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안검색장비 성능인증을 위한 폭발물 시뮬런트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40211

      • 저자
      • 발행사항

        진주 :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기타서명

        Development of Explosives Simulant for performance certification of Security Screening Equipment

      • 형태사항

        ⅵ, 43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경상국립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종성

      • UCI식별코드

        I804:48003-000000032009

      • 소장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항공보안장비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술 및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특히 폭발물을 탐지하는 폭발물탐지장비(EDS) 및 폭발물흔적탐지장비(ETD)는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폭발물 시료가 필요하다. 폭발물은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에 쉽게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취급하기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따라서 해외에서는 두 장비(EDS, ETD)의 성능시험에서 위험성이 높은 실제 폭발물보다 안정성이 확인된 폭발물 시뮬런트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국내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는 2018년 10월 25일에 시행되어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 이에 아직 표준화된 표준폭발물 시료가 국내에서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보안장비의 표준폭발물 시료로 사용될 수 있는 폭발물 시뮬런트를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주요 물질은 페트롤라툼(Petrolatum)으로, 3종(TNT, RDX, PETN)의 폭발물 시뮬런트를 개발하였다. 완성된 폭발물 시뮬런트는 다양한 이화학분석(NMR, FT-IR, LC, TGA)을 통해 물리적 특성을 보여주며, 실제 두 장비(EDS, ETD)의 적용 가능성도 분석하였다. 하지만 폭발물 시뮬런트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낙하시험, 마찰강도시험, 먼지폭발시험 등의 분석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항공보안장비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술 및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특히 폭발물을 탐지하는 폭발물탐지장비(EDS) 및 폭발물흔적탐지장비(ETD)는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폭발...

      항공보안장비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술 및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특히 폭발물을 탐지하는 폭발물탐지장비(EDS) 및 폭발물흔적탐지장비(ETD)는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폭발물 시료가 필요하다. 폭발물은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에 쉽게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취급하기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따라서 해외에서는 두 장비(EDS, ETD)의 성능시험에서 위험성이 높은 실제 폭발물보다 안정성이 확인된 폭발물 시뮬런트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국내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는 2018년 10월 25일에 시행되어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 이에 아직 표준화된 표준폭발물 시료가 국내에서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보안장비의 표준폭발물 시료로 사용될 수 있는 폭발물 시뮬런트를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주요 물질은 페트롤라툼(Petrolatum)으로, 3종(TNT, RDX, PETN)의 폭발물 시뮬런트를 개발하였다. 완성된 폭발물 시뮬런트는 다양한 이화학분석(NMR, FT-IR, LC, TGA)을 통해 물리적 특성을 보여주며, 실제 두 장비(EDS, ETD)의 적용 가능성도 분석하였다. 하지만 폭발물 시뮬런트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낙하시험, 마찰강도시험, 먼지폭발시험 등의 분석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ield of research, how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viation security equipment is an interesting field. In particular, explosive detection systems(EDS) and explosive trace detection(ETD) that detect explosives require explosive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Explosives are very dangerous materials to handle because they easily react to external stimuli or shocks. Therefore, overseas, it is recommended to use explosive simulants that have been confirmed to be more stable than actual explosives at high risk in performance tests of both types of equipment(EDS and ETD).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nd introduce explosive simulants that can be used as standard explosive samples of aviation security equipment. The main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 was Petrolatum, which developed three explosive simulants (TNT, RDX, and PETN). The completed explosive simulation shows physical properties through various physicochemical analyses (TGA, NMR, FT-IR, LC, etc.), and als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actual two equipment. However,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explosive simulants, additional analysis such as drop test, friction strength test, and dust explosion test is needed.
      번역하기

      In the field of research, how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viation security equipment is an interesting field. In particular, explosive detection systems(EDS) and explosive trace detection(ETD) that detect explosives require explosives to check the...

      In the field of research, how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viation security equipment is an interesting field. In particular, explosive detection systems(EDS) and explosive trace detection(ETD) that detect explosives require explosive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Explosives are very dangerous materials to handle because they easily react to external stimuli or shocks. Therefore, overseas, it is recommended to use explosive simulants that have been confirmed to be more stable than actual explosives at high risk in performance tests of both types of equipment(EDS and ETD).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nd introduce explosive simulants that can be used as standard explosive samples of aviation security equipment. The main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 was Petrolatum, which developed three explosive simulants (TNT, RDX, and PETN). The completed explosive simulation shows physical properties through various physicochemical analyses (TGA, NMR, FT-IR, LC, etc.), and als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actual two equipment. However,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explosive simulants, additional analysis such as drop test, friction strength test, and dust explosion test is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연구의 배경 1
      • 1.1. 공항테러와 보안검색 1
      • 1.2.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 3
      • 1.3. 폭발물 시뮬런트(Explosive Simulant) 5
      • 제 2 장 연구의 이론 8
      • 제 1 장 연구의 배경 1
      • 1.1. 공항테러와 보안검색 1
      • 1.2.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 3
      • 1.3. 폭발물 시뮬런트(Explosive Simulant) 5
      • 제 2 장 연구의 이론 8
      • 2.1. 이미징 기반 폭발물 탐지 기술 8
      • 2.2. 화학분석 기반 폭발물 탐지 기술 13
      • 제 3 장 연구 설계 21
      • 3.1. 연구목적 21
      • 3.2. 연구방법 22
      • 제 4 장 연구결과 24
      • 4.1. 핵자기공명 분석 24
      • 4.2. 적외선분광 분석 26
      • 4.3.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 28
      • 4.4. 열중량분석법 분석 31
      • 4.5. 검출한계 및 임계한계 분석 34
      • 4.6. 유효원자번호(Zeff) 계산 35
      • 제 5 장 결론 및 고찰 39
      • 제 6 장 참고 문헌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