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농촌지역 여자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the Bullying Experience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5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bullying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 in a qualitative way. Ten female adolescents who were bullies in rural areas a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Fifty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regarding bullying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 are derived through interview methodology. Bullying experiences are categorized into bullying characteristics in rural areas, bullying mechanism, continuous bullying and emotional experiences through bullying behaviors. First, bullying characteristics include; there is a loner after others are paired up, inconvenience of intimacy among parents, exclusiveness of rural students, and maladjustment of transfer students. Second, bullying mechanism includes bullying initiated with victim mentality, bullying without any reason, and bullying from feeling different. Third,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show behavior changes in accordance to bullying roles such as leading bullying, self-protective bullying, routinized bullying behaviors. and bullying in cyberspace. Fourth,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emotionally experience through bullying behaviors, with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strong power of bullying, thrilling feelings, relieved feeling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of ambivalence, and self-reflective changes resulting in stopping bully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the prevention and guidance of bullying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bullying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 in a qualitative way. Ten female adolescents who were bullies in rural areas a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Fifty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reg...

      This study explores bullying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 in a qualitative way. Ten female adolescents who were bullies in rural areas a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Fifty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regarding bullying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 are derived through interview methodology. Bullying experiences are categorized into bullying characteristics in rural areas, bullying mechanism, continuous bullying and emotional experiences through bullying behaviors. First, bullying characteristics include; there is a loner after others are paired up, inconvenience of intimacy among parents, exclusiveness of rural students, and maladjustment of transfer students. Second, bullying mechanism includes bullying initiated with victim mentality, bullying without any reason, and bullying from feeling different. Third,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show behavior changes in accordance to bullying roles such as leading bullying, self-protective bullying, routinized bullying behaviors. and bullying in cyberspace. Fourth,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emotionally experience through bullying behaviors, with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strong power of bullying, thrilling feelings, relieved feeling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of ambivalence, and self-reflective changes resulting in stopping bully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the prevention and guidance of bullying of fe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여자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의 특징을 청소년의 입장에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 여자청소년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농촌지역 여자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관련하여 50개의 개념, 14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가해경험의 특징은 크게 농촌의 사회적 관계에 기반한 따돌림특성, 따돌림 발생기제, 멈춰지지 않고 반복되는 따돌림, 가해행동을 통한 정서적 경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우선, 농촌지역 따돌림특성으로는 두 명씩 짝이 되면서 외톨이가 생김, 부모들끼리 친밀함의 불편함, 농촌학생의 배타성과 전학생의 부적응으로 나타났다. 둘째, 따돌림 발생기제로는 피해의식으로 시작된 따돌림, 이유가 없는 따돌림, 다름을 느끼면서 시작된 따돌림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지역 여자청소년들은 가해과정에서 주도적인 따돌림, 자기보호적 따돌림, 따돌림의 일상화, 사이버 상에서의 따돌림을 통해 멈춰지지 않고 반복되는 따돌림을 경험하였다. 넷째, 농촌지역 여자청소년들은 가해 행동을 통한 정서적 경험을 하였다. 가해의 긍정정서로는 괴롭힘 그 강력한 힘과 통쾌함, 가해를 함께 하면서 느끼는 안도감을 경험하였다. 부정정서로는 따돌림 가해의 양가감정을 경험하면서, 정서적 체험을 통한 자기반성적 변화를 경험하고 따돌림을 중단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여자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 예방 및 지도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여자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의 특징을 청소년의 입장에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 여자청소년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여자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의 특징을 청소년의 입장에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 여자청소년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농촌지역 여자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관련하여 50개의 개념, 14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가해경험의 특징은 크게 농촌의 사회적 관계에 기반한 따돌림특성, 따돌림 발생기제, 멈춰지지 않고 반복되는 따돌림, 가해행동을 통한 정서적 경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우선, 농촌지역 따돌림특성으로는 두 명씩 짝이 되면서 외톨이가 생김, 부모들끼리 친밀함의 불편함, 농촌학생의 배타성과 전학생의 부적응으로 나타났다. 둘째, 따돌림 발생기제로는 피해의식으로 시작된 따돌림, 이유가 없는 따돌림, 다름을 느끼면서 시작된 따돌림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지역 여자청소년들은 가해과정에서 주도적인 따돌림, 자기보호적 따돌림, 따돌림의 일상화, 사이버 상에서의 따돌림을 통해 멈춰지지 않고 반복되는 따돌림을 경험하였다. 넷째, 농촌지역 여자청소년들은 가해 행동을 통한 정서적 경험을 하였다. 가해의 긍정정서로는 괴롭힘 그 강력한 힘과 통쾌함, 가해를 함께 하면서 느끼는 안도감을 경험하였다. 부정정서로는 따돌림 가해의 양가감정을 경험하면서, 정서적 체험을 통한 자기반성적 변화를 경험하고 따돌림을 중단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여자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 예방 및 지도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금주,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55-272, 2008

