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소설로 쓴 ‘노라이즘’ – 나혜석 「경희」, 「현숙」, 「어머니와 딸」을 중심으로 = “Noraism” Written through Novels: A Study of Na Hye-seok’s Novels Kyunghee (1918), Hyunsuk (1936), and Mother and Daughter (193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6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 Hye-seok, who displayed her admiration for Nora in her first work of writing Ideal Girl (1914), drew an illustration in “A Doll’s House” (1921), released a poem titled “A Doll’s House,” and included the lyrics to the song “Nora” in the book Nora (1922). Na Hye-seok, a first-generation “new woman,” was understood to be Nora of Joseon, who left the doll’s house after divorcing Kim Woo-young. Nevertheless, she never gave up on life and art. She published the novels Hyunsuk (1936) and Mother and Daughter (1937). These works can be newly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representative work Kyunghee (1918). Both novels can be seen as behind-the-scenes stories of Kyung-hee. The author accuses the reality of being “Chosun’s Nora.” Na Hye-seok criticizes marriage and family systems that combine pre-modern oppression and modern contradictions through the Noraism contained in in these novels. By rereading these novels together, the discourse on new women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e problem of women can be discussed from a continuous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that research on Na Hye-seok’s writings should shift its focus to Na Hye-seok as a writer, not as a “new woman.” It is hoped that this will lay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internal continuity of Na Hye-seok’s literature.
      번역하기

      Na Hye-seok, who displayed her admiration for Nora in her first work of writing Ideal Girl (1914), drew an illustration in “A Doll’s House” (1921), released a poem titled “A Doll’s House,” and included the lyrics to the song “Nora” in ...

      Na Hye-seok, who displayed her admiration for Nora in her first work of writing Ideal Girl (1914), drew an illustration in “A Doll’s House” (1921), released a poem titled “A Doll’s House,” and included the lyrics to the song “Nora” in the book Nora (1922). Na Hye-seok, a first-generation “new woman,” was understood to be Nora of Joseon, who left the doll’s house after divorcing Kim Woo-young. Nevertheless, she never gave up on life and art. She published the novels Hyunsuk (1936) and Mother and Daughter (1937). These works can be newly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representative work Kyunghee (1918). Both novels can be seen as behind-the-scenes stories of Kyung-hee. The author accuses the reality of being “Chosun’s Nora.” Na Hye-seok criticizes marriage and family systems that combine pre-modern oppression and modern contradictions through the Noraism contained in in these novels. By rereading these novels together, the discourse on new women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e problem of women can be discussed from a continuous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that research on Na Hye-seok’s writings should shift its focus to Na Hye-seok as a writer, not as a “new woman.” It is hoped that this will lay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internal continuity of Na Hye-seok’s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첫 글 「이상적 부인」(1914)에서 ‘노라’에 대한 동경을 보였던 나혜석은 1921년『인형의 가』에 삽화를 그리고 시 「인형의 가」를 발표했으며 단행본 『노라』 (1922)에 ‘노라’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실었다. 첫 세대 신여성 나혜석은, 김우영과 이혼 후 ‘인형의 집’을 나선 노라의 삶을 몸소 살아냈다. 삶의 전반에서 몰락하고 고립되었으나 자신의 삶과 예술을 포기하지 않았던 그는 1933년 자전 소설로 알려진 『김명애』를 쓰고 소설 「현숙」(1936), 「어머니와 딸」(1937)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현숙」 과 「어머니와 딸」은 「경희」(1918)와 연결시켜 분석할 때 새로운 의의를 발견할수 있다. 「현숙」과 「어머니와 딸」은 ‘인형의 집’ 입성을 거부하는 여성들을 통해 ‘조선의 노라’의 현실을 서사화하였다는 점에서 신여성 ‘경희’의 1930년대 후일담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들을 재독함으로써 1920~1930년대의 신여성 담론과 여성의 문제를 연속적인 시야에서 논의할 수 있다. 나혜석은 소설로 쓴 ‘노라이즘’을 통해 전근대의 억압과 근대의 모순이 결합된 조선식(式) 인형의 집을 존속시키는 결혼과 가족제도를 모두 비판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군국주의가 강화되며 가족주의와 양처현모 담론이 강조되었던 1930년대의 맥락을 고려할때 새롭게 평가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고는 ‘신여성’이 아닌 ‘작가’로서의 나혜석에 대한 관심으로 나혜석 문학 연구의 방향을 선회하여 나혜석 문학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첫 글 「이상적 부인」(1914)에서 ‘노라’에 대한 동경을 보였던 나혜석은 1921년『인형의 가』에 삽화를 그리고 시 「인형의 가」를 발표했으며 단행본 『노라』 (1922)에 ‘노라’라는 제목...

