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촌락문서의 정창원 입고 계기 -일본에서의 화엄경 유행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3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체경의 사경이 아닌 필요에 따라 임시적으로 이루어진 간사경으로서의 화엄경 서사 사례를 통해 당시 일본에서의 화엄경 수용과 보급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화...

      본 연구는 일체경의 사경이 아닌 필요에 따라 임시적으로 이루어진 간사경으로서의 화엄경 서사 사례를 통해 당시 일본에서의 화엄경 수용과 보급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화엄경론의 일본 유입 혹은 신라촌락문서의 일본 유입 시기를 대략적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쇼무천황의 치세 중 천평말년에서 천평승보 연간(749~757)에 걸쳐 신구 화엄경의 간사가 집중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 ‘화엄경론제7질’의 소유자를 ‘신라학승’ 심상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대세이나, 당시 일본에서 화엄종이 유행하는 계기에는 막강한 일본 황실의 비호와 원조가 있었다. 심상 보다 더 전폭적인 비호와 원조를 받은 승려 자훈의 존재가 확인되는 바, ‘화엄강사’·‘궁중강사’ 자훈의 행적을 통해 화엄경론의 정창원 입고 계기를 살피고자 하였다. 물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화엄경론제7질’ 혹은 신라촌락문서의 정창원 입고시기를 확정지울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대략적인 시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촌락문서의 성격과 문서 속에 나타난 시대상과 연결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제작연대를 추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8세기 중엽 일본에서는 연이은 자연재해와 전염병, 내란 등을 겪으며 학문적·사상적 통합을 위해 화엄학을 적극 수용하였고, 이러한 일본 불교계의 변화에는 쇼무천황·고묘황후와 자훈의 불교적인 활동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자훈을 중심으로 동대사에서 ‘지식화엄별공’이 시작된 무렵 일본에는 『화엄경론』의 5질까지만 있었고, 천평19년무렵에는 ‘『화엄경론』 65권’의 존재는 알려져 있었으나 어느 누구도 소장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6질~7질이 새롭게 신라로부터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이 『화엄경론』의 도입을 주도한 인물은 ‘지식화엄별공’의 중심인물이면서 ‘화엄강사’를 역임했던 자훈이 틀림없고, 그가 실각하는 천평보자7년(763)까지 화엄관련 경전류의 도입과 사경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것과도 궤를 같이 한다. 그렇다면 일본 황실의 적극적인 요청에 의해 ‘『화엄경론』 65권’을 포함한 6질・7질이 신라에서 필사되었다고 한다면, 신라촌락문서는 자훈이 실각하는 763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look at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Avatamsaka Sutra in Japan at that time through the case of temporary copying, not the copying of sutras at all. From this, it was possible to roughly know the timing of the inf...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look at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Avatamsaka Sutra in Japan at that time through the case of temporary copying, not the copying of sutras at all. From this, it was possible to roughly know the timing of the influx of Avatamsaka Sutra Interpretation into Japan or the influx of Silla family register into Japan. The transcripts of Avatamsaka Sutra are concentrated in the Tenpyo Shoho era when Emperor Shomu lived.
      On the other hand,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owner of Volume 61~70 of Avatamsaka Sutra is Simsang. At that time, the Avatamsaka Sutra became popular in Japan because of the strong imperial patronage and assistance.
      In addition to Simsang, there was a monk named Jikun who received the protection and assistance of the imperial family. I would like to explore the influx process of Shosoin in Avatamsaka Sutra through the biography of Jikun who was called the instructor of Avatamsaka Sutra or the instructor of Miyanaka.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Japan experienced a series of natural disasters, infectious diseases and internal disturbances, and actively accepted the Huayan sect for academic and ideological integration. At Todaiji Temple, a study group called Chisikikegonbeko(知識華嚴別供)was active, centering on the Jikun under the patronage of the imperial family. By the time the study group was started, there was only the 1~50 volume of Avatamsaka Sutra, and around 19th year of Tenpei, the existence of the 65 volume of Avatamsaka Sutra was widely known, but it was not available, so it is highly possible that t was newly requested from Silla. Therefore, if the 65th volume of Avatamsaka Sutra was made in Silla at the positive request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Silla family register was made before 763, when Jikun was defe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8세기 일본의 사경사업과 화엄경 유행
      • Ⅲ. 화엄경론질의 정창원 입고와 ‘궁중강사’ 慈訓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8세기 일본의 사경사업과 화엄경 유행
      • Ⅲ. 화엄경론질의 정창원 입고와 ‘궁중강사’ 慈訓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선태,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 : 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 尹善泰, "美濃國戶籍の綜合的硏究" 東京堂出版 2003

