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인환, "황현산의 산문 : 비평의 원점" (겨울) : 2018
2 민형원, "현대철학의 글쓰기의 형식으로서의 에세이" 한국미학회 (30) : 137-168, 2001
3 이 찬, "한국 현대시론의 담론과 계보학" 한국연구원 2011
4 최문규, "파편과 형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5 송승환, "집중의 기술과 비평의 윤리: 황현산 비평집 『잘 표현된 불행" (가을) : 2012
6 조셉 니담, "중국의 과학과 문명Ⅱ" 을유문화사 1986
7 김인환, "인간 문명과 자연 세계:자연, 인간, 물질" 민음사 2014
8 이문재, "윤리는 기억이다: 황현산 비평에서 내가 찾은 한 과제" 2009
9 김인환, "원점: 황현산 평론집 『잘 표현된 불행』" (여름) : 2012
10 황현산, "우물에서 하늘 보기" 삼인 2015
1 김인환, "황현산의 산문 : 비평의 원점" (겨울) : 2018
2 민형원, "현대철학의 글쓰기의 형식으로서의 에세이" 한국미학회 (30) : 137-168, 2001
3 이 찬, "한국 현대시론의 담론과 계보학" 한국연구원 2011
4 최문규, "파편과 형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5 송승환, "집중의 기술과 비평의 윤리: 황현산 비평집 『잘 표현된 불행" (가을) : 2012
6 조셉 니담, "중국의 과학과 문명Ⅱ" 을유문화사 1986
7 김인환, "인간 문명과 자연 세계:자연, 인간, 물질" 민음사 2014
8 이문재, "윤리는 기억이다: 황현산 비평에서 내가 찾은 한 과제" 2009
9 김인환, "원점: 황현산 평론집 『잘 표현된 불행』" (여름) : 2012
10 황현산, "우물에서 하늘 보기" 삼인 2015
11 게오르그 루카치, "영혼과 형식" 심설당 1988
12 진은영, "에세이적 상상력: 논의를 위한 참고문헌들" (겨울) : 2007
13 김인환, "언어학과 문학" 작가 2010
14 성미영, "아도르노 철학에서 언어, 형세Konstellation, 에세이" 한국동서철학회 (60) : 265-289, 2011
15 김남석, "생각의 깊이, 글의 넓이-무관한 것들의 보이지 않는 연관성을 찾는 이들의 언어에 대하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2 (22): 309-317, 2018
16 황현산, "사소한 부탁" 난다 2018
17 테오도르 아도르노, "부정 변증법" 한길사 2009
18 황현산, "밤이 선생이다" 난다 2013
19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20 테오도르 아도르노, "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8
21 이상섭,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86
22 미셀 드 몽테뉴, "몽테뉴의 인생 에세이" 동서문화사 2005
23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1980
24 발터 벤야민, "독일 비애극의 원천" 한길사 2010
25 김형중, "단 한 권의 책: 김연수 장편소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에 대하여" (겨울) : 2007
26 김수영, "김수영 전집 2 : 산문" 민음사 2004
27 유성호, "기독교사상" 한국기독교서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