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滄溪 林泳의 독서 기록을 활용한 대학생 서평 쓰기의 순서 제안 = A Suggestion of Writing Book Review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Reading Records of of Changgye(滄溪) Lim Young(林泳)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6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attempted to propose the order of book review in today'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by using the words "reading charok(读书箚錄)" and "illok(日錄) of Changgye(滄溪) Lim Young(林泳), which left numerous reading records during the mid Joseon period. In the 17th century, a book written by Changgye, which left a large volume of reading records, we were able to suggest the order of the book reviews, assuming that there would be implications for today's University students to write a book review in liberal arts education.
      As a result, first, we can propose a method of identifying the author's main points and summarizing them. Second, it is possible to present a central sentence or point of a self doubt or incomprehensible part, and then clarify the details of the question and suggest that it be written in the direction of raising. I can also suggest a direction to present impressive sentences or contents that are memorable for the entire article, and to describe the effect and the change that they gave me. Finally, it can be suggested to point out the areas found by limitations in your reading and to write with overall significance. Finally, it can be suggested to point out the areas found by limitations in your reading and to write with overall significance.
      번역하기

      This paper was attempted to propose the order of book review in today'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by using the words "reading charok(读书箚錄)" and "illok(日錄) of Changgye(滄溪) Lim Young(林泳), which left numerous reading records during...

      This paper was attempted to propose the order of book review in today'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by using the words "reading charok(读书箚錄)" and "illok(日錄) of Changgye(滄溪) Lim Young(林泳), which left numerous reading records during the mid Joseon period. In the 17th century, a book written by Changgye, which left a large volume of reading records, we were able to suggest the order of the book reviews, assuming that there would be implications for today's University students to write a book review in liberal arts education.
      As a result, first, we can propose a method of identifying the author's main points and summarizing them. Second, it is possible to present a central sentence or point of a self doubt or incomprehensible part, and then clarify the details of the question and suggest that it be written in the direction of raising. I can also suggest a direction to present impressive sentences or contents that are memorable for the entire article, and to describe the effect and the change that they gave me. Finally, it can be suggested to point out the areas found by limitations in your reading and to write with overall significance. Finally, it can be suggested to point out the areas found by limitations in your reading and to write with overall signific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인 滄溪 林泳의 독서 기록을 활용하여 오늘날 대학 교양 교육에서 과제로 많이 부여하는 서평의 순서를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창계는 17세기 임․병 양란 이후에 태어나 자신의 문집에 「讀書箚錄」과 「日錄」 등 많은 양의 독서 기록을 남겼다. 여기서 창계가 따로 독서론을 서술하지는 않았으나, 유가의 전통적인 공부법인 ‘道問學 尊德性’에 따르면서 평생에 걸쳐 학문하는 방법이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며, 당시 스승에게 전수받은 ‘細攷’의 독서법을 적용해 독서하고 학문한 기록을 남겨 놓았다. 이러한 창계의 학문에 대해서는 기존에 퇴계와 율곡을 절충했다거나 실학파의 경학에 우선한다는 평과 함께 경학사에서 주목받았다. 이에 창계의 독서 기록을 통해 오늘날 대학생의 교양 교육에서도 특히 서평을 쓸 때 시사 받을 점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그 주된 내용과 방식을 추출해본 결과, 서평의 순서를 제안해볼 수 있었다.
      그 결과로 첫째, 저자의 주된 논점이 무엇인지를 세밀히 파악하고 그 논점이 전개되는 방향에 따라 내용을 요약하는 방식을 제안해볼 수 있다. 둘째, 스스로 의문을 가진 점이나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의 중심 문장이나 논점을 제시한 후, 그 내용을 자세히 정리하며 의심한 점을 파악하고 문제제기하는 방향으로 쓸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또 글 전체에서 꼽을 만하다고 기억에 남는 인상적인 문장 또는 내용을 제시하고, 나에게 어떠한 효과, 변화를 주었는지에 대해 서술하는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읽은 글에서 한계로 발견되는 부분을 지적하고, 전체적인 의의를 부여하여 쓸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인 滄溪 林泳의 독서 기록을 활용하여 오늘날 대학 교양 교육에서 과제로 많이 부여하는 서평의 순서를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창계는 17세기 임․병 양란 이후에 태...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인 滄溪 林泳의 독서 기록을 활용하여 오늘날 대학 교양 교육에서 과제로 많이 부여하는 서평의 순서를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창계는 17세기 임․병 양란 이후에 태어나 자신의 문집에 「讀書箚錄」과 「日錄」 등 많은 양의 독서 기록을 남겼다. 여기서 창계가 따로 독서론을 서술하지는 않았으나, 유가의 전통적인 공부법인 ‘道問學 尊德性’에 따르면서 평생에 걸쳐 학문하는 방법이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며, 당시 스승에게 전수받은 ‘細攷’의 독서법을 적용해 독서하고 학문한 기록을 남겨 놓았다. 이러한 창계의 학문에 대해서는 기존에 퇴계와 율곡을 절충했다거나 실학파의 경학에 우선한다는 평과 함께 경학사에서 주목받았다. 이에 창계의 독서 기록을 통해 오늘날 대학생의 교양 교육에서도 특히 서평을 쓸 때 시사 받을 점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그 주된 내용과 방식을 추출해본 결과, 서평의 순서를 제안해볼 수 있었다.
      그 결과로 첫째, 저자의 주된 논점이 무엇인지를 세밀히 파악하고 그 논점이 전개되는 방향에 따라 내용을 요약하는 방식을 제안해볼 수 있다. 둘째, 스스로 의문을 가진 점이나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의 중심 문장이나 논점을 제시한 후, 그 내용을 자세히 정리하며 의심한 점을 파악하고 문제제기하는 방향으로 쓸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또 글 전체에서 꼽을 만하다고 기억에 남는 인상적인 문장 또는 내용을 제시하고, 나에게 어떠한 효과, 변화를 주었는지에 대해 서술하는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읽은 글에서 한계로 발견되는 부분을 지적하고, 전체적인 의의를 부여하여 쓸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2 이우성, "한국고전의 발견" 한길사 2000

