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中期 문화의 패턴과 그 표현 양상-山水와 人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 of culture in the mid-Joseon Dynasty: Focused on a landscape and a per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61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ttern of culture is a meaningful symbolic system that controls human behavior. It is a human-created context, but it also functions as a framework for determining human reasoning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the limited study of the mid-Joseon dynasty(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of the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dea that the pattern of culture that can cover the whole life as the central point of synthesis is suitabl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spect of the inhabitants of the Joseon dynasty looking at the landscape and the person,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minent cultural patterns in the mid-Joseon Dynasty as follows.
      The pattern of culture that emerged in the mid-Joseon Dynasty emphasized the individual, the phenomenon, the subject, the pluralism,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pattern of culture that emerg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at emphasizes the universal, the permanent existence, the given principle, the scholarship, the ethics, and the attitude to abstain from expression and inspiration. In addition, it shares a certain circuit with the mid-Joseon Dynasty, but also differs from the pattern of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moved to the direction of the personality and the taste, the fact and the reality, the everyday life and the utility.
      The patterns of cultural pattern in the mid-Joseon Dynasty was based on self-reflection, attitude that emphasizes the naturalness and the secrets of nature, and the flavor of Lao-tzu and Chuang-tzu. Self-reflection made them be able to become aware of the identity, symbol and personality of the self, and the naturalness and the secrets of nature made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genuinely, and the flavor of Lao-tzu and Chuang-tzu promoted pluralism. And the character of the main cultural leadership in the mid-Joseon period also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patterns. In particular, they acted more as an administrator, as a writer and as a diplomat than as a scholar, they were able to quickly accept the latest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acted mainly in the capital Hanyang(漢陽), which was able to breathe with various human groups.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cultural pattern of the mid-Joseon Dynasty distinguished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it was limited to arithmetic and human figures, it had to be seen from a limited perspective. But The fact that I examined and revealed the possibility i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번역하기

      The pattern of culture is a meaningful symbolic system that controls human behavior. It is a human-created context, but it also functions as a framework for determining human reasoning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the limit...

      The pattern of culture is a meaningful symbolic system that controls human behavior. It is a human-created context, but it also functions as a framework for determining human reasoning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the limited study of the mid-Joseon dynasty(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of the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dea that the pattern of culture that can cover the whole life as the central point of synthesis is suitabl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spect of the inhabitants of the Joseon dynasty looking at the landscape and the person,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minent cultural patterns in the mid-Joseon Dynasty as follows.
      The pattern of culture that emerged in the mid-Joseon Dynasty emphasized the individual, the phenomenon, the subject, the pluralism,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pattern of culture that emerg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at emphasizes the universal, the permanent existence, the given principle, the scholarship, the ethics, and the attitude to abstain from expression and inspiration. In addition, it shares a certain circuit with the mid-Joseon Dynasty, but also differs from the pattern of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moved to the direction of the personality and the taste, the fact and the reality, the everyday life and the utility.
      The patterns of cultural pattern in the mid-Joseon Dynasty was based on self-reflection, attitude that emphasizes the naturalness and the secrets of nature, and the flavor of Lao-tzu and Chuang-tzu. Self-reflection made them be able to become aware of the identity, symbol and personality of the self, and the naturalness and the secrets of nature made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genuinely, and the flavor of Lao-tzu and Chuang-tzu promoted pluralism. And the character of the main cultural leadership in the mid-Joseon period also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patterns. In particular, they acted more as an administrator, as a writer and as a diplomat than as a scholar, they were able to quickly accept the latest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acted mainly in the capital Hanyang(漢陽), which was able to breathe with various human groups.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cultural pattern of the mid-Joseon Dynasty distinguished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it was limited to arithmetic and human figures, it had to be seen from a limited perspective. But The fact that I examined and revealed the possibility i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의 패턴은 인간의 행동을 제어하는 유의미한 상징체계이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맥락이지만 인간의 사유와 행동을 결정하는 틀로서도 기능한다. 본고의 목적은 山水와 人物을 인식하고 표현한 글을 통해 그간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한문학계의 조선중기(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연구를 제한적이나마 종합하려는 데 있다. 이에 본고는 종합의 구심점으로서 삶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문화의 패턴이 적합하다는 생각에 이것을 연구의 중심으로 삼았다.
      조선시대 문인지식인들이 산수와 인물을 바라보고 표현한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결과, 조선중기에 두드러진 문화의 패턴이 지닌 특징을 다음과 같이 再構할 수 있었다.
      조선중기에 부각된 문화의 패턴은 ‘개별, 현상, 주체의 경험과 판단, 多元’을 중시하며, ‘사유와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조선전기에 부상해서 그 이후까지 공존했던 ‘보편[基體], 영구불변의 실재, 주어진 원리, 학문과 윤리’를 중시하며, ‘형상과 감흥의 표현을 절제’하는 모습을 보이는 문화의 패턴과 변별된다. 아울러 조선중기와 일정한 回路를 공유하지만 ‘개성과 취향, 사실과 실재, 일상과 효용’의 방향으로 옮겨 간 조선후기의 그것과도 차이를 보인다.
      조선중기 문화의 패턴이 이와 같은 양상을 띠게 된 근거로는 우선, 자기성찰, 天眞과 天機를 중시하던 태도, 老莊的 사유의 풍미 등을 들 수 있다. 자기성찰을 통해 자아의 정체성과 기호 및 개성을 자각할 수 있었고, ‘천진’과 ‘천기’는 자신의 사유와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게 했으며, 노장의 사유는 多元性을 촉진했다. 다음으로, 조선중기 주요 문화 담당층의 성격 역시 그 형성에 기여하였다. 특히 道學者이기보다 經世家이자 文章家이며 使臣으로서 최신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었고, 다양한 인간 군상들과 호흡할 수 있던 수도 漢陽을 중심으로 활동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로써 볼 때, 조선전기나 후기와 변별되는 조선중기만의 문화의 패턴을 재구하는 일은 가능하며, 산수와 인물에 국한시켰기에 제한된 시각으로 볼 수밖에 없었지만, 그 가능성을 조감하고 현시했다는 사실이 본 연구가 지닌 의의이다.
      번역하기