      첫 글 「이상적 부인」(1914)에서 ‘노라’에 대한 동경을 보였던 나혜석은 1921년『인형의 가』에 삽화를 그리고 시 「인형의 가」를 발표했으며 단행본 『노라』 (1922)에 ‘노라’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실었다. 첫 세대 신여성 나혜석은, 김우영과 이혼 후 ‘인형의 집’을 나선 노라의 삶을 몸소 살아냈다. 삶의 전반에서 몰락하고 고립되었으나 자신의 삶과 예술을 포기하지 않았던 그는 1933년 자전 소설로 알려진 『김명애』를 쓰고 소설 「현숙」(1936), 「어머니와 딸」(1937)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현숙」 과 「어머니와 딸」은 「경희」(1918)와 연결시켜 분석할 때 새로운 의의를 발견할수 있다. 「현숙」과 「어머니와 딸」은 ‘인형의 집’ 입성을 거부하는 여성들을 통해 ‘조선의 노라’의 현실을 서사화하였다는 점에서 신여성 ‘경희’의 1930년대 후일담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들을 재독함으로써 1920~1930년대의 신여성 담론과 여성의 문제를 연속적인 시야에서 논의할 수 있다. 나혜석은 소설로 쓴 ‘노라이즘’을 통해 전근대의 억압과 근대의 모순이 결합된 조선식(式) 인형의 집을 존속시키는 결혼과 가족제도를 모두 비판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군국주의가 강화되며 가족주의와 양처현모 담론이 강조되었던 1930년대의 맥락을 고려할때 새롭게 평가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고는 ‘신여성’이 아닌 ‘작가’로서의 나혜석에 대한 관심으로 나혜석 문학 연구의 방향을 선회하여 나혜석 문학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진희, "한국의 입센 수용과 노라이즘의 역학" 나혜석학회 (2) : 192-222, 2013

      2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3 최정아, "한국의 노라, 나혜석" 정월 나혜석 기념사업회 15-39, 2017

      4 이수은, "한국과 중국에서의 『인형의 집』수용과 노라" 민족문학사연구소 (58) : 73-99, 2015

      5 김재석, "한국과 일본의"인형의 집"수용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1-24, 2013

      6 "조선일보"

      7 서정자, "원본 나혜석 전집" 푸른사상 2013

      8 손성준, "옐레나의 비장(悲壯)과 노라의 파탄(破綻) -한국 근대소설의 주체적 여성상, 그 양가적 계보의 젠더역학-" 국제어문학회 (85) : 35-65, 2020

      9 안숙원, "신여성과 에로스의 역전극 : 나혜석의 「현숙」과 김동인의 「김연실전」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 : 61-91, 2000

      10 김경일, "신여성, 개념과 역사" 푸른역사 2016

      1 류진희, "한국의 입센 수용과 노라이즘의 역학" 나혜석학회 (2) : 192-222, 2013

      2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3 최정아, "한국의 노라, 나혜석" 정월 나혜석 기념사업회 15-39, 2017

      4 이수은, "한국과 중국에서의 『인형의 집』수용과 노라" 민족문학사연구소 (58) : 73-99, 2015

      5 김재석, "한국과 일본의"인형의 집"수용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1-24, 2013

      6 "조선일보"

      7 서정자, "원본 나혜석 전집" 푸른사상 2013

      8 손성준, "옐레나의 비장(悲壯)과 노라의 파탄(破綻) -한국 근대소설의 주체적 여성상, 그 양가적 계보의 젠더역학-" 국제어문학회 (85) : 35-65, 2020

      9 안숙원, "신여성과 에로스의 역전극 : 나혜석의 「현숙」과 김동인의 「김연실전」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 : 61-91, 2000

      10 김경일, "신여성, 개념과 역사" 푸른역사 2016

      11 문옥표, "신여성" 청년사 2003

      12 김윤정, "식민지 근대의 문화번역과 신여성-나혜석을 중심으로" 나혜석학회 (4) : 189-230, 2014

      13 "삼천리"

      14 진설아, "떠도는 근대 여성, 그가 꿈꾸는 ‘거주’에의 욕망과 실패 -나혜석의 소설과 수필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0 : 515-538, 2012

      15 "동아일보"

      16 등천, "노라의 호명과 가출의 변증법 - 한국과 중국에서의 『인형의 집』번역과 정전화" 민족문학사연구소 (58) : 37-71, 2015

      17 이수정, "나혜석의 남녀관계 인식과 가정 내 여성 주체성 실현" 청람사학회 (29) : 47-100, 2019

      18 송명희, "나혜석의 급진적 페미니즘과 개방결혼 모티프" 인문과학연구소 47 (47): 177-209, 2014

      19 김형목, "나혜석 후반기 인생역정과 주변 인물들" 나혜석학회 (9) : 75-102, 2016

      20 이상경, "나혜석 전집" 태학사 2000

      21 서정자, "나혜석 연구" 푸른사상 2016

      22 정미숙, "나혜석 소설의 ‘여성’과 젠더수사학 ―「경희」, 「원한」, 「현숙」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6) : 201-220, 2011

      23 홍순애, "김유정 소설의 半가족주의와 ‘家’ 형성·존속의 이데올로기" 인문과학연구소 (43) : 433-465, 2015

      24 김복순, "‘조선적 특수’의 제 방법과 아나카 페미니즘의 신여성 계보-나혜석의 경우" 나혜석학회 (창간) : 7-50, 2012

      25 조미숙, "‘여성의 상태’와 나혜석의 글쓰기 - ‘경계’와 ‘아브젝트’ 체험의 표현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2) : 371-398, 2013

      26 Nair, Lakshmi. R., "From Gendered Subalternity and Marginality to Gendered Revolution and Empowerment: Mao Dun’s “Creation” as an Epitome of Nora-ism" 3 (3): 45-51, 2016

      27 Osenton, S., "Differently Equal: Ibsen’s Nora, the New Woman and the Evolution of Self-Orientalization in Japan, Canadian Re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38 (38): 226-239, 2011

      28 김미지, "<인형의 집> '노라'의 수용 방식과 소설적 변주 양상-1920-30년대 소설과 평문에 원용된 '노라'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4) : 173-197, 2003

      29 김재석, "1920년대 <인형의 집> 번역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36) : 11-36,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