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keywords in th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a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59048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4(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keywords in th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an...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keywords in th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keywords of 434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related to the papers published for 20 years in th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ver the period (2000-2019), it was divided into five-year units from the time of publication(1st period: 2000-2004, 2nd period: 2005-2009, 3rd period: 2010-2014, and 4th period: 2015-2019).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626 keywords(including duplicates) in the journal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re divided into 5 higher categories(Books, Education, Subject,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43 subcategories. The higher category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was Books(573 times), followed by Education(327 times), Subject(277 times), Research(235 times), and Development(211 times). The subcategories are Type(326 times), Literary Education(141 times), Object(94 times), Text Element (84 times), Sociality(82 times) and Philosophy/Religion/Things(71 times) in that order. The keyword that appeared the most as a single topic was Picture Book(155 tim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period, the five higher categories showed a difference in appear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eriod (p<0.01).
However, the ‘book’ category was found to be the top category that consistently appeared the most over period 1-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ix direc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were suggested.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학술지인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논문 주제어(Keywords) 분석을 통해 어린이문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미래 어린이문학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학술지인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논문 주제어(Keywords) 분석을 통해 어린이문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미래 어린이문학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 발표된 어린이문학교육 관련 논문 434편의 주제어를 분석하였고, 5년단위로 연구 시기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린이문학교육과 관련한 논문의 주제어 1,626개(중복 포함)는 5개의 상위범주(도서, 교육, 주제, 연구, 발달)와 43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주제어 출현 빈도는 상위범주에서 도서(573회), 교육(327회), 주제(277회), 연구(235회), 발달(211회) 순으로, 하위범주에서는 유형(326), 문학교육(141), 대상(94), 텍스트 요소(84), 사회성(82), 철학/종교/사조(71) 순으로 나타났다. 단일 주제어로 가장 많이 출현한 주제어는 ‘그림책’(155회)이었다. 둘째, 주기별 분석결과, 5개의 상위범주는 주기에 따라 출현 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중 ‘도서’ 범주는 1-4주기에 걸쳐 일관되게 가장 많이 출현하는 상위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문학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동열, "한국문헌정보학 학문영역의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학술지 논문 주제분석을 기반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5-34, 2016
2 심향분,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15-139, 2014
3 정승훈, "주제어 분석을 통한 관광자원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여 -"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71-193, 2018
4 김정희, "융합담론사례에 대한 소고: 교정담론 게재논문 주제어 경향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203-218, 2017
5 유영의, "유아문학 연구의 동향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1982-2010)"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07-130, 2012
6 김지영, "유아문학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1 (21): 31-52, 2020
7 김혜원,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 2004-2015년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95-118, 2016
8 백경순,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관련학회 학술지」와「어린이문학전문 학술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177-199, 2009
9 조형숙,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5-28, 2020
10 이사임, "영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7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35-58, 2015
1 정동열, "한국문헌정보학 학문영역의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학술지 논문 주제분석을 기반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5-34, 2016
2 심향분,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15-139, 2014
3 정승훈, "주제어 분석을 통한 관광자원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여 -"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71-193, 2018
4 김정희, "융합담론사례에 대한 소고: 교정담론 게재논문 주제어 경향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203-218, 2017
5 유영의, "유아문학 연구의 동향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1982-2010)"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07-130, 2012
6 김지영, "유아문학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1 (21): 31-52, 2020
7 김혜원,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 2004-2015년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95-118, 2016
8 백경순,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관련학회 학술지」와「어린이문학전문 학술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177-199, 2009
9 조형숙,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5-28, 2020
10 이사임, "영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7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35-58, 2015
11 이조은,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 분석 : 만 5세 유아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59-81, 2017
12 김유미,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285-302, 2011
13 위키백과, "어린이"
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린이"
15 김세희, "아동용 그림책의 장르 구분 탐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6) : 177-198, 2010
16 최예린, "아동도서 서평 분석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63-77, 2018
17 이지영, "노인 독자의 그림책 독서 실행 연구: 문식 입문 수준 노인 독자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46) : 67-106, 2018
18 현은자, "그림책의 이해 1" 사계절 2005
19 김수미, "그림책의 성인독자"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1 (11): 179-200, 2010
20 김민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43-63, 2011
21 서정숙,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문학교육" 창지사 2005
22 최예린,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의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 (20): 1-19, 2019
23 김지은, "그림책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451-479, 2009
24 김영환, "국내 혁신학교 관련 연구주제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113-132, 2019
25 송미선,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17, 2012
26 고연주,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29-457, 2017
27 최상희, "교과 키워드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과 교육 주제 연구 - 한국·미국 정보기술관련 교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50 (50): 43-60, 2019
28 김영환, "『평생학습사회』의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91-315, 2015
29 곽영미, "「아기 돼지 삼 형제」옛이야기를 원전(原典)으로 한 크로스오버 작품 분석(문학, 애니메이션, 인터넷 광고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25-44, 2015
30 최예린,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71-87, 2021
31 Soler, J.,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well-established and predatory journals: a keyword analysis of two journals inpolitical science" 32 (32): 259-269, 2019
32 레환수, "Exploring Current Research Topics and Trends based on the Keywords Analysis in the Leading Information Systems Journals"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4 (14): 161-180, 2014
33 Bratt, S., "Digital library keyword analysis for visualization education research: Issues and recommendations" 10 (10): 595-611, 2018
34 현은자,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25, 2021
35 김민영, "2020년 코로나-19 관련 한국 주요 신문에서 방역관련 주요 주제어 분석"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6 (46): 153-161, 2021
36 김혜전,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29-60, 2018
37 염지숙, "'유아교육학논집'에 실린 질적 연구 동향 분석: 1997-2017년까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5-21, 2019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에 대한 교사의 수정피드백과 유아의 발화오류 수정
Peter Sis의 위인 그림책에 내포된 문학적 상상력 고찰
텍스트 마이닝 기반 감성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방향 모색: 놀이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10-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3 | 1.53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 | 1.63 | 1.784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