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reire, Paulo, "페다고지" 그린비 2002
2 이상은,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9-43, 2015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탐색을 위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4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교육부 2015
6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 2013
7 황규호, "중학교 「자유학기제」운영 모델 연구" 교육부 2013
8 최상덕, "자유학기제 전면 확대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9 최상덕,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신철균,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일반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1 Freire, Paulo, "페다고지" 그린비 2002
2 이상은,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9-43, 2015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탐색을 위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4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교육부 2015
6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 2013
7 황규호, "중학교 「자유학기제」운영 모델 연구" 교육부 2013
8 최상덕, "자유학기제 전면 확대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9 최상덕,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신철균,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일반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11 최상덕, "자유학기제 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2 이수광, "자유학기제 안착 과제 발견을 위한 사고실험" 2016
13 최상덕, "자유학기제 실행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3
14 정영근,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5 강준만, "입시전쟁 잔혹사" 인물과사상사 2009
16 Berlin, Isaiah,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2014
17 Rousseau, Jean-Jacques, "에밀" 한길사 2003
18 송슬기, "실존적ㆍ윤리적 자아정체성 교육: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진실성(Authenticity)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43-69, 2016
19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 "대한민국 교육 40년" 한즈미디어 2007
20 Aristotle,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21 최상덕, "꿈·끼 교육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22 이돈희, "교육정의론" 교육과학사 2004
23 이정인, "교육의 비극적 현실에 대한 해석: 『시학』의 하마르티아(hamartia)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133-150, 2016
24 White, J, "Exploring Well-being In Schools: A guide to making children's lives more fulfilling" Routledge 2011
25 White, P. A,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Routledge and K. Paul 1972
26 Hamm, "Cornel M. Philosophical Issues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3
27 최상덕, "2015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운영 만족도 조사 결과" 한국교육개발원 2016
28 최상덕,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학교별 사례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5
29 최상덕,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