      문화의 패턴은 인간의 행동을 제어하는 유의미한 상징체계이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맥락이지만 인간의 사유와 행동을 결정하는 틀로서도 기능한다. 본고의 목적은 山水와 人物을 인식하고...

      문화의 패턴은 인간의 행동을 제어하는 유의미한 상징체계이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맥락이지만 인간의 사유와 행동을 결정하는 틀로서도 기능한다. 본고의 목적은 山水와 人物을 인식하고 표현한 글을 통해 그간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한문학계의 조선중기(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연구를 제한적이나마 종합하려는 데 있다. 이에 본고는 종합의 구심점으로서 삶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문화의 패턴이 적합하다는 생각에 이것을 연구의 중심으로 삼았다.
      조선시대 문인지식인들이 산수와 인물을 바라보고 표현한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결과, 조선중기에 두드러진 문화의 패턴이 지닌 특징을 다음과 같이 再構할 수 있었다.
      조선중기에 부각된 문화의 패턴은 ‘개별, 현상, 주체의 경험과 판단, 多元’을 중시하며, ‘사유와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조선전기에 부상해서 그 이후까지 공존했던 ‘보편[基體], 영구불변의 실재, 주어진 원리, 학문과 윤리’를 중시하며, ‘형상과 감흥의 표현을 절제’하는 모습을 보이는 문화의 패턴과 변별된다. 아울러 조선중기와 일정한 回路를 공유하지만 ‘개성과 취향, 사실과 실재, 일상과 효용’의 방향으로 옮겨 간 조선후기의 그것과도 차이를 보인다.
      조선중기 문화의 패턴이 이와 같은 양상을 띠게 된 근거로는 우선, 자기성찰, 天眞과 天機를 중시하던 태도, 老莊的 사유의 풍미 등을 들 수 있다. 자기성찰을 통해 자아의 정체성과 기호 및 개성을 자각할 수 있었고, ‘천진’과 ‘천기’는 자신의 사유와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게 했으며, 노장의 사유는 多元性을 촉진했다. 다음으로, 조선중기 주요 문화 담당층의 성격 역시 그 형성에 기여하였다. 특히 道學者이기보다 經世家이자 文章家이며 使臣으로서 최신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었고, 다양한 인간 군상들과 호흡할 수 있던 수도 漢陽을 중심으로 활동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로써 볼 때, 조선전기나 후기와 변별되는 조선중기만의 문화의 패턴을 재구하는 일은 가능하며, 산수와 인물에 국한시켰기에 제한된 시각으로 볼 수밖에 없었지만, 그 가능성을 조감하고 현시했다는 사실이 본 연구가 지닌 의의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秉休, "한국사28 : 조선 중기 사람세력의 등장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1-12, 2013

      2 이수건, "한국사 30 :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13-179, 2013

