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 6: 감정이 있는 심연 (외)" 을유문화사 1992
2 한말숙, "하얀도정" 휘문출판사 1964
3 김경수,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4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문학과지성사 2007
5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문학과지성사 2007
6 김양선, "전후 여성교양과 문학사 연구의 실천성 확보를 위한 시론" 국제비교한국학회 22 (22): 91-116, 2014
7 복도훈, "자폭하는 속물—혁명과 쿠데타 이후의 문학과 젊음" 도서출판b 9-66, 2018
8 김미정, "움직이는 별자리들" 갈무리 43-145, 2019
9 손혜민, "연애대중과 소설" 연세대학교 2020
10 심진경, "여성의 성장과 근대성의 상징적 형식 : 오정희의 유년기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 : 185-205, 1999
1 한무숙, "한무숙 문학전집 6: 감정이 있는 심연 (외)" 을유문화사 1992
2 한말숙, "하얀도정" 휘문출판사 1964
3 김경수,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4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문학과지성사 2007
5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문학과지성사 2007
6 김양선, "전후 여성교양과 문학사 연구의 실천성 확보를 위한 시론" 국제비교한국학회 22 (22): 91-116, 2014
7 복도훈, "자폭하는 속물—혁명과 쿠데타 이후의 문학과 젊음" 도서출판b 9-66, 2018
8 김미정, "움직이는 별자리들" 갈무리 43-145, 2019
9 손혜민, "연애대중과 소설" 연세대학교 2020
10 심진경, "여성의 성장과 근대성의 상징적 형식 : 오정희의 유년기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 : 185-205, 1999
11 신희수, "아름다운 수의" 문학예술사 1980
12 프랑코 모레티, "성장의 이치" 문학동네 2005
13 이보영,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229-250, 1999
14 박순녀, "박순녀 작품집" 지식을 만드는 고전선집 2010
15 강지윤, "개인과 사회, 그리고 여성 - 1950∼1960년대 문학의 내면과 젠더"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511-548, 2018
16 김미현, "강신재의 여성성장소설 연구" 국제어문학회 (28) : 209-236, 2003
17 조은주, "가족과 통치" 창작과비평사 2018
18 김지영, "가부장적 개발 내셔널리즘과 낭만적 위선의 균열: 1960년대 『여원』의 연애 담론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40) : 57-104, 2017
19 송경란, "『여원』에 나타난 전후 연애담론 양상 고찰" 한국어문화연구소 (18) : 271-294, 2015
20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 :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21 허윤,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절대화 최희숙, 박계형, 신희수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22 (22): 167-196, 2018
22 강지윤, "‘비-전체’를 사유하기: 한국 교양소설의 젠더-1960년대 한국전쟁 서사를 중심으로" 구보학회 (28) : 633-675, 2021
23 임지연, "196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여성/청춘 표상"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211-240, 2006
24 강지희,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25 김양선,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 - 잡지 <여학생>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1) : 27-49, 2015
26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87-118, 2010
27 최경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성교양' 담론 연구 : 연애·결혼·가족서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28 이선옥, "1960년대 과학주의 담론의 신체화- 잡지 『여학생』에 나타난 소녀와 사춘기" 한국여성문학학회 (42) : 225-254, 2017
29 전희경, "1960~80년대 젠더-나이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한국여성학회 29 (29): 41-7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