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9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해 사망하거나 중증후유장애를 입은 피해자나 그 가족의 고통과 경제적 궁핍은 날이 갈수록 심각한 실정이다. 자동차사고 피해지원 사업은 중증후유장애자, 유자녀, 피부양노부모 등에 대하여 재활보조, 장학금, 생활자금 대출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내용면에서나 규모면에서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는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기초법률분석, 설문조사분석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교통사고의 발생 후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서 경찰청의 지원제도, 국토교통부의 지원제도, 교통안전공단의 지원제도 등이 있으나 경찰청의 지원제도 중심으로 교통장애인 · 노약자의 지원제도 및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경찰청은 교통장애인 · 노약자 유관기관과 연계해서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자들에 지원제도를 실시해 오고 있는데, 일반운전자와 시민들은 교통사고 접수증 발급제도를 잘 모르고 있어 발급제도의 인식 제고를 위해서 대국민 경찰홍보를 강화하고, 전 교통경찰의 역량을 결집하여 지속적인 무보험차량 단속과 교통범죄예방을 위한 정책대안을 개발하는 것이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여 나가는 첫 단계가 될 것이다. 그리고 교통장애인 · 노약자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우리 사회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해 사망하거나 중증후유장애를 입은 피해자나 그 가족의 고통과 경제적 궁핍은 날이 갈수록 심각한 실정이다. 자동차사고 피해지원 사업은 중증후유장애자, ...

      우리 사회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해 사망하거나 중증후유장애를 입은 피해자나 그 가족의 고통과 경제적 궁핍은 날이 갈수록 심각한 실정이다. 자동차사고 피해지원 사업은 중증후유장애자, 유자녀, 피부양노부모 등에 대하여 재활보조, 장학금, 생활자금 대출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내용면에서나 규모면에서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는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기초법률분석, 설문조사분석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교통사고의 발생 후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서 경찰청의 지원제도, 국토교통부의 지원제도, 교통안전공단의 지원제도 등이 있으나 경찰청의 지원제도 중심으로 교통장애인 · 노약자의 지원제도 및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경찰청은 교통장애인 · 노약자 유관기관과 연계해서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자들에 지원제도를 실시해 오고 있는데, 일반운전자와 시민들은 교통사고 접수증 발급제도를 잘 모르고 있어 발급제도의 인식 제고를 위해서 대국민 경찰홍보를 강화하고, 전 교통경찰의 역량을 결집하여 지속적인 무보험차량 단속과 교통범죄예방을 위한 정책대안을 개발하는 것이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여 나가는 첫 단계가 될 것이다. 그리고 교통장애인 · 노약자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ur society, the suffering and economic hardship of the victim or his / her family who have died due to traffic accidents or suffered severe aftereffects are increasingly serious. In the automobile accident victim support project, rehabilitation aid, scholarship, and life fund loan are provided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ople with skin, but there is difficulty in reaching practical help in terms of contents and siz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used research methods of basic law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ime order of transportation disabled person and elderly person support after traffic accident, And the support system of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However, the support system of the police agency will analyze the support system and policies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been providing assistance to victims of traffic accidents in connection with transportation disabled and elderly people s organizations. However, general drivers and citizens do not know how to issue a traffic accident receipt.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former traffic police to continuously develop policy alternatives to prevent unauthorized vehicles and traffic crimes will be the first step to drastically reduce traffic accidents. And suggested policies to effectively suppor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번역하기

      In our society, the suffering and economic hardship of the victim or his / her family who have died due to traffic accidents or suffered severe aftereffects are increasingly serious. In the automobile accident victim support project, rehabilitation ai...

      In our society, the suffering and economic hardship of the victim or his / her family who have died due to traffic accidents or suffered severe aftereffects are increasingly serious. In the automobile accident victim support project, rehabilitation aid, scholarship, and life fund loan are provided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ople with skin, but there is difficulty in reaching practical help in terms of contents and siz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used research methods of basic law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ime order of transportation disabled person and elderly person support after traffic accident, And the support system of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However, the support system of the police agency will analyze the support system and policies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been providing assistance to victims of traffic accidents in connection with transportation disabled and elderly people s organizations. However, general drivers and citizens do not know how to issue a traffic accident receipt.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former traffic police to continuously develop policy alternatives to prevent unauthorized vehicles and traffic crimes will be the first step to drastically reduce traffic accidents. And suggested policies to effectively suppor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교통장애인 · 노약자 법률 및 행정지원제도 실태
      • Ⅲ.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제도의 설문조사 분석
      • Ⅳ. 결론 및 정책제언
      • Ⅰ. 서 론
      • Ⅱ. 교통장애인 · 노약자 법률 및 행정지원제도 실태
      • Ⅲ. 교통장애인 · 노약자 지원제도의 설문조사 분석
      • Ⅳ. 결론 및 정책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욱, "휠체어 사용 중증 지체장애인들의 교통 편의시설 개선 욕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2 전남지방경찰청, "피해자전담경찰관제도 운영" 전남지방경찰청 2016

      3 양희택, "장애인복지 이해와 실천" 정민사 2011

      4 설재훈, "장애인ㆍ노약자의 복지교통 서비스 개선방안" 교통개발연구원 2004

      5 교통신문, "장애인 현황과 과제"

      6 한국교통장애, "월간평화 6ㆍ7월호"

      7 박경일,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0

      8 "국회의원 김윤덕 보도자료, 뺑소니ㆍ무보험 사고피해자 최근 6년간 39,743명 발생. 7. 8"

      9 김광주, "교통장애인ㆍ노약자에 대한 사례관리 및 원스톱서비스" 한국교통장애인협회 1-326, 2012

      10 박성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1 이욱, "휠체어 사용 중증 지체장애인들의 교통 편의시설 개선 욕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2 전남지방경찰청, "피해자전담경찰관제도 운영" 전남지방경찰청 2016

      3 양희택, "장애인복지 이해와 실천" 정민사 2011

      4 설재훈, "장애인ㆍ노약자의 복지교통 서비스 개선방안" 교통개발연구원 2004

      5 교통신문, "장애인 현황과 과제"

      6 한국교통장애, "월간평화 6ㆍ7월호"

      7 박경일,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0

      8 "국회의원 김윤덕 보도자료, 뺑소니ㆍ무보험 사고피해자 최근 6년간 39,743명 발생. 7. 8"

      9 김광주, "교통장애인ㆍ노약자에 대한 사례관리 및 원스톱서비스" 한국교통장애인협회 1-326, 2012

      10 박성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11 TS FOR YOU, "교통안전공단 제402호"

      12 권선진, "교통사고에 의한 장애발생 현황 및 복지지원 방안 연구" 13 : 203-212, 1999

      13 교통신문, "교통사고 유자녀 지원 활동소식"

      14 김남현, "경찰교통론" 경찰공제회 2012

      15 Hensher, D. A, "Transport: an Economics and Management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6 Hofferbert, "The Study of Public Policy" Bobbs-Merill Company 1974

      17 Van Meter,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6 : 445-488, 1975

      18 Jones, Charles O.,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 Brookds/Cole Publishign Company 1984

      19 경찰청, "2012 경찰백서" 경찰청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6 0.5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