      3 "續日本紀"

      4 宋浣範, "正倉院所藏「華嚴經論帙內貼文書」(いわゆる新羅村落文書)について" (7) : 2003

      5 윤선태, "正倉院所藏 新羅村落文書의 作成年代-日本의 華嚴經論 流通狀況을 中心으로-" 진단학회 80 : 1995

      6 野村忠夫, "正倉院より發見された新羅の民政文書について" 62 (62): 1953

      7 "東大寺要錄"

      8 鎌田茂雄, "朝鮮佛敎史" 東京大學出版會 1987

      9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72

      10 "日本書紀"

      1 윤선태,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 : 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 尹善泰, "美濃國戶籍の綜合的硏究" 東京堂出版 2003

      3 "續日本紀"

      4 宋浣範, "正倉院所藏「華嚴經論帙內貼文書」(いわゆる新羅村落文書)について" (7) : 2003

      5 윤선태, "正倉院所藏 新羅村落文書의 作成年代-日本의 華嚴經論 流通狀況을 中心으로-" 진단학회 80 : 1995

      6 野村忠夫, "正倉院より發見された新羅の民政文書について" 62 (62): 1953

      7 "東大寺要錄"

      8 鎌田茂雄, "朝鮮佛敎史" 東京大學出版會 1987

      9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72

      10 "日本書紀"

      11 皆川完一, "日本古代史論集 上卷(坂本太郞博士還曆紀念會編)" 吉川弘文館 1962

      12 薗田香融, "日本古代仏教の伝来と受容" 塙書房 2016

      13 宮崎健司, "日本古代の寫經と社會" 塙書房 2006

      14 石田茂作, "日本古代の國家と佛敎" 東洋文庫 1930

      15 加藤謙吉, "日本の遣唐留學生と渡來人, 專修大學社會知性開發硏究センタ-東アジア世界史硏究センタ-年報 1" 2008

      16 윤선태, "新羅의 力祿과 職田-祿邑硏究의 進展을 위한 提言-" 한국고대사학회 13 : 1998

      17 李仁哲, "新羅村帳籍에 대한 몇 가지 論議" 한국고대사학회 21 : 2001

      18 武田幸男, "新羅の村落支配-正倉院所藏文書の追記をめぐって-" 81 : 1976

      19 濱田耕策, "律令制-中國朝鮮の法と國家(唐代史硏究會編)" 汲古書院 1986

      20 本鄕眞紹, "宝龜年間に於ける僧綱の變容" 史學硏究會 68 (68): 1985

      21 山本幸男, "奈良朝佛敎史攷" 法藏館 2015

      22 吉川眞司, "奈良時代の宣" 史學硏究會 71 (71): 1988

      23 미야자키 켄지, "奈良時代の写経" 불교문화연구소 (9) : 9-56, 2011

      24 "大日本古文書"

      25 佛書刊行會, "大日本佛敎全書 111" 佛書刊行會 1922

      26 "圓融要義集"

      27 堀池春峰, "南都佛敎史の硏究 上・東大寺篇" 法藏館 1980

      28 "元亨釋書"

      29 "七大寺年表"

      30 中林隆之, "『華嚴經』と日本古代國家" 早稻田大學總合人文科學硏究センタ- (3) : 2015

      31 福士慈稔, "『大日本古文書-正倉院編年文書』にみられる新羅佛敎の二・三の問題" 身延山大學東洋文化硏究所 11 : 2007

      32 윤선태, "「新羅村落文書」 중 ‘妻’의 書體 -문서의 작성연대와 관련하여-" 한국목간학회 (18) : 67-82, 2017

      33 최연식, "8세기 중엽 日本의 新羅 華嚴學 受容과 『華嚴(經)文義要決問答』" 구결학회 (23) : 111-13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