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왕조실록"
2 구산우,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22) : 217-249, 2007
3 "신증동국여지승람"
4 최병헌, "신라말 김해지방의 호족세력과 선종" 4 : 1979
5 김상돈, "신라말 구가야권의 김해 호족세력" 82 : 1996
6 구산우, "신라말 고려초 김해 창원지역의 호족과 鳳林山門" 한국중세사학회 (25) : 157-193, 2008
7 "삼국유사"
8 "삼국사기"
9 이현모, "나말여초 진주지역의 호족과 그 동향" 30 : 2004
10 이종봉, "나말여초 양주의 동향과 김인훈" 부경역사연구소 (13) : 87-112, 2003
1 "조선왕조실록"
2 구산우,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22) : 217-249, 2007
3 "신증동국여지승람"
4 최병헌, "신라말 김해지방의 호족세력과 선종" 4 : 1979
5 김상돈, "신라말 구가야권의 김해 호족세력" 82 : 1996
6 구산우, "신라말 고려초 김해 창원지역의 호족과 鳳林山門" 한국중세사학회 (25) : 157-193, 2008
7 "삼국유사"
8 "삼국사기"
9 이현모, "나말여초 진주지역의 호족과 그 동향" 30 : 2004
10 이종봉, "나말여초 양주의 동향과 김인훈" 부경역사연구소 (13) : 87-112, 2003
11 김광철, "고려후기 밀양 지역사회의 변동과 治所 이동" 석당학술원 (41) : 1-32, 2008
12 김광철,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석당학술원 (46) : 245-299, 2010
13 윤경진, "고려전기 道의 다원적 편성과 5道의 성립" 국학연구원 (135) : 1-46, 2006
14 한정훈, "고려시대 조운제와 마산 석두창" 한국중세사학회 (17) : 27-59, 2004
15 한정훈, "고려시대 13조창과 주변 교통로 연구" 한국중세사학회 (23) : 153-190, 2007
16 배상현, "고려시기 晉州牧 지역의 寺院과 佛典의 조성 -分司 南海大臟都람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72 : 1-39, 2003
17 "고려사"
18 "고려사절요"
19 "고려묘지명집성"
20 윤경진, "고려말 조선초 교군의 설치와 재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9-210, 2007
21 구산우, "고려말 성곽 축조와 향촌사회의 동향" 부산경남사학회 (75) : 233-273, 2010
22 김윤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23 이령, "고려 말의 왜구와 마산" 한국중세사학회 (17) : 103-133, 2004
24 朴宗基,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학회 (24) : 173-207, 2008
25 "경상도지리지"
26 "경상도속찬지리지"
27 김재명, "高麗의 漕運制度와 泗川 通陽倉" 한국중세사학회 (20) : 171-195, 2006
28 北村秀人, "高麗時代の漕倉制について, In 朝鮮歷史論集 , 上" 龍溪書舍 412-, 1979
29 배상현, "眞鏡 審希의 활동과 鳳林山門" 한국사학회 (74) : 99-129, 2004
30 邊東明, "城隍神 金忍訓 · 孫兢訓과 梁山 · 密陽" 고려사학회 (22) : 9-58,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