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arallel PNP 및 N+ drift가 삽입된 높은홀딩전압특성을 갖는 ESD보호회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D Protection Circuit with High Holding Voltage with Parallel PNP and N+ difrt inser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0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SD protection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structural changesof LVTSCR, a typical ESD protection device. The proposed ESD protection device has a higher holding voltage than theexisting LVTSCR b...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SD protection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structural changesof LVTSCR, a typical ESD protection device. The proposed ESD protection device has a higher holding voltage than theexisting LVTSCR by inserting a long N+ drift region and additional P-Well and N-Well, and improves the latch-upimmunity, a chronic disadvantage of a general SCR-based ESD protection device. In addition, the effective base width ofparasitic BJTs was set as a design variable,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ESD protection device wereverified through Synopsys’ TCAD simulatio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required application by applying theN-Stack tech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ESD 보호소자인 LVTSCR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높은 홀딩전압 특성을 가지는 ESD 보호소자를제안한다. 제안된 ESD 보호소자는 병렬 PNP path와 긴 N+ drift 영역을 삽입하여 기...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ESD 보호소자인 LVTSCR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높은 홀딩전압 특성을 가지는 ESD 보호소자를제안한다. 제안된 ESD 보호소자는 병렬 PNP path와 긴 N+ drift 영역을 삽입하여 기존의 LVTSCR보다 높은 홀딩전압을 가지며, 일반적인 SCR 기반 ESD보호소자의 단점인 Latch-up 면역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기생 BJT들의 유효 베이스 폭을설계변수로 설정하였으며, N-Stack 기술을 적용하여 요구되는 application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시놉시스사의 TCAD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ESD 보호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Z. Liu, "Silicon-Controlled Rectifier Stacking Structure for High-Voltage ESD Protection Applications" 31 (31): 845-847, 2010

      2 M. D. Ker, "Overview of onchi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sign with SCR-based devices in CMOS integrated circuits" 5 (5): 235-249, 2005

      3 Z. Wang, "Optimized pMOS-Triggered Bidirectional SCR for Low-Voltage ESD Protection Applications" 61 (61): 2588-2594, 2014

      4 F. Ma, "High Holding Voltage SCR-LDMOS Stacking Structure With Ring-Resistance-Triggered Technique" 34 (34): 1178-1180, 2013

      5 Y. C. Huang, "A Latchup-Immune and Robust SCR Device for ESD Protection in 0.25-um 5-V CMOS Process" 34 (34): 674-676, 2013

      1 Z. Liu, "Silicon-Controlled Rectifier Stacking Structure for High-Voltage ESD Protection Applications" 31 (31): 845-847, 2010

      2 M. D. Ker, "Overview of onchi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sign with SCR-based devices in CMOS integrated circuits" 5 (5): 235-249, 2005

      3 Z. Wang, "Optimized pMOS-Triggered Bidirectional SCR for Low-Voltage ESD Protection Applications" 61 (61): 2588-2594, 2014

      4 F. Ma, "High Holding Voltage SCR-LDMOS Stacking Structure With Ring-Resistance-Triggered Technique" 34 (34): 1178-1180, 2013

      5 Y. C. Huang, "A Latchup-Immune and Robust SCR Device for ESD Protection in 0.25-um 5-V CMOS Process" 34 (34): 674-67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KEEE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 한국전기전자학회 -> 한국전기전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262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