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폐동맥 카테터(CCOmbo Swan-Ganz catheter)거치중발생한 희귀한 합병증 = Uncommon Complications Related to Pulmonary Artery Catheterization (CCOmbo Swan-Ganz cathe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7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se 1: A 30-year-old woman was scheduled for mitral valvuloplasty. A pulmonary artery (PA) catheter (Swan-Ganz CCOmbo model: 744HF75, EdwardsⓇ, USA) was inserted via an introducer (8.5 Fr) placed in the right external jugular vein. The tip of the catheter could not be passed from the external jugular vein to the subclavian vein. When we attempted to advance the PA catheter again 30 minutes later, it could not be advanced or withdrawn. The PA catheter was removed with an introducer. The tip of the introducer had curled up into the intralummial space and the PA catheter had impacted in the narrowed lumen.
      Case 2: A 48-year-old woman was scheduled for tricuspid annuloplasty. A PA catheter was inserted via an introducer placed in the right internal jugular vein without problem. After opening the right atrium and withdrawing the PA catheter, a vinyl strip was found to have torn away from the distal part of the PA catheter. (Korean J Anesthesiol 2004; 47: 442~5)
      번역하기

      Case 1: A 30-year-old woman was scheduled for mitral valvuloplasty. A pulmonary artery (PA) catheter (Swan-Ganz CCOmbo model: 744HF75, EdwardsⓇ, USA) was inserted via an introducer (8.5 Fr) placed in the right external jugular vein. The tip of the...

      Case 1: A 30-year-old woman was scheduled for mitral valvuloplasty. A pulmonary artery (PA) catheter (Swan-Ganz CCOmbo model: 744HF75, EdwardsⓇ, USA) was inserted via an introducer (8.5 Fr) placed in the right external jugular vein. The tip of the catheter could not be passed from the external jugular vein to the subclavian vein. When we attempted to advance the PA catheter again 30 minutes later, it could not be advanced or withdrawn. The PA catheter was removed with an introducer. The tip of the introducer had curled up into the intralummial space and the PA catheter had impacted in the narrowed lumen.
      Case 2: A 48-year-old woman was scheduled for tricuspid annuloplasty. A PA catheter was inserted via an introducer placed in the right internal jugular vein without problem. After opening the right atrium and withdrawing the PA catheter, a vinyl strip was found to have torn away from the distal part of the PA catheter. (Korean J Anesthesiol 2004; 47: 442~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심장수술의 마취관리에서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등 압력의 측정과 심박출량의 측정은 심기능과 혈관저항 등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다. 비침습적으로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전신혈관저항이나 폐혈관저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폐동맥 카테터를 삽입하여 폐동맥압과 심박출량을 측정하여야 한다. 폐동맥 카테터를 이용한 심박출량 측정은 열희석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각종 압력의 측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열희석법에 의한 심박출량 측정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고 일회 측정을 위하여 10 ml의 차가운 용액을 2-3회 주입하게 되므로 체온감소, 수액과다,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호흡, 용액을 주입하는 속도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정확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측정에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1970년 Swan 등에1) 의해 폐동맥 카테터가 개발된 이후 지속적인 심박출량의 측정(continuous cardiac output measurement)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대되어 도플러를 이용한 방법, 식도심초음파를 이용한 방법, 동맥압 파형분석법, 대동맥 혈류의 전기자장 측정법 등이 개발되었으나 기술적인 문제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성공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2) 최근 임상에서는 1990년 Yelderman이3) 개발한 간헐온열희석법(pulsed warm thermodilution)을 이용한 폐동맥 카테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폐동맥 카테터는 우심실 위치에(15-25 cm) 열선을 장치하여 44oC 이하의 열을 혈액으로 전달하여 폐동맥 카테터 끝에 위치한 온도계로 온도차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심박출량을 계산하는 감시 장치이다. 최근에는 심박출량 뿐만 아니라 혼합정맥혈 산소 포화도, 이완기말 용적을 측정하는 카테터가 개발되어 자동적으로 모든 심장 지표들을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폐동맥 카테터의 거치는 심장 수술 등의 마취관리 시 심기능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침습적인 방법이므로 여러 가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심장 수술을 위해 지속적 심박출량을 감시할 수 있는 폐동맥 카테터(Swan-Ganz CCOmbo 모델명: 744HF75, EdwardsⓇ USA)를 거치하는 도중 희귀한 합병증 2례를 경험하였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심장수술의 마취관리에서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등 압력의 측정과 심박출량의 측정은 심기능과 혈관저항 등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다. 비침습적으로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

