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李秉休, "한국사28 : 조선 중기 사람세력의 등장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1-12, 2013
2 이수건, "한국사 30 :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13-179, 2013
3 "한국고전종합DB"
4 안득용,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64) : 9-52, 2017
5 김우정, "최립산문의 예술경계" 한국학술정보 13-262, 2006
6 백종현,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철학과 현실사 126-127, 2007
7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5-53, 2006
8 계승범, "중종의 시대 :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역사비평사 18-195, 2014
9 陳蒲淸, "중국우언문학사" 14-15, 1994
10 徐復觀, "중국예술정신" 東文選 406-411, 1990
1 李秉休, "한국사28 : 조선 중기 사람세력의 등장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1-12, 2013
2 이수건, "한국사 30 :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국사편찬위원회 13-179, 2013
3 "한국고전종합DB"
4 안득용,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64) : 9-52, 2017
5 김우정, "최립산문의 예술경계" 한국학술정보 13-262, 2006
6 백종현,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철학과 현실사 126-127, 2007
7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5-53, 2006
8 계승범, "중종의 시대 :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역사비평사 18-195, 2014
9 陳蒲淸, "중국우언문학사" 14-15, 1994
10 徐復觀, "중국예술정신" 東文選 406-411, 1990
11 정 민, "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125-153, 2003
12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13 안대회, "조선후기 小品文의 실체" 태학사 25-396, 2003
14 김 돈,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30-38, 2013
15 李喜中, "조선중기 서인계 ‘문장가’의 활동과 고문론의 전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한국사학과 35 : 71-132, 1996
16 안세현, "조선중기 누정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7 임준철, "조선중기 漢詩 意象 연구 : 조선중기 한시 이미지 연구" 일지사 21-, 2010
18 윤재민, "조선시대, 삶과 생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77-207, 2000
19 정우봉, "조선 후기 산문이론의 전개와 그 성격( ) 16세기 말-17세기 초중반을 중심으로" (창간) : 147-174, 2000
20 안대회, "조선 후기 小品體 遊記의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79) : 211-243, 2012
21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너머북스 143-435, 2018
22 김하라, "유만주의 『흠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3 김영미, "어우 유몽인의 산문론과 산문의 서술방식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24 심경호, "실학시대의 여행" 한국실학학회 (12) : 47-90, 2006
25 권내현,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468-478, 2017
26 송혁기, "새 민족문학사 강좌01" 창비 237-249, 2009
27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65-66, 2012
28 그래엄 터너, "문화 연구 입문" 한나래 74-, 1995
29 권문해, "대동운부군옥" 소명출판 2007
30 A. N. 화이트헤드, "과학과 근대세계" 서광사 2005
31 崔奇男, "龜谷詩稿" 민족문화추진회 2006
32 尹宣擧, "魯西遺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33 崔在錫, "韓國家族制度史硏究" 一志社 362-768, 1986
34 黃俊良, "錦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5 李 滉,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6 김광년, "象村 申欽 散文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7 張 維, "谿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8 趙 翼, "蒲菹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39 成 侃, "眞逸遺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40 李景奭, "白軒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41 서한석, "白沙 李恒福의 散文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42 李 瑀, "玉山詩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43 김우정, "玄洲 趙纘韓 散文의 硏究 -17세기 초 文壇의 風情과 관련하여-" 한국한문교육학회 (31) : 311-336, 2008
44 李 植, "澤堂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45 金尙憲, "淸陰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46 兪晩柱, "欽英"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47 李 珥, "栗谷全書" 민족문화추진회 1988
48 구만옥, "朝鮮後期 潮汐說과 ‘東海無潮汐論’"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1 : 42-47, 2001
49 禹應順, "朝鮮中期 四大家의 文學論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50 崔漢綺, "明南樓叢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51 柳夢寅, "於于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52 李來宗, "慵夫傳 의 新考察"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6 : 49-54, 1990
53 許 筠, "惺所覆瓿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54 李 鈺, "完譯 李玉全集" 휴머니스트 2009
55 沈魯崇, "孝田散稿" 학자원 2014
56 申叔舟, "保閑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57 張少康, "中國古典文學創作論" 법인문화사 11-30, 2000
58 金昌翕, "三淵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59 鄭道傳, "三峯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60 조도현, "<慵夫傳>에 나타난 조선전기 사대부의 규범 일탈과 문학성" 인문과학연구소 53 (53): 359-382, 2015
61 신승훈,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기 문학이론의 다변화 양상 : 유몽인·이수광·신흠·허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2 안득용,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연구 : 公에서 私로의 전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7-416,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