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 학교, 대중매체의 식생활교육 경험이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4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54 adult consumer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addressed the subjects’ demographics,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4.0.
      Results: First, the scores of mass media education experience were 3.41 ± 0.64, which was the highest, and 3.15 ± 0.74 for school education experience, which was the lowest.
      Second, the level of sub-literacies (task definition, information seeking strategy, location and access, use of inform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showed scores of 3.20 ± 0.72 ~ 3.47 ± 0.68, whic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The synthesis literacy was the highest, as opposed to the information seeking strategy literacy, which was the lowest. The location and access and synthesis literacy were higher in women. Thir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ll sub-literacies and each of thre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s (home, school and mass media).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sub-literacies of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home education, mass media, and school education in that order.
      Conclusions: Th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was the highest through mass media.
      The factor that showed the highest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as synthe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home, school, and mass media.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54 adult consumer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54 adult consumer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addressed the subjects’ demographics,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4.0.
      Results: First, the scores of mass media education experience were 3.41 ± 0.64, which was the highest, and 3.15 ± 0.74 for school education experience, which was the lowest.
      Second, the level of sub-literacies (task definition, information seeking strategy, location and access, use of inform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showed scores of 3.20 ± 0.72 ~ 3.47 ± 0.68, whic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The synthesis literacy was the highest, as opposed to the information seeking strategy literacy, which was the lowest. The location and access and synthesis literacy were higher in women. Thir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ll sub-literacies and each of thre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s (home, school and mass media).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sub-literacies of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home education, mass media, and school education in that order.
      Conclusions: Th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was the highest through mass media.
      The factor that showed the highest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as synthe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home, school, and mass med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동희,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대중매체의 이용 및 활용 실태 조사 - 대전 충남권을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22 (22): 95-113, 2016

      2 황혜선, "현대 소비자의 소비자정보역량: 전자제품 구매 시 정보탐색 효율성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0 (50): 99-117, 2012

      3 전세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17-135, 2010

      4 최윤주, "통합적 요리활동 중심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초등학생의 식습관 행동과 영양지식 수준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4 (24): 78-89, 2018

      5 김정현,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을 위한 교과서 분석 및 내용 체계화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8 (48): 125-136, 2010

      6 전세경, "초등교사의 학교식생활교육 운영 실태 인식과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식생활교육 요구" 한국실과교육학회 30 (30): 21-42, 2017

      7 오나경,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152-164, 2016

      8 이미숙, "채소를 주제로 한 유아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영양사협회 20 (20): 26-35, 2014

      9 문현경,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현황(2002-2003년) -뉴스,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 11 (11): 51-66, 2005

      10 장윤미, "중학교 가정(기술・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93-112, 2018

      1 황동희,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대중매체의 이용 및 활용 실태 조사 - 대전 충남권을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22 (22): 95-113, 2016

      2 황혜선, "현대 소비자의 소비자정보역량: 전자제품 구매 시 정보탐색 효율성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0 (50): 99-117, 2012

      3 전세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17-135, 2010

      4 최윤주, "통합적 요리활동 중심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초등학생의 식습관 행동과 영양지식 수준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4 (24): 78-89, 2018

      5 김정현,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을 위한 교과서 분석 및 내용 체계화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8 (48): 125-136, 2010

      6 전세경, "초등교사의 학교식생활교육 운영 실태 인식과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식생활교육 요구" 한국실과교육학회 30 (30): 21-42, 2017

      7 오나경,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152-164, 2016

      8 이미숙, "채소를 주제로 한 유아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영양사협회 20 (20): 26-35, 2014

      9 문현경,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현황(2002-2003년) -뉴스,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 11 (11): 51-66, 2005

      10 장윤미, "중학교 가정(기술・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93-112, 2018

      11 남수정, "중고령층 소비자와 일반 소비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비교: 성별, 학력, 소득, 지역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9 (9): 55-66, 2013

      12 김지혜, "일부 여자 중학생 대상 사회인지이론기반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497-508, 2016

      13 박미연, "유아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식생활태도 및 영양상태 관련 인자: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102-111, 2016

      14 박모라, "유아의 채소섭취행동 강화를 위한 채소노출 및 채소놀이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영양사협회 24 (24): 298-311, 2018

      15 박은숙, "유아 어머니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요구도" 과학교육연구소 56 (56): 424-435, 2017

      16 조형숙,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 어머니의 식생활 교육 경험과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201-231, 2018

      17 여선화, "영양교사의 영양교육실태 및 직무변화와 직무스트레스 인식 조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안정임,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교육공학연구소 7 (7): 1-21, 2013

      19 김효심, "식생활교육프로그램이 예비초등교사의 식생활교육과 식생활능력 및 농업소양 평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107-122, 2016

      20 김정원, "식생활교육과 영양교육의 개념 혼재와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으로의 전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4 (24): 17-37, 2018

      21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22 백재연, "서울시 일부 지역 주부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6 (46): 1243-1252, 2017

      23 오의경, "대학생의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207-231, 2005

      24 윤송이,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가 청소년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4 (4): 109-120, 2016

      25 곽정은,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성인 여성의 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 (19): 550-557, 2014

      26 김윤화, "대구·경북지역 고등학생의 식생활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77-90, 2010

      27 조미영, "다문화가정 맞춤형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시스템 개선을 위한 질적 연구 : 프로그램 제공자 측면"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2 (22): 323-335, 2017

      28 이계임,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개발과 계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7 (37): 59-77, 2014

      29 권용석, "Trends i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while eating-out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data" 한국영양학회 8 (8): 670-678, 2014

      30 Kim KT, "The impact and importance of mass media on the public health" 31 (31): 8-13, 1998

      31 Lee YL, "The effect of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and rational cognitive style on consumer confus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18

      32 Kim CI,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Nutrition Survey (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33 Koo JO,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ling" KNOU press 3-, 2018

      34 Eisenberg MB, "Information problem-solving: The big six skill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Albex publishing 1996

      35 Choi JW, "Effect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mass media on snack purchase behavior of middle-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Chung-Ang University 2018

      36 Walsh 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find it difficult to decide" 23 (23): 281-295, 2005

      37 Park MH, "Consumer decision making (Learning by discussion)" Kyomunsa 170-, 2005

      38 이성숙,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9 (29): 125-142,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21 1.764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