 73.5% of security managers responded to the professionalism of police officers more than professional . The supervisor recognized that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ecurity operator. Third, the security manager responded positively to the cooperation system of police officers by 69.3%.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ecurity managers, but the private security
instructors perceived them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ecurity guards. Fourth, 85.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more than satisfied with the security officer s satisfaction with the police officer s
supervis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ecurity guards was higher than private security instructor. Finally, the questionnaire surveyed the perception of the police officers who carried out security work. Self-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66.4% of respondents who were professional .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우열, "협력치안에 대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인식 연구" 경찰학연구소 10 (10): 405-432, 2015
2 김태민, "한국 경비원 관리자제도의 발전방안" 한국치안행정학회 6 (6): 181-206, 2009
3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2010
4 에너지경제, "월성 원전 보안관리 논란"
5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11
6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7 김태민, "보안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제명 개정에 관한 논의 : 「경비업법」의 개정" 한국융합보안학회 16 (16): 3-12, 2016
8 최선우, "민간경비론" 진영사 2009
9 "매일노동뉴스, 2013, 9. 26"
10 법제처, "대한민국 법제50년사"
1 정우열, "협력치안에 대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인식 연구" 경찰학연구소 10 (10): 405-432, 2015
2 김태민, "한국 경비원 관리자제도의 발전방안" 한국치안행정학회 6 (6): 181-206, 2009
3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2010
4 에너지경제, "월성 원전 보안관리 논란"
5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11
6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7 김태민, "보안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제명 개정에 관한 논의 : 「경비업법」의 개정" 한국융합보안학회 16 (16): 3-12, 2016
8 최선우, "민간경비론" 진영사 2009
9 "매일노동뉴스, 2013, 9. 26"
10 법제처, "대한민국 법제50년사"
11 이상원, "공경비와 민간경비의 협력방범체제 구축방안" 6 : 67-101, 2003
12 경찰청, "경찰통계연보" 경찰청 2016
13 이원희, "경찰업무와 민간경비업무의 상호협력방안" 국회사무처 법제실 2010
14 이상훈, "경찰과 민간경비의 치안공조 증진을 위한 경비업법 개정방향" 한국공안행정학회 23 (23): 161-188, 2014
15 하태춘,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3
16 오마이뉴스, "경찰 경비업법 위반 혐의 마사회 압수수색"
17 김경태, "경비지도사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경찰학연구소 10 (10): 7-28, 2015
18 박형식, "경비원의 직무교육과 경비지도사의 역할" 한국민간경비학회 13 (13): 107-128, 2014
19 이병규, "경비업의 공법적 논의"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111-137, 2014
20 이상훈, "경비업법상 경비지도사의 법적 지위와 제도적 발전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22 (22): 217-250, 2013
21 이상훈, "개정 경비업법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경호경비학회 (36) : 349-386, 2013
22 신형석, "개정 경비업법의 규제수단강화와 그 정책적 함의" 법학연구소 7 (7): 103-129, 2013
국내 CCTV운영 현황 및 위치선정 가이드라인 제안에 관한 연구
Advanced Methods and Techniques in Security Industry Regulatio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6 | 0.504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