      3 김광순, "창계의 생애와 문학"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14) : 43-62, 1986

      4 이병찬, "창계와 삼연의 시경설과 정조 시경강의의 상관성" 동방시화학회 3·4 : 365-385, 2001

      5 오종일, "창계 임영의 학문과 성리설" 동양철학연구회 22 : 115-135, 2000

      6 김문용, "조선후기 독서궁리론과 지식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32) : 159-187, 2008

      7 현상윤, "조선유학사" 심산출판사 2010

      8 정호훈,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고려사학회 (31) : 111-143, 2008

      9 임형택,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2007

      10 박영민, "비평문 쓰기" 교학사 2003

      1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2 이우성, "한국고전의 발견" 한길사 2000

      3 김광순, "창계의 생애와 문학"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14) : 43-62, 1986

      4 이병찬, "창계와 삼연의 시경설과 정조 시경강의의 상관성" 동방시화학회 3·4 : 365-385, 2001

      5 오종일, "창계 임영의 학문과 성리설" 동양철학연구회 22 : 115-135, 2000

      6 김문용, "조선후기 독서궁리론과 지식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32) : 159-187, 2008

      7 현상윤, "조선유학사" 심산출판사 2010

      8 정호훈,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고려사학회 (31) : 111-143, 2008

      9 임형택,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2007

      10 박영민, "비평문 쓰기" 교학사 2003

      11 이연순, "미암 유희춘의 일기문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2 "국역 약천집" 민족문화추진회 2004

      13 "국역 농암집" 민족문화추진회 2001

      14 유희춘, "眉巖日記草 1~5권" 조선총독부 한국사편수회 1936

      15 임 영, "滄溪集"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4

      16 임 영, "滄溪集" 1995

      17 이연순, "滄溪 林泳의 독서 기록 방식과 그 의의 고찰 - 「讀書箚錄」과 「日錄」을 중심으로 -" 시학과언어학회 (26) : 95-117, 2014

      18 이연순, "滄溪 林泳의 「日錄」에 나타난 독서 기록의 특징" 근역한문학회 35 : 37-58, 2012

      19 정민, "沆瀣 洪吉周의 독서론과 문장론" 대동문화연구원 41 : 87-125, 2002

      20 김 영, "朝鮮時代 讀書論 硏究;退溪와 栗谷의 경우를 중심으로" 韓國漢文學硏究會 12 : 203-225, 1989

      21 이영호, "朝鮮後期 朱子學的 經學의 變貌樣相에 대한 一考察 : 滄溪 林泳과 息山 李萬敷의 『大學』 解釋과 異端觀을 中心으로" 漢文敎育學會 (17) : 325-347, 2001

      22 "『고문서집성』67권 ‘나주임씨 창계후손가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23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연세대 국학연구원 57 : 103-176, 1988

      24 정호훈, "16․7세기 『小學集註』의 成立과 刊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95-13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