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립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만5세반 유치원교사 총 200명에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울시의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실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15583
2004
Korean
실외놀이 ; 놀이터 ; outdoor play ; playground
37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9-57(19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 사립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만5세반 유치원교사 총 200명에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울시의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실외...
서울시 사립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만5세반 유치원교사 총 200명에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울시의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실외놀이 공간을 보유하고 있는 유치원이 많았으며 환경을 개선하여 옥상을 활용하는 경우가 다른 지역보다 많아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는 매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는 있으나 다양한 실내활동으로 인해 주 2-3회 운영하고 있었으며 교사는 실외놀이활동에서 안전에 대한 감독자의 역할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외놀이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신체발달과 함께 사회성 발달과 자연학습, 정서적 안정감 증진에 대해 기대하고 있으며 유치원 일과 중에서 실외놀이를 가능하면 계획하려고 노력하는 교사가 과반수를 넘었다. 그러나 실외놀이를 운영함에 있어 어려운 점으로는 프로그램 부족, 안전사고위험, 시간부족, 공간과 시설 부족 등을 지적하고 있어 해결해야할 과제가 아직 많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at. The subjects are 200 teachers in charge of 5-year old children. The results sh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at. The subjects are 200 teachers in charge of 5-year old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had their outdoor play spaces inspite of narrow space. Some of them used the rooftop for outdoor play improving on the circumstance, which is prevalent than the other region, it shows high understanding.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have a outdoor play time almost everyday but they had two or three times, because of various indoor program. And they mostly answered they looked after their kindergarteners' safety in a outdoor play time. They recognized that outdoor play can offer the chance of physic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and nature study, so they planned and tried to run outdoor play in a positive attitude. As their bottlenecks, they answered a lack of programs and play time, dangerousness of accident.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취학전 어린이들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Ⅱ: 3세와 5세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시기와 장소의 효과" 235-248, 1980
2 "유치원교육 관련자료" 교육부 2003
3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1999
4 "유치원 실외놀이의 운영실태 분석" 14 : 91-121, 1995
5 "유치원 실외놀이 환경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2000
6 "유치원 실외놀이 시설 및 운영 실태 - 서울시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2002
7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00
8 "유치원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실태" 2003
9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99
10 "유아기질에 따른 실외놀이 형태" 1998
1 "한국 취학전 어린이들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Ⅱ: 3세와 5세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시기와 장소의 효과" 235-248, 1980
2 "유치원교육 관련자료" 교육부 2003
3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1999
4 "유치원 실외놀이의 운영실태 분석" 14 : 91-121, 1995
5 "유치원 실외놀이 환경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2000
6 "유치원 실외놀이 시설 및 운영 실태 - 서울시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2002
7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00
8 "유치원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실태" 2003
9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99
10 "유아기질에 따른 실외놀이 형태" 1998
11 "유아교육시설에 관한 연구" 1992
12 "유아교육기관의 실외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 1994
13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시설 및 부대시설에 관한 연구" 1998
14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실태에 관한 양적, 질적 분석" 2000
15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01
16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설계모형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997
17 "어린이집 실외놀이 공간에 대한 실태조사 - 구립/민간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1998
18 "실외놀이장에서 교사의 활동계획 유무에 따른 아동의 놀이 행동에 관한 일 연구" 2 : 157-173, 1991
19 "실외놀이시설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와 놀이시설별 유아의 놀이형태" 2000
20 "실외놀이 유형에 따른 유아의 놀이형태" 1994
21 "실내의 놀이환경에 따른 유아의 놀이형태에 관한 연구" 1999
22 "새유아교육개론" 동문사 1994
23 "산본지역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활용 실태 조사" 2001
24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01
25 "Teaching young children: An introduction" Merrill 1999
26 "Preschool children's symbolic play indoors and outdo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 1994
27 "Playgrounds for young children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28-29, 1990
28 "Planning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1977
29 "Making playground safe for children and children safe for playground" 34 (34): 23-30, 1979
30 "Let's play outdoors" NAEYC 1996
31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Introduction" Merrill 1998
32 "A Curriculum for child care centers" 1974
33 "3세 이하 아동을 위한 양육시설 실제조사" 6 : 101-120, 1986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Reggio Emilia Approach)이 유아의 창의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2.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9 | 2.24 | 2.37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