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암 유인석의 청렴사상 연구 = A Study on the Thought of Integrity of Uiam Ryu In Se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1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iam Ryu In Seok was born in Chuncheon, Gangwon-do in 1842,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ent through a period of chaos in reign of potentates, and lived a period of upheaval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early went under the leadership of Hwaseo Lee Hang-ro(華西 李恒老), one of the three great philosopher of Juri(主理) philosophy, and studied hard. And during the period of mayhem, he dedicated himself to saving the people and the country. As an Confucian scholar, he was the head of the righteous army who led the anti-Japanese army, an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e worked as an independence activist. He left a great mark on the history of Confucius in Korea and the history of anti-Japanese righteous army. He did the movement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gainst Western aggression and devoted himself to the anti-Japanese righteous army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so he did not have time to take proper care of himself and his families. Naturally, he could not afford to accept a position as a public official. Like his teacher, he did not go to the public office through Gwageo tests(科擧). He was not a public official like this, but his integrity, a key virtue of public officials, was extraordinary. Nevertheless,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is thought of integrity. That is why it is worth studying his thought of integrity. There is a clear reason to study his integrity, a key requirement for public officials. He was born and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st chaotic and difficult times in Korean history, but he practiced the thought of integrity all his life.
      Integrity means 'nobility and lack of greed'. There are many conditions for integrity. But the most important of them are loyalty, sincerity, filial duty, innocence, frugality, benevolence, justice, virtue etc.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yu In Seok's life has all these things. These thoughts of his integrity can be summarized as loyalty, filial piety, benevolence, and frugality. He has been very filial since he was a child. He loved his neighbor and gave love to people he didn't know very well. It extended this filial piety to the country. That is loyalty. Finally, he lived a frugal and restrained life all his life, avoiding material and external things such as wealth, women, and alcohol. His thoughts of integrity greatly influenc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he died in 1915 without seeing the independence of Joseon, he still lives and breathes in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nd still teaches integrity. In this way, the thought of Ryu In Seok's integrity is still shining brilliantly. His thought of integrity is making our society fairer and cleaner. We hope that research on the integrity of Ryu In Seok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번역하기

      Uiam Ryu In Seok was born in Chuncheon, Gangwon-do in 1842,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ent through a period of chaos in reign of potentates, and lived a period of upheaval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early went un...

      Uiam Ryu In Seok was born in Chuncheon, Gangwon-do in 1842,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ent through a period of chaos in reign of potentates, and lived a period of upheaval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early went under the leadership of Hwaseo Lee Hang-ro(華西 李恒老), one of the three great philosopher of Juri(主理) philosophy, and studied hard. And during the period of mayhem, he dedicated himself to saving the people and the country. As an Confucian scholar, he was the head of the righteous army who led the anti-Japanese army, an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e worked as an independence activist. He left a great mark on the history of Confucius in Korea and the history of anti-Japanese righteous army. He did the movement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gainst Western aggression and devoted himself to the anti-Japanese righteous army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so he did not have time to take proper care of himself and his families. Naturally, he could not afford to accept a position as a public official. Like his teacher, he did not go to the public office through Gwageo tests(科擧). He was not a public official like this, but his integrity, a key virtue of public officials, was extraordinary. Nevertheless,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is thought of integrity. That is why it is worth studying his thought of integrity. There is a clear reason to study his integrity, a key requirement for public officials. He was born and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st chaotic and difficult times in Korean history, but he practiced the thought of integrity all his life.
      Integrity means 'nobility and lack of greed'. There are many conditions for integrity. But the most important of them are loyalty, sincerity, filial duty, innocence, frugality, benevolence, justice, virtue etc.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yu In Seok's life has all these things. These thoughts of his integrity can be summarized as loyalty, filial piety, benevolence, and frugality. He has been very filial since he was a child. He loved his neighbor and gave love to people he didn't know very well. It extended this filial piety to the country. That is loyalty. Finally, he lived a frugal and restrained life all his life, avoiding material and external things such as wealth, women, and alcohol. His thoughts of integrity greatly influenc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he died in 1915 without seeing the independence of Joseon, he still lives and breathes in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nd still teaches integrity. In this way, the thought of Ryu In Seok's integrity is still shining brilliantly. His thought of integrity is making our society fairer and cleaner. We hope that research on the integrity of Ryu In Seok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毅菴 柳麟錫은 조선 후기인 1842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조선 후기 主理哲學 3대가의 한사람인 華西 李恒老의 문하에 들어가서 본격적으로 유학을 배웠다. 그리고 대혼란의 시기에 오직 백성과 나라를 구하겠다는 大義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바쳤다. 유학자로서 항일의병을 이끈 의병장이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것이다. 서양의 침략에 맞서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하고 일본이 침략해 들어오자 항일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에 헌신하느라 자신과 가족조차 제대로 돌볼 시간이 없었다. 스승과 마찬가지로 과거시험을 통해 벼슬길에 오르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공직자가 아님에도 공직자의 핵심 덕목인 청렴성만큼은 남달랐다. 그렇지만 그의 청렴사상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그래서 그의 청렴사상을 구체적으로 조명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청렴은 ‘성품이 고결하고 탐욕이 없음’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청렴결백한 관리’를 뜻하는 淸白吏를 선발하였다. 청백리가 갖춰야 할 조건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이 忠誠, 淸白, 勤儉, 敬孝, 厚德, 仁義다. 유인석의 삶을 조명해보면 이 모든 것을 갖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그의 청렴사상은 효도[孝], 사람다움[仁], 충성[忠], 검소[儉]로 요약할 수 있다. 그의 청렴사상은 實谷 李弼熙, 己千 李鎭龍, 湖隱 全德元 등 그의 제자들이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성장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비록 조선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1915년 서거하였지만, 우리 국민들의 정신 속에 살아숨쉬면서 춘천에 세워진 의암유인석기념관이라는 곳에서 지금도 공직자는 물론 학생, 군인 등 신분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청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이렇게 유인석의 청렴사상이 아직도 찬란하게 빛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청렴사상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좀 더 공정해지고 깨끗해지고 있다.
      번역하기