      심장수술의 마취관리에서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등 압력의 측정과 심박출량의 측정은 심기능과 혈관저항 등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다. 비침습적으로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전신혈관저항이나 폐혈관저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폐동맥 카테터를 삽입하여 폐동맥압과 심박출량을 측정하여야 한다. 폐동맥 카테터를 이용한 심박출량 측정은 열희석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각종 압력의 측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열희석법에 의한 심박출량 측정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고 일회 측정을 위하여 10 ml의 차가운 용액을 2-3회 주입하게 되므로 체온감소, 수액과다,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호흡, 용액을 주입하는 속도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정확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측정에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1970년 Swan 등에1) 의해 폐동맥 카테터가 개발된 이후 지속적인 심박출량의 측정(continuous cardiac output measurement)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대되어 도플러를 이용한 방법, 식도심초음파를 이용한 방법, 동맥압 파형분석법, 대동맥 혈류의 전기자장 측정법 등이 개발되었으나 기술적인 문제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성공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2) 최근 임상에서는 1990년 Yelderman이3) 개발한 간헐온열희석법(pulsed warm thermodilution)을 이용한 폐동맥 카테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폐동맥 카테터는 우심실 위치에(15-25 cm) 열선을 장치하여 44oC 이하의 열을 혈액으로 전달하여 폐동맥 카테터 끝에 위치한 온도계로 온도차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심박출량을 계산하는 감시 장치이다. 최근에는 심박출량 뿐만 아니라 혼합정맥혈 산소 포화도, 이완기말 용적을 측정하는 카테터가 개발되어 자동적으로 모든 심장 지표들을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폐동맥 카테터의 거치는 심장 수술 등의 마취관리 시 심기능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침습적인 방법이므로 여러 가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심장 수술을 위해 지속적 심박출량을 감시할 수 있는 폐동맥 카테터(Swan-Ganz CCOmbo 모델명: 744HF75, EdwardsⓇ USA)를 거치하는 도중 희귀한 합병증 2례를 경험하였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esting the safety of Baxter continuous cardiac output monitoring system" 12 : 243-249, 1996

      2 "Right ventricular perforation by a pulmonary artery catheter" 42 : 551-554, 2002

      3 "Reproducibility of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determin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Comparison between bolus and continuous method" 12 : 379-385, 1996

      4 "Knotting of pulmonary artery catheter in cardiac transplantation" 37 : 341-345, 1999

      5 "Hemodynamic monitoring in Cardiac Anesthesia.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321-358, 1999

      6 "Evaluation of a new continuous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monitor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criterion standard study" 23 : 860-866, 1995

      7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cardiac output by thermodilution" 40 : 142-153, 1993

      8 "Continuous versus intermittent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measurement during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52 : 207-214, 1997

      9 "Continuous versus intermittent cardiac output measurement in cardiac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9 : 405-411, 1995

      10 "Continuous versus bolus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measurements-A comparative study" 23 : 944-949, 1995

      1 "Testing the safety of Baxter continuous cardiac output monitoring system" 12 : 243-249, 1996

      2 "Right ventricular perforation by a pulmonary artery catheter" 42 : 551-554, 2002

      3 "Reproducibility of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determin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Comparison between bolus and continuous method" 12 : 379-385, 1996

      4 "Knotting of pulmonary artery catheter in cardiac transplantation" 37 : 341-345, 1999

      5 "Hemodynamic monitoring in Cardiac Anesthesia.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321-358, 1999

      6 "Evaluation of a new continuous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monitor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criterion standard study" 23 : 860-866, 1995

      7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cardiac output by thermodilution" 40 : 142-153, 1993

      8 "Continuous versus intermittent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measurement during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52 : 207-214, 1997

      9 "Continuous versus intermittent cardiac output measurement in cardiac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9 : 405-411, 1995

      10 "Continuous versus bolus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measurements-A comparative study" 23 : 944-949, 1995

      11 "Continuous measurement of cardiac output with the use of stochastic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s" 6 : 322-332, 1990

      12 "Continuous cardiac output: Myth or reality?" 40 : 98-102, 1993

      13 "Complications of the Swan-Ganz catheter" 8 : 76-81, 1984

      14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ulmonary artery catheterization" 5 : 259-263, 1997

      15 "Catheterization of the heart in man with use of a flow-directed balloon-tipped catheter" 283 : 447-451, 1970

      16 "Anesthesia"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156-1164, 2000

      17 "A review of pulmonary artery catheterization in 6,245 patients" 61 : 275-,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마취과학회 -> 대한마취통증의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7-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마취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9 0.27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