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 The Types of the Rural Housing i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4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 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우진각・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 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번역하기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 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우진각・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 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ural housing is a key element of the rural landscape.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temporary rural housing. The research area is the eight rural settlements o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e for an understanding Korean rural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ural housing typ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Most roofing types but the flat roofing type belong to the traditional roofing types. Among the combined-style roofing(결합양식지붕) types, the pitched-and-flat roofing(경사-평지붕) type is about ten times more frequent than the pitched-and-pitched roofing(경사-경사지붕) type. The most frequent roofing materials are cement, precoated steel plate(컬러강판), and artificial slate(인조슬레이트). Five typical types of rural housing are derived from the remarkable combinations of roofing types and roofing materials in the research area.
      번역하기

      The rural housing is a key element of the rural landscape.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temporary rural housing. The research area is the eight rural settlements on the sea islands of ...

      The rural housing is a key element of the rural landscape.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temporary rural housing. The research area is the eight rural settlements o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e for an understanding Korean rural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ural housing typ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Most roofing types but the flat roofing type belong to the traditional roofing types. Among the combined-style roofing(결합양식지붕) types, the pitched-and-flat roofing(경사-평지붕) type is about ten times more frequent than the pitched-and-pitched roofing(경사-경사지붕) type. The most frequent roofing materials are cement, precoated steel plate(컬러강판), and artificial slate(인조슬레이트). Five typical types of rural housing are derived from the remarkable combinations of roofing types and roofing materials in the research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지붕의 분류를 위한 기준 설정
      • 3. 지붕 형태에 따른 가옥의 유형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지붕의 분류를 위한 기준 설정
      • 3. 지붕 형태에 따른 가옥의 유형
      • 4. 지붕 재료에 따른 가옥의 유형
      • 5. 요약 및 결론
      •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