      毅菴 柳麟錫은 조선 후기인 1842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조선 후기 主理哲學 3대가의 한사람인 華西 李恒老의 문하에 들어가서 본격적으로 유학을 배웠다. 그리고 대혼란의 ...

      毅菴 柳麟錫은 조선 후기인 1842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조선 후기 主理哲學 3대가의 한사람인 華西 李恒老의 문하에 들어가서 본격적으로 유학을 배웠다. 그리고 대혼란의 시기에 오직 백성과 나라를 구하겠다는 大義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바쳤다. 유학자로서 항일의병을 이끈 의병장이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것이다. 서양의 침략에 맞서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하고 일본이 침략해 들어오자 항일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에 헌신하느라 자신과 가족조차 제대로 돌볼 시간이 없었다. 스승과 마찬가지로 과거시험을 통해 벼슬길에 오르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공직자가 아님에도 공직자의 핵심 덕목인 청렴성만큼은 남달랐다. 그렇지만 그의 청렴사상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그래서 그의 청렴사상을 구체적으로 조명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청렴은 ‘성품이 고결하고 탐욕이 없음’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청렴결백한 관리’를 뜻하는 淸白吏를 선발하였다. 청백리가 갖춰야 할 조건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이 忠誠, 淸白, 勤儉, 敬孝, 厚德, 仁義다. 유인석의 삶을 조명해보면 이 모든 것을 갖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그의 청렴사상은 효도[孝], 사람다움[仁], 충성[忠], 검소[儉]로 요약할 수 있다. 그의 청렴사상은 實谷 李弼熙, 己千 李鎭龍, 湖隱 全德元 등 그의 제자들이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성장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비록 조선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1915년 서거하였지만, 우리 국민들의 정신 속에 살아숨쉬면서 춘천에 세워진 의암유인석기념관이라는 곳에서 지금도 공직자는 물론 학생, 군인 등 신분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청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이렇게 유인석의 청렴사상이 아직도 찬란하게 빛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청렴사상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좀 더 공정해지고 깨끗해지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증자, "효경" 동서문화사 2013

      2 증자, "효경" 동서문화사 2013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학주, "충경" 명문당 2006

      5 홍자성, "채근담" 홍익출판사 2013

      6 주희, "중용" 홍익출판사 2015

      7 이학주, "조선 13도의군 도총재 유인석"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7

      8 정약용, "정선 목민심서" 창비 2021

      9 유인석, "의암집" 경인문화사 1973

      10 오영섭, "의암유인석연구논문선집Ⅰ" 춘천문화원, 사단법인 의암학회 274-, 2002

      1 증자, "효경" 동서문화사 2013

      2 증자, "효경" 동서문화사 2013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학주, "충경" 명문당 2006

      5 홍자성, "채근담" 홍익출판사 2013

      6 주희, "중용" 홍익출판사 2015

      7 이학주, "조선 13도의군 도총재 유인석"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7

      8 정약용, "정선 목민심서" 창비 2021

      9 유인석, "의암집" 경인문화사 1973

      10 오영섭, "의암유인석연구논문선집Ⅰ" 춘천문화원, 사단법인 의암학회 274-, 2002

      11 김형도, "의암유인석연구논문선집Ⅰ" 춘천문화원, 사단법인 의암학회 69-70, 2002

      12 하윤서, "의암 유인석의 교육철학" 한국학술정보 2021

      13 유성선, "율곡철학의 이해"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8

      14 윤대식, "유인석 평전" 신서원 2020

      15 맹자, "맹자" 홍익출판사 2012

      16 공자, "논어" 홍익출판사 2013

      17 이항로, "국역화서선생문집1"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7

      18 유인석, "국역의암집6"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0

      19 유인석, "국역의암집5"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0

      20 유인석, "국역의암집4"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0

      21 유인석, "국역의암집3"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0

      22 유인석, "국역의암집2"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0

      23 유인석, "국역의암집1" 사단법인 의암학회 2010

      24 유인석, "국역소의신편" 사단법인 의암학회 2006

      25 김필수, "관자" 소나무 2012

      26 국민권익위원회, "공직자 행동강령 우수제도 사례집" 진한엠앤비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