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도가시의 유형과 전개 양상 = Taoistic poetry's types and developm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8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oistic poetry means poetry which seek for taoistic theory or taoistic training or taoistic fantasy. Taoistic poetry of Korea started at Choi Chee-Won. In Koreo dynasty Taoism as a religion. After a militery official's war, ruined civil ministers wanted overcome anguish with taoistic poetry. Taoistic poetry in Chosun dynasty were strengthened as trained poetry. These were in full flourish in the middle of Chosun. In the late of Chosun, taoistic poetry dwindled away because of the growth of prose.
      Taoistic poetry is devided into five. They are yusun poetry(유선시), hyunun poetry(현언시), sunchey poetry(선취시), yeundan poetry(연단시), eirey poetry(의례시). Poets wrote yusun poetry when they thought themselves as hermits and wanted long life. Sunchey poetry says about hermits and heaven standing face to fine vies. Hyunun poetry says about philosophical theory of Lao-tzu and Chang-tzu. Yeundan poetry says the methods for being hermits through training. Eirey poetry expresses taoistic ceremony.
      Taoistic poetry is characteristic of transcending stern realities in Confucian culture. Poets wrote taoistic poetry for mental sublimation.
      번역하기

      Taoistic poetry means poetry which seek for taoistic theory or taoistic training or taoistic fantasy. Taoistic poetry of Korea started at Choi Chee-Won. In Koreo dynasty Taoism as a religion. After a militery official's war, ruined civil ministers wan...

      Taoistic poetry means poetry which seek for taoistic theory or taoistic training or taoistic fantasy. Taoistic poetry of Korea started at Choi Chee-Won. In Koreo dynasty Taoism as a religion. After a militery official's war, ruined civil ministers wanted overcome anguish with taoistic poetry. Taoistic poetry in Chosun dynasty were strengthened as trained poetry. These were in full flourish in the middle of Chosun. In the late of Chosun, taoistic poetry dwindled away because of the growth of prose.
      Taoistic poetry is devided into five. They are yusun poetry(유선시), hyunun poetry(현언시), sunchey poetry(선취시), yeundan poetry(연단시), eirey poetry(의례시). Poets wrote yusun poetry when they thought themselves as hermits and wanted long life. Sunchey poetry says about hermits and heaven standing face to fine vies. Hyunun poetry says about philosophical theory of Lao-tzu and Chang-tzu. Yeundan poetry says the methods for being hermits through training. Eirey poetry expresses taoistic ceremony.
      Taoistic poetry is characteristic of transcending stern realities in Confucian culture. Poets wrote taoistic poetry for mental subli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가시는 도교 이론을 탐색하거나 도교를 수련한 내용, 도교적 환상을 추구한 한시의 부류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의 도가시는 최치원에게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고려 때는 도교의 신앙체계가 확립되었다. 무신의 난 이후 몰락한 문인들은 현실의 질곡이나 고통을 은일사상이나 신선 세계에 대한 동경으로 극복하고자 하여, 도가적 성격의 시를 남겼다. 조선의 도가시는 내단의 성격이 강해진다. 도가시는 조선 중기 선조, 광해군 시절에 가장 융성하게 발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산문 정신이 발흥하여 도가시는 점점 쇠퇴한다.
      도가시 유형은 遊仙詩, 玄言詩, 仙趣詩, 煉丹詩, 儀禮詩의 다섯 가지로 나뉜다. 유선시는 신선이 되어 선계 체험을 노래하거나 불로장생의 염원을 노니는 내용을 담은 시다. 도가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내용은 自我의 仙化, 신선고사의 줄거리 나열, 꿈을 통한 유선 등으로 나뉜다.
      선취시는 현실에 발을 붙이고 있으면서 대체로 明景을 대하여 신선을 떠올리고 선계를 꿈꾸는 내용의 시이다. 현언시는 노장의 철학적 가르침과 주해를 드러내고 있으며 시 속엔 현묘한 이치가 들어 있는 시이다. 연단시는 내단법과 외단법을 통해 신선에 이르는 방법을 보여주는 실천적 시이다. 의례시란 도교의 재초례를 비롯한 갖가지 의례를 표현한 것이다.
      도가시에는 유교 문화 속에서 인간의 의식을 알게 모르게 억압하고 왜곡하는 현실을 초월하려는 특성이 잘 드러난다. 현실의 한계를 극복하여 얻어지는 정신적 해방감과 승화를 만끽하기 위해, 시인은 도가시를 창작했던 것이다. 도가시는 근본적으로 현실 너머 세계의 실재에 대해 확고한 믿음을 갖고 현실에서 초월세계로 끊임없이 일탈하려는 양식이었다. 도가시는 중세인이 꿈꾸었던 자유와 초월에의 의지를 가장 잘 대변한다.
      번역하기

