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활요인이 탈수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활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supporting Factors on the Exit Intention from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upport Consciousnes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1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elf-supporting factors on the exit intention from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and how self-support consciousness works as a medium effect in these relationship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elf-support f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elf-supporting factors on the exit intention from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and how self-support consciousness works as a medium effect in these relationship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elf-support factors of the poor were categorized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and self-supporting capacity factors. It also clarifie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self-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research, 18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at three self-support centers in Seoul between October 19, 2018 and April 6, 2019. Statistical packages develop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ly institutional factors among the self-support factors influence in the intention of escaping from Basic Livelihood Security Right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and self-supporting capacity factors influence the self-support consciousness, which are the parameters. And the mediated effect was not verified as self-help consciousness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deviating from social welfare rights. It can be seen that a review of self-help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by each local self-help center is need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social interest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self-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boost the self-help participants' intention of escaping from Basic Livelihood Security Rights, a separate support system for customized self-support work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romoting a sense of vitalization, and that program operation is necessary for each level of self-support wi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요인들이 탈수급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요인간 관계에서 자활의식의매개효과가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빈곤층...

      본 연구는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요인들이 탈수급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요인간 관계에서 자활의식의매개효과가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빈곤층의 자활요인을 사회·문화적 요인, 제도적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 자활역량요인으로 범주화하였고, 자활의식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명확히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18 년 10월 19일부터 2019년 4월 6일 사이에 서울지역의 3개의 자활센터의 자활사업대상자로부터 184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일반 통계패키지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위하여 개발된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탈수급의도에서는 자활요인 중 제도적 요인만이 영향을 미치고, 매개변수인 자활의식에는 사회·문화적 요인, 제도적 요인, 자활역량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탈수급의도에는 자활의식이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현재 각 지역자활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자활고취교육에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의도를 진작시키기 위해서는 자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지원을 강화하여야 하며, 자활의식 고취를 위한 맞춤형 자활근로 및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별도의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자활의지 수준별로 프로그램운영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명,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760-771, 2016

      2 노대명, "한국자활산업의 평가와 전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3) : 62-99, 2002

      3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4 홍경준, "한국 빈곤정책의 변화와 향후과제 자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18 (18): 105-127, 2002

      5 장인협, "케어케이스 매니지먼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6 김태미,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탈수급에 미치는 영향 : 근로의욕를[실은 근로의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2

      7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8 이상록,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 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241-272, 2003

      9 류만희, "지역별 수급가구의 수급탈피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7) : 77-98, 2008

      10 권영은, "저소득층 자산형성사업의 효과성 –강원도 희망키움통장Ⅱ 사업 참여자의 연차별 생애계획 및 가족경제 안정성에 관한 인식" 한림대학교대학원 2017

      1 이화명,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760-771, 2016

      2 노대명, "한국자활산업의 평가와 전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3) : 62-99, 2002

      3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4 홍경준, "한국 빈곤정책의 변화와 향후과제 자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18 (18): 105-127, 2002

      5 장인협, "케어케이스 매니지먼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6 김태미,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탈수급에 미치는 영향 : 근로의욕를[실은 근로의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2

      7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8 이상록,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 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241-272, 2003

      9 류만희, "지역별 수급가구의 수급탈피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7) : 77-98, 2008

      10 권영은, "저소득층 자산형성사업의 효과성 –강원도 희망키움통장Ⅱ 사업 참여자의 연차별 생애계획 및 가족경제 안정성에 관한 인식" 한림대학교대학원 2017

      11 박경숙,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조사 및 자활프로그램" 2001

      12 김수현, "저소득 여성가구주 자활촉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실천과제" 2001

      13 박영란, "저소득 모자가정 여성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3 : 1999

      14 이인재, "자활후견기관 실무자 이직의도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229-256, 2003

      15 김영미,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여성참여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6 김태근, "자활지원사업 참여자의 자활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자활사업 종료자의 자활진입 및 진입소요기간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17 남혜진, "자활서비스 전달자의 태도가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달자의 태도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18 김승의,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7

      19 노희경, "자활사업참여자의 근로의욕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자활후견기관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20 천남일, "자활사업참여자의 근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21 정원오,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8) : 35-67, 2005

      22 이상록,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1 : 105-136, 2003

      23 박기희, "자활사업단의 네트워크와 사업성과에 관한 일 연구 : 경제적 수익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06

      24 박해긍, "자활사업단과 사회적기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5 엄태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취업에 대한 개인 및 지역자활센터 조직요인 연구 : 통합교육보조원 자활근로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26 엄태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영향요인 연구: 서울, 경인지역 장애아동 통합교육보조원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2 (12): 169-187, 2011

