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교육적 방향 탐색 = The Meaning of ‘Freedom’ in the Free-Semester Program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5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Free-Semester Program(FSP) has expanded to every middle school since 2016, It is needed to examine what ‘freedom’ in FSP exactly means and how we appreciate educational meanings of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meanings of freedom in FSP and educational directions it sugges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FSP and 『A Comprehensive Manual for Operating Free-Semester Program』, freedom in FSP has two aspects: (1) the freedom in curriculum and (2)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has a negative freedom which means releasing students from the burden of examinations and a positive ones which are to pursue students' happiness, to foster each individual’s dreams and talents, and to cultivate future-oriented competenci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logical grounds in FSP and validity of positive freedoms focusing on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In light of education for the good life as an educational aim J. White argues, three positive freedoms should be reinforc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as for ‘to pursue students happiness’, pleasures in schools represented as happiness in FSP should be educational ones which occur by engaging and immersing in worthwhile activities. Second, as for ‘to foster each individual’s dreams and talents,’ all preference of students is not always accepted unconditionally but should be an ‘well-informed’ desire which can be justified by rational grounds. Finally, to cultivate future-oriented competencies should focus on the future as well as the present students live in, and social values as well as inner values of education.
      번역하기

      As the Free-Semester Program(FSP) has expanded to every middle school since 2016, It is needed to examine what ‘freedom’ in FSP exactly means and how we appreciate educational meanings of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meanings of f...

      As the Free-Semester Program(FSP) has expanded to every middle school since 2016, It is needed to examine what ‘freedom’ in FSP exactly means and how we appreciate educational meanings of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meanings of freedom in FSP and educational directions it sugges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FSP and 『A Comprehensive Manual for Operating Free-Semester Program』, freedom in FSP has two aspects: (1) the freedom in curriculum and (2)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has a negative freedom which means releasing students from the burden of examinations and a positive ones which are to pursue students' happiness, to foster each individual’s dreams and talents, and to cultivate future-oriented competenci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logical grounds in FSP and validity of positive freedoms focusing on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In light of education for the good life as an educational aim J. White argues, three positive freedoms should be reinforc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as for ‘to pursue students happiness’, pleasures in schools represented as happiness in FSP should be educational ones which occur by engaging and immersing in worthwhile activities. Second, as for ‘to foster each individual’s dreams and talents,’ all preference of students is not always accepted unconditionally but should be an ‘well-informed’ desire which can be justified by rational grounds. Finally, to cultivate future-oriented competencies should focus on the future as well as the present students live in, and social values as well as inner values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 확대되지만, 자유의 의미가 정확히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부족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방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자유학기제의 개념과『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의 자유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의 자유는 크게 ‘교육과정상의 자유’와 ‘교육방향으로의 자유’로 나눌 수 있다. ‘교육방향으로서의 자유’는 ‘지필고사 면제’라는 소극적 자유와 ‘행복한 학교생활’, ‘학생들의 꿈과 끼 찾기’, ‘미래사회를 위한 역량 배양’이라는 적극적 자유로 나뉜다. 이 논문은 ‘교육방향으로서의 자유’에 초점을 맞추어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고, 자유학기제가 제시하는 교육적 방향이 타당한지 검토한다. 좋은 삶이라는 기준에 비추어 볼 때, ‘행복한 학교생활’은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행복으로 대표되는 즐거움이 교육 활동에의 참여와 몰두로부터 일어나는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즐거움이어야 한다는 점, ‘학생들의 꿈과 끼 찾기’는 학생 개개인의 선호가 무조건 다 수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타당한 근거를 동반한 식견 있는 욕구여야 한다는 점, ‘미래사회를 위한 역량 배양’은 그 초점이 미래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를 아우르는 좋은 삶을 고려해야 하고,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학생 내면의 성숙한 가치를 배양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완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 확대되지만, 자유의 의미가 정확히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부족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 확대되지만, 자유의 의미가 정확히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부족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방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자유학기제의 개념과『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의 자유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의 자유는 크게 ‘교육과정상의 자유’와 ‘교육방향으로의 자유’로 나눌 수 있다. ‘교육방향으로서의 자유’는 ‘지필고사 면제’라는 소극적 자유와 ‘행복한 학교생활’, ‘학생들의 꿈과 끼 찾기’, ‘미래사회를 위한 역량 배양’이라는 적극적 자유로 나뉜다. 이 논문은 ‘교육방향으로서의 자유’에 초점을 맞추어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고, 자유학기제가 제시하는 교육적 방향이 타당한지 검토한다. 좋은 삶이라는 기준에 비추어 볼 때, ‘행복한 학교생활’은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행복으로 대표되는 즐거움이 교육 활동에의 참여와 몰두로부터 일어나는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즐거움이어야 한다는 점, ‘학생들의 꿈과 끼 찾기’는 학생 개개인의 선호가 무조건 다 수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타당한 근거를 동반한 식견 있는 욕구여야 한다는 점, ‘미래사회를 위한 역량 배양’은 그 초점이 미래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를 아우르는 좋은 삶을 고려해야 하고,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학생 내면의 성숙한 가치를 배양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완이 요청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reire, Paulo, "페다고지" 그린비 2002

      2 이상은,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9-43, 2015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탐색을 위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4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교육부 2015

      6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 2013

      7 황규호, "중학교 「자유학기제」운영 모델 연구" 교육부 2013

      8 최상덕, "자유학기제 전면 확대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9 최상덕,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신철균,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일반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1 Freire, Paulo, "페다고지" 그린비 2002

      2 이상은,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9-43, 2015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탐색을 위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4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교육부 2015

      6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 2013

      7 황규호, "중학교 「자유학기제」운영 모델 연구" 교육부 2013

      8 최상덕, "자유학기제 전면 확대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9 최상덕,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신철균,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일반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11 최상덕, "자유학기제 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2 이수광, "자유학기제 안착 과제 발견을 위한 사고실험" 2016

      13 최상덕, "자유학기제 실행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3

      14 정영근,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5 강준만, "입시전쟁 잔혹사" 인물과사상사 2009

      16 Berlin, Isaiah,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2014

      17 Rousseau, Jean-Jacques, "에밀" 한길사 2003

      18 송슬기, "실존적ㆍ윤리적 자아정체성 교육: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진실성(Authenticity)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43-69, 2016

      19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 "대한민국 교육 40년" 한즈미디어 2007

      20 Aristotle,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21 최상덕, "꿈·끼 교육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22 이돈희, "교육정의론" 교육과학사 2004

      23 이정인, "교육의 비극적 현실에 대한 해석: 『시학』의 하마르티아(hamartia)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133-150, 2016

      24 White, J, "Exploring Well-being In Schools: A guide to making children's lives more fulfilling" Routledge 2011

      25 White, P. A,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Routledge and K. Paul 1972

      26 Hamm, "Cornel M. Philosophical Issues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3

      27 최상덕, "2015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운영 만족도 조사 결과" 한국교육개발원 2016

      28 최상덕,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학교별 사례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5

      29 최상덕,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