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 및 원인 분석, 2016~2020 = Analysis of Trends and Determinants of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2016~20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51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불평등과 공정성에 대한 논쟁이 격화된 시기의 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 변화를 기록하고, 그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경제적 불평등 인식 결정요인 분석틀을...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불평등과 공정성에 대한 논쟁이 격화된 시기의 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 변화를 기록하고, 그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경제적 불평등 인식 결정요인 분석틀을 제시한 선행 연구를 출발점으로 삼아 분석 시기와 자료, 방법론 등에서 다양한 확장을 시도했다. 첫째, 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인식 수준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악화하였으며, 그 이면에는 성, 연령, 지역에 걸쳐 차별적으로 이루어진 악화 양상 및 불평등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객관적 거시경제지표의 변화가 자리했다. 이 중 20대 여성과 30대 남성의 악화 양상이 두드러졌으며, 거시경제지표 중에서는 순자산 지니계수와 실업률이 불평등 인식과 밀접한 연동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경제적 불평등 인식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각 요인의 효과와 크기는 해당 기간 동안 지속되기도 하고 변화하기도 하면서 한국 사회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개인·가구 수준에서 측정된 주관적 요인(예. 주관적 계층의식)과 사회·국가 수준에서 측정된 객관적 요인(예. 계층이동 가능성)의 효과는 꾸준한 지속성을 보였으나, 이데올로기, 미디어 노출, 연령 변수의 효과는 한국의 특수한 사회정치적 맥락을 반영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와 결정요인의 효과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경제적 불평등 인식과 현실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학술적·정책적 논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and the causes of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during the intensified debate on inequality and fairness in South Korea. Taking as a starting point a previous study that provid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determi...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and the causes of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during the intensified debate on inequality and fairness in South Korea. Taking as a starting point a previous study that provid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e analysis in terms of time period, data, and methodology. First, the analysis of trends in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shows that its level in Korean society continued to deteriorate from 2016 to 2020, with differential degrees across gender, age, and region, and changes in objective macroeconomic indicator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inequality. Among them, the deterioration of women in their 20s and men in their 30s stood out, and among macroeconomic indicators, the Gini coefficient of net worth and the unemployment rate were closely linked to perceptions of inequal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showed that the effects and magnitudes of each factor persisted and changed over the period, showing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in Korean society. For example, the effects of subjective factors measured at the individual and household levels (e.g., subjective class) and objective factors measured at the societal and national levels (e.g., social mobility) showed steady persistence. In contrast, the effects of ideology, media exposure, and ag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reflecting the unique socio-political context of Korea. This study, which is the first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economic inequality and the effects of its determinants in Korean society, is expected to lead to more in-depth academic and policy discussions o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economic inequa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