      27 배재숙,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2

      28 권민숙,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6 (26): 435-454, 2012

      29 변미숙,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30 이상미,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경남과학기술대학교산업복지대학원 2016

      31 이형하, "자활사업 참여 빈곤층의 자활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4

      32 이영철, "자활사업 집행기관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 위계선형모형(HLM)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227-252, 2009

      33 엄태영,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지지가 여성 자활근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전지역 가사ㆍ간병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18 : 1-24, 2008

      34 강철희, "자활보호가구의 자활보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탈피와 탈피율에 관한 실증적 분석: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생존표 분석을 이용한 접근" 31 : 87-118, 1997

      35 천명옥, "자활대상자를 위한 근로의욕증진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03

      36 원상숙,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근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37 김은영, "자활공동체 참여자의 자활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38 엄태영, "자활공동체 참여자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자활공동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39 조경숙, "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자특성과 탈수급계획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2015

      40 인천광역자활지원센터, "인천지역 저소득층 취업지원업무" 인천광역자활지원센터 2005

      41 노대명, "외환위기 이후 신빈곤문제의 현황과 과제" 도시와 빈곤 2002

      42 강남식, "여성 조건부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19 : 1-29, 2002

      43 김수현, "서울시 저소득 여성가구주를 위한 자활지원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44 최종희, "사회적 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45 박석돈, "사회보장론" 양서원 2008

      46 김진수, "빈곤의 순환고리들"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5

      47 성예현, "빈곤여성가장의 자립의지 영향 요인 : 가족지지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48 김은선, "빈곤여성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49 박용순, "빈곤과 자립" 학지사 2001

      50 조경식, "복지서비스공정성 만족에 대한 빈곤인식의 조절작용분석" 사회과학연구소 40 (40): 31-59, 2009

      51 허미경, "대전지역 자활근로 참여자의 자립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가사, 간병활동 참여자 중심으로"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52 이문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가구의 탈빈곤 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53 정영자,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경제적 자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노원구 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54 김민희, "근로연계복지정책으로서 자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55 이태진, "근로빈곤층의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56 김미곤, "근로능력 수급자의 탈수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7 양유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탈수급과 탈빈곤 관계에 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58 구인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근로유인효과 개선방안: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21 (21): 1-29, 2005

      59 노대명,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취업수급가구의 탈수급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성공적 탈수급 및 행정적 탈수급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7) : 333-360, 2011

      60 안서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출 결정요인: 근로능력자 집단별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99-226, 2011

      61 이원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동태의 특성 및 수급탈출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5-29, 2010

      62 손능수,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63 정진경, "공공부조수급자의 복지의존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4 曺興植, "都市貧困家族問題에 대한 社會事業實踐에 관한 연구 : 生態體系的 觀點의 問題査定道具 開發과 適用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65 Brooks, M. G., "Work and Welfare: Job Histories, Barriers to Employment, and Predictors of Work among Low income Single Mothers" 66 (66): 1996

      66 Bane, M., "Wellfare Realities: From Rhetoric to Reform"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67 Grogger, J., "Welfare Transitions In the 1990s: The Economy, Welfare Policy, and the EITC" 23 (23): 671-695, 2004

      68 Gottschalk, P., "Welfare Dependence: Concepts, Measure, and Trends" 84 (84): 38-42, 1994

      69 Plotnick, R., "Turnover in the AFDC Population: An Event History Analysis" 18 (18): 65-81, 1983

      70 Mecnaghan, E. G., "The Impact of Occupational and Economic Pressures on Young Mothers’ Self esteem: Evidence from the NLSY" 1990

      71 Hutchens, R., "Entry and Exit Transitions in a Government Transfer Programs : The Case of 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16 (16): 217-237, 1981

      72 Kalil, A., "Correlation of Employment among Welfare Recipients: d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matter?" 29 (29): 2001

      73 Danziger, Sandra, K., "Barriers to the Employment of Welfare Recipients" Poverty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University of Michigan 2000

      74 Blank. R., "Analyzing the length of Welfare Spells" 39 : 245-273, 1989

      75 Schmidt, L., "Addiction and Welfare Dependency : Interpreting the Connection" 49 (49): 221-241, 2002

      76 Boskin, J., "A Markov Model of Turnover In 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10 (10): 467-481, 1975

      77 보건복지부, "2011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

      78 보건복지부, "2010년 자활사업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2 1.2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