      3 "한국고전종합DB"

      4 안득용,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64) : 9-52, 2017

      5 김우정, "최립산문의 예술경계" 한국학술정보 13-262, 2006

      6 백종현,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철학과 현실사 126-127, 2007

      7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5-53, 2006

      8 계승범, "중종의 시대 :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역사비평사 18-195, 2014

      9 陳蒲淸, "중국우언문학사" 14-15, 1994

      10 徐復觀, "중국예술정신" 東文選 406-411, 1990

      1 李秉休, "한국사28 : 조선 중기 사람세력의 등장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1-12, 2013

      2 이수건, "한국사 30 :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13-179, 2013

      3 "한국고전종합DB"

      4 안득용,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64) : 9-52, 2017

      5 김우정, "최립산문의 예술경계" 한국학술정보 13-262, 2006

      6 백종현,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철학과 현실사 126-127, 2007

      7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5-53, 2006

      8 계승범, "중종의 시대 :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역사비평사 18-195, 2014

      9 陳蒲淸, "중국우언문학사" 14-15, 1994

      10 徐復觀, "중국예술정신" 東文選 406-411, 1990

      11 정 민, "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125-153, 2003

      12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13 안대회, "조선후기 小品文의 실체" 태학사 25-396, 2003

      14 김 돈,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30-38, 2013

      15 李喜中, "조선중기 서인계 ‘문장가’의 활동과 고문론의 전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한국사학과 35 : 71-132, 1996

      16 안세현, "조선중기 누정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7 임준철, "조선중기 漢詩 意象 연구 : 조선중기 한시 이미지 연구" 일지사 21-, 2010

      18 윤재민, "조선시대, 삶과 생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77-207, 2000

      19 정우봉, "조선 후기 산문이론의 전개와 그 성격( ) 16세기 말-17세기 초중반을 중심으로" (창간) : 147-174, 2000

      20 안대회, "조선 후기 小品體 遊記의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79) : 211-243, 2012

      21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너머북스 143-435, 2018

      22 김하라, "유만주의 『흠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3 김영미, "어우 유몽인의 산문론과 산문의 서술방식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24 심경호, "실학시대의 여행" 한국실학학회 (12) : 47-90, 2006

      25 권내현,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468-478, 2017

      26 송혁기, "새 민족문학사 강좌01" 창비 237-249, 2009

      27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65-66, 2012

      28 그래엄 터너, "문화 연구 입문" 한나래 74-, 1995

      29 권문해, "대동운부군옥" 소명출판 2007

      30 A. N. 화이트헤드, "과학과 근대세계" 서광사 2005

      31 崔奇男, "龜谷詩稿" 민족문화추진회 2006

      32 尹宣擧, "魯西遺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33 崔在錫, "韓國家族制度史硏究" 一志社 362-768, 1986

      34 黃俊良, "錦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5 李 滉,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6 김광년, "象村 申欽 散文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7 張 維, "谿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8 趙 翼, "蒲菹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9 成 侃, "眞逸遺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40 李景奭, "白軒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41 서한석, "白沙 李恒福의 散文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42 李 瑀, "玉山詩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43 김우정, "玄洲 趙纘韓 散文의 硏究 -17세기 초 文壇의 風情과 관련하여-" 한국한문교육학회 (31) : 311-336, 2008

      44 李 植, "澤堂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45 金尙憲, "淸陰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46 兪晩柱, "欽英"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47 李 珥, "栗谷全書" 민족문화추진회 1988

      48 구만옥, "朝鮮後期 潮汐說과 ‘東海無潮汐論’"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1 : 42-47, 2001

      49 禹應順, "朝鮮中期 四大家의 文學論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50 崔漢綺, "明南樓叢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51 柳夢寅, "於于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52 李來宗, "慵夫傳 의 新考察"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6 : 49-54, 1990

      53 許 筠, "惺所覆瓿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54 李 鈺, "完譯 李玉全集" 휴머니스트 2009

      55 沈魯崇, "孝田散稿" 학자원 2014

      56 申叔舟, "保閑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57 張少康, "中國古典文學創作論" 법인문화사 11-30, 2000

      58 金昌翕, "三淵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59 鄭道傳, "三峯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60 조도현, "<慵夫傳>에 나타난 조선전기 사대부의 규범 일탈과 문학성" 인문과학연구소 53 (53): 359-382, 2015

      61 신승훈,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기 문학이론의 다변화 양상 : 유몽인·이수광·신흠·허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2 안득용,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연구 : 公에서 私로의 전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7-41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