      도가시는 도교 이론을 탐색하거나 도교를 수련한 내용, 도교적 환상을 추구한 한시의 부류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의 도가시는 최치원에게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고려 때는 도교의 신앙...

      도가시는 도교 이론을 탐색하거나 도교를 수련한 내용, 도교적 환상을 추구한 한시의 부류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의 도가시는 최치원에게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고려 때는 도교의 신앙체계가 확립되었다. 무신의 난 이후 몰락한 문인들은 현실의 질곡이나 고통을 은일사상이나 신선 세계에 대한 동경으로 극복하고자 하여, 도가적 성격의 시를 남겼다. 조선의 도가시는 내단의 성격이 강해진다. 도가시는 조선 중기 선조, 광해군 시절에 가장 융성하게 발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산문 정신이 발흥하여 도가시는 점점 쇠퇴한다.
      도가시 유형은 遊仙詩, 玄言詩, 仙趣詩, 煉丹詩, 儀禮詩의 다섯 가지로 나뉜다. 유선시는 신선이 되어 선계 체험을 노래하거나 불로장생의 염원을 노니는 내용을 담은 시다. 도가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내용은 自我의 仙化, 신선고사의 줄거리 나열, 꿈을 통한 유선 등으로 나뉜다.
      선취시는 현실에 발을 붙이고 있으면서 대체로 明景을 대하여 신선을 떠올리고 선계를 꿈꾸는 내용의 시이다. 현언시는 노장의 철학적 가르침과 주해를 드러내고 있으며 시 속엔 현묘한 이치가 들어 있는 시이다. 연단시는 내단법과 외단법을 통해 신선에 이르는 방법을 보여주는 실천적 시이다. 의례시란 도교의 재초례를 비롯한 갖가지 의례를 표현한 것이다.
      도가시에는 유교 문화 속에서 인간의 의식을 알게 모르게 억압하고 왜곡하는 현실을 초월하려는 특성이 잘 드러난다. 현실의 한계를 극복하여 얻어지는 정신적 해방감과 승화를 만끽하기 위해, 시인은 도가시를 창작했던 것이다. 도가시는 근본적으로 현실 너머 세계의 실재에 대해 확고한 믿음을 갖고 현실에서 초월세계로 끊임없이 일탈하려는 양식이었다. 도가시는 중세인이 꿈꾸었던 자유와 초월에의 의지를 가장 잘 대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安鼎福, "한국의 도교문학" 태학사 1999

      2 이종은, "한국시가상의 도교사상 연구" 보성문화사 1992

      3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국학자료원 1998

      4 최삼룡,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새문사 1990

      5 최창록, "한국도교문학사" 국학자료원 1997

      6 정 민, "초월의 상상" 휴머니스트 2002

      7 정동진, "조선조 선도시의 전개 과정 연구" 우리말글학회 17 : 1999

      8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2004

      9 한국도교문학회, "도교문학연구" 푸른사상 2001

      10 원종례, "詩論을 통해 본 齊梁人의 美意識" 중국학회 1982

      1 安鼎福, "한국의 도교문학" 태학사 1999

      2 이종은, "한국시가상의 도교사상 연구" 보성문화사 1992

      3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국학자료원 1998

      4 최삼룡,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새문사 1990

      5 최창록, "한국도교문학사" 국학자료원 1997

      6 정 민, "초월의 상상" 휴머니스트 2002

      7 정동진, "조선조 선도시의 전개 과정 연구" 우리말글학회 17 : 1999

      8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2004

      9 한국도교문학회, "도교문학연구" 푸른사상 2001

      10 원종례, "詩論을 통해 본 齊梁人의 美意識" 중국학회 1982

      11 "五洲衍文箋散稿" 李圭景

      12 이승수, "19세기 지식인의 장편 소설과 타자들의 연환성" 아세아문화사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