      2 문용린, "학교폭력의 발생과정에 대한 남녀 차이 분석: 피해자 상담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03-722, 2007

      3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21-149, 2010

      4 김영환,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 관련 연구에 관한 동향분석(1998-2013)"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2 (12): 93-115, 2015

      5 최지영,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2014 (2014): 99-104, 2014

      6 문용린,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 학지사 2006

      7 권정관,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에 관한 연구-구미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4 (4): 103-121, 2013

      8 이중섭,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81-308, 2012

      9 권이종, "학교 내에서의 집단따돌림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 내의 폭력을 중심으로" 7 (7): 1-37, 2000

      10 임현정,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Ⅲ):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 곽금주,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55-272, 2008

      2 문용린, "학교폭력의 발생과정에 대한 남녀 차이 분석: 피해자 상담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03-722, 2007

      3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21-149, 2010

      4 김영환,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 관련 연구에 관한 동향분석(1998-2013)"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2 (12): 93-115, 2015

      5 최지영,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2014 (2014): 99-104, 2014

      6 문용린,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 학지사 2006

      7 권정관,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에 관한 연구-구미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4 (4): 103-121, 2013

      8 이중섭,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81-308, 2012

      9 권이종, "학교 내에서의 집단따돌림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 내의 폭력을 중심으로" 7 (7): 1-37, 2000

      10 임현정,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Ⅲ):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1 권재기,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역할자 분석-잠재프로파일 탐색, 특성예측 및 종단적 변화양상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5) : 191-227, 2014

      12 박종효, "초등학생의 사회역량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학교 요인 탐색 : 학습문화와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2 (52): 89-116, 2014

      13 김석진, "초등학교 집단 따돌림 가해 실태와 관련요인 연구"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14 조주영,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301-323, 2014

      15 이상균,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관계망 분석" 8 (8): 121-138, 2003

      16 최준영,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자살 관련 태도"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223-238, 2007

      17 박성숙,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자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6 (16): 217-229, 2015

      18 박진규, "청소년 집단따돌림(왕따)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연구" 5 : 1-30, 2000

      19 김혜원,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에 따른 남녀 청소년들의 심리적 건강, 학교인식 및 학교적응에 대한 구조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73-198, 2011

      20 최은숙,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 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일 연구" 21 : 109-136, 2000

      21 이유미, "집단괴롭힘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가해, 피해, 중첩, 미경험 등 4개의 그룹 비교" 대한범죄학회 8 (8): 67-100, 2014

      22 김수정, "집단 따돌림의 가해·피해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사회적 요인" 한국상담학회 6 (6): 359-371, 2005

      23 박진영,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의 관련 변인 분석 - 부모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 30 (30): 45-67, 2011

      24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접근)" 학지사 2010

      25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26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1-232, 1998

      27 송남선, "중학생의 외톨이 정도, 따돌림 가해-피해 경험, 인생목적 및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11 : 131-159, 2005

      28 김원중, "왕따: 의미, 실태, 원인에 관한 종합적 고찰" 한국상담학회 5 (5): 451-472, 2004

      29 전미이, "여중생 학교폭력 행위자들의 집단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한국상담학회 10 (10): 1127-1147, 2009

      30 하정희, "여중생 학교폭력 가담자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69-86, 2011

      31 김성경, "여자청소년의 비행경험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0 (10): 487-510, 2003

