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의 의미 탐구 = Exploring the meaning of rough-and-tumble play between fathers and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9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rough-and-tumble play between fathers and young children at home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rough-and-tumble play by interviewing fathers and their children. To this end, five fathers and their children who are currently raising their childr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photographs and video shoots, telephone calls and SNS conversations from November 2019 to September 2020. All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 coding, and topic discove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ough-and-tumble play with their fathers gave meaning to the children as ‘a pleasant time to control their fathers, a field of unconstrained imagination, a time to be intimate with their fathers, and a learning place for play skills.’. Additionally, rough-and-tumble play with their children gave meaning to the fathers as ‘natural play according to instinct, a time to bond with their children, and a growth process as a playful fat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rough-and-tumble play between fathers and young children at home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rough-and-tumble play by interviewing fathers and their children. To this end, five fathers and their children who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rough-and-tumble play between fathers and young children at home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rough-and-tumble play by interviewing fathers and their children. To this end, five fathers and their children who are currently raising their childr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photographs and video shoots, telephone calls and SNS conversations from November 2019 to September 2020. All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 coding, and topic discove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ough-and-tumble play with their fathers gave meaning to the children as ‘a pleasant time to control their fathers, a field of unconstrained imagination, a time to be intimate with their fathers, and a learning place for play skills.’. Additionally, rough-and-tumble play with their children gave meaning to the fathers as ‘natural play according to instinct, a time to bond with their children, and a growth process as a playful fa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를 관찰하고, 아버지와유아기 자녀를 면담하여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의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5인과 그 자녀인 유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참여관찰, 면담, 사진 및 영상 촬영, 전화 통화 및 SNS 대화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모든 자료는 전사하여 ‘전사, 코딩, 주제 발견’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와의 거친 신체놀이는 유아기 자녀에게 ‘아버지를 통제해보는 즐거운 시간, 구속되지 않는 상상력 표현의 장, 아버지와 친밀해지는 시간, 놀이기술의 배움터’라는 의미를 주었다. 또한 유아기 자녀와의 거친 신체놀이는 아버지에게 ‘본능에 따른 자연스러운 놀이, 자녀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시간, 놀이하는 아버지로서의 성장 과정’이라는 의미를 주는 것으로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를 관찰하고, 아버지와유아기 자녀를 면담하여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의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실시...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를 관찰하고, 아버지와유아기 자녀를 면담하여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의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5인과 그 자녀인 유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참여관찰, 면담, 사진 및 영상 촬영, 전화 통화 및 SNS 대화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모든 자료는 전사하여 ‘전사, 코딩, 주제 발견’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와의 거친 신체놀이는 유아기 자녀에게 ‘아버지를 통제해보는 즐거운 시간, 구속되지 않는 상상력 표현의 장, 아버지와 친밀해지는 시간, 놀이기술의 배움터’라는 의미를 주었다. 또한 유아기 자녀와의 거친 신체놀이는 아버지에게 ‘본능에 따른 자연스러운 놀이, 자녀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시간, 놀이하는 아버지로서의 성장 과정’이라는 의미를 주는 것으로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진,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33-57, 2016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35 (35): 135-170, 1997

      3 고여훈,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과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 김상아,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강상,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 정서지능과대인문제 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3 (13): 329-356, 2013

      6 임정란, "유아의 놀이유형별 아버지의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이완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지원과정에서 나타난 신체놀이의 변화와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13-436, 2010

      8 송지은,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분석 연구 :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15-137, 2017

      9 김유경,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양육에 대한 역할지각과 참여행동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이혜경,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지각과 양육 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 이천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1 조윤진,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33-57, 2016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35 (35): 135-170, 1997

      3 고여훈,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과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 김상아,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강상,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 정서지능과대인문제 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3 (13): 329-356, 2013

      6 임정란, "유아의 놀이유형별 아버지의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이완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지원과정에서 나타난 신체놀이의 변화와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13-436, 2010

      8 송지은,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분석 연구 :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15-137, 2017

      9 김유경,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양육에 대한 역할지각과 참여행동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이혜경,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지각과 양육 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 이천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11 정우영, "유아기 자녀를 둔 사무종사자 아버지가 갖는 양육에서의 보람과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2 류희정,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8 (8): 47-64, 2013

      13 조형숙,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39-264, 2008

      14 박철순, "아빠 육아 참여와 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197-220, 2018

      15 배행연, "아버지의 역할수행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6 전숙희, "아버지의 양육행동, 놀이참여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17 최화자,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8

      18 김희,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19 최미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13-332, 2014

      20 EBS <아버지의 성 부성(父性)> 제작팀, "아버지의 성(父性), EBS 다큐 프라임 특별 프로젝트, 아빠가 된 남자를 탐구하다"

      21 김경희,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영아기 자녀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2 이영환, "아버지의 부모역할과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2014

      23 오정미,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4 송은혜,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5 최미선,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자녀의 자기조절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6 박형신,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유아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501-522, 2017

      27 하상목,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

      28 전혜영, "아버지의 놀이성이 아버지-유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놀이참여 매개효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9 전혜영, "아버지의 놀이성이 아버지-유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놀이 참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보육지원학회 15 (15): 103-123, 2019

      30 권정윤, "아버지의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 동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33-350, 2015

      31 최진주, "아버지의 놀이 참여와 유아-아버지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4

      32 홍유정, "아버지의 거친 신체놀이와 양육참여 및 리더십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33 차민주, "아버지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자기통제력, 공격성,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34 정선영, "아버지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6 (6): 73-82, 2019

      35 Parke, R. D, "아버지만이 줄 수 있는 것이 따로 있다" 샘터사 2005

      36 손소영,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217-227, 2013

      37 성영화, "부모의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38 김낙흥,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과 역할수행의 어려움, 사회적 지원에 대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79-98, 2011

      39 안혜영, "또래 및 아버지와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40 임수진, "놀이하는 유아-호모 루덴스를 향하여" 양서원 2019

      41 김보민, "놀이 유형별 아버지의 참여 수준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42 임성혜,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교육활동이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35-355, 2014

      43 조윤희,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놀이참여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6

      44 Logue, M. E., "“You Be the Bad Guy”: A New Role for Teachers in Supporting Children's Dramatic Play" 13 (13): 16-, 2011

      45 김영철, "‘슈퍼맨’: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바람직한 아버지 상(像)" 교육연구소 15 (15): 81-107, 2014

      46 Harlow, H., "The heterosexual affective system in monkeys" 17 : 1-9, 1962

      47 Lamb, M. E., "The fathers role: Applied perspective" Wiley 1986

      48 이시자, "Rough-and-Tumble 놀이에 관한 연구: 6세 아동의 유치원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36 (36): 255-279, 1998

      49 DiPietro, J. A., "Rough and tumble play: A function of gender" 17 (17): 50-58, 1981

      50 Pellegrini, A., "Physical activity play : The nature and function of a neglected aspect of play" 69 (69): 577-598, 1998

      51 Kostelnik, M. J., "Living with He-Man : Managing superhero fantasy play" 41 (41): 3-9, 1986

      52 Paquette, D., "Is father–child rough-and-tumble play associated with attachment or activation relationships?" 183 (183): 760-773, 2013

      53 Ross, H., "Do boys prefer daddy or his physical style of play?" 20 (20): 23-33, 1989

      54 Peterson, J. B., "Developmental origins of aggression" Guilford Press 133-157, 2005

      55 Jarvis, P., "Dangerous activities within an invisible playground : A study of emergent male football play and teachers’ perspectives of outdoor free play in the early years of primary school" 15 (15): 245-259, 2007

      56 John, A., "Child-mother and child-father play interaction patterns with preschoolers" 183 (183): 483-497, 2013

      57 Fletcher, R, "0~3세, 아빠 육아가 아이 미래를 결정한다" 글담 2012

      58 윤영주, "'놀이하는 아빠'로서의 지나온 경험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