      32 이귀숙, "여자 중학생의 집단따돌림과 심리사회적 적응: 2년 추적연" 2 (2): 1-17, 2005

      33 박미옥, "아동·청소년의 외상경험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1 (11): 23-43, 2014

      34 조윤오,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발생실태 및 유발요인 차이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155-179, 2013

      35 차운아, "부러움: 연합과 접근의 동기를 알리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51-72, 2010

      36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7

      37 하은혜, "또래동조성이 집단괴롭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내적 중재요인"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49-64, 2007

      38 최옥임, "또래 따돌림에서 가해 청소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사회정보처리 모델을 중심으로 -" 한국인간발달학회 10 (10): 73-89, 2003

      39 박진수, "도시와 농촌의 고등학생 집단따돌림 현상에 관한 비교연구 : 경기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0 이두휴, "도시와 농촌간 교육양극화 실태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21-148, 2011

      41 박영신,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질 : 지역, 부모의 기대, 부모자녀갈등,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5-41, 2011

      42 김경준, "농촌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분석" 13 (13): 85-97, 2006

      43 김정연,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 충청남도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27-44, 2014

      44 이은희, "농촌지역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욕구" 15 (15): 269-299, 2009

      45 김현주, "농촌지역 청소년의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6 최혜정, "농촌지역 청소년의 동네살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17-234, 2015

      47 김연순, "농촌과 도시 아동의 집단따돌림연구" 13 (13): 31-42, 2004

      48 마상진, "농촌 학교의 활성화 요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3 (33): 115-139, 2010

      49 박분희, "농촌 초등학교 아동들의 우정과 갈등 경험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247-260, 2012

      50 박희진, "농촌 초등학교 아동들의 또래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51 이삼석, "농촌 중학생들의 집단 따돌림 실태와 대처 방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2 구혜영, "농촌 여자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영향요인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5 : 7-29, 2013

      53 최지영,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13년"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81-200, 2014

      54 백지은, "개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집단 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9 (19): 1-16, 2015

      55 김지연, "가정폭력 직·간접 경험이 청소년의 비행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16 (16): 199-228, 2008

      56 Davis, K, "‘I was bullied too’ : stories of bullying and coping in an online community. Information" 18 (18): 357-375, 2015

      57 Jang, S. J, "Self-esteem,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A test of the self-enhancement thesis" 63 (63): 586-598, 1998

      58 Smith, R. L,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Clarifying mean level gender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with peer acceptance" 19 (19): 243-269, 2010

      59 Crick, N. R,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66 : 710-722, 1995

      60 Slee, P.T, "Peer victimization at schools" 19 (19): 3-11, 1994

      61 Wang, F. M, "Peer physical aggression and its association with aggressive beliefs, empathy, self-control, and cooperation skills among students in a rural town of China" 27 (27): 3252-3267, 2012

      62 Salmivalli, C, "Peer harassment in school: The plight of the vulnerable and the victimized" Guilford Press 398-419, 2001

      63 Troop-Gordon, W, "Parents’ beliefs about peer victimization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33 (33): 40-52, 2012

      64 Crick, N.R, "Engagement in gender normative versus nonnormative forms of aggression : Links to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33 : 610-617, 1997

      65 Konishi, C, "Do school bullying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matter for academic achievement? : A multilevel analysis" 25 (25): 19-39, 2010

      66 Smith, R.H, "Comprehending envy" 133 : 46-64, 2007

      67 Andreou, E, "Children’s bullying experiences expressed through drawings and self-reports" 31 (31): 164-177, 2010

      68 Rothon, C, "Can social support protect bullied adolescents from adverse outcomes? A prospective study on the effects of bullying o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at secondary schools in East London" 34 (34): 579-588, 2011

      69 Nansel, T.R, "Bullying behaviors among US Youth: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285 (285): 2094-2100, 2001

      70 Olweus, D, "Bullying at school" Blackwell 1993

      71 Hoover, J, "Bullies and victims" 25 (25): 212-219, 1991

      72 Olweus, D,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Hemisphere Press 1978

      73 Wyatt, T. J, "A sex-based examination of violence and aggression perceptions among adolescents : An interactive qualitative analysis" 15 (15): 823-851, 2010

      74 김성수, "21세기 농촌청소년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75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2014

      76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09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