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 분석 =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for the Nature of Science in Life Science Chapters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0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the life science chapters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study adopted the four themes of the nature of science as a conceptual framework: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the life science chapters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study adopted the four themes of the nature of science as a conceptual framework: (a)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b)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c)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nd (d) nature of the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Lee, 2013). The reliability was measured between two coders by percentage agreement as well as the Cohen’s kappa (κ) and resulted in 96% and .96, which means the results of analysis was consistent and reliable.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presentation of the four themes of nature of scienc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how that while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theme Ⅰ) has been emphasized greatly on the textbooks devoting the contents over 60%, the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S; theme Ⅳ) was little focused with the portion of less than 5% in most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econd, the pattern of presentation of the four themes of nature of science was similarly shown as theme Ⅰ > theme Ⅱ > theme Ⅲ > theme Ⅳ across the grade levels, chapter titles, and the publishing companies. This means that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ttempt to convey the view of nature of science as a scientific knowledge in the most contents of text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예원,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3학년 물질 영역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09-524, 2007

      2 서예원, "한국과 미국의 초등 과학 교육과정 지구영역의 학년 간 내용 연계성 분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356-370, 2008

      3 정충덕,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 - 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642-647, 2007

      4 여상인, "한국과 미국 BSCS 초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459-467, 2007

      5 김지혜,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이영희,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 - 4가지 영역의 과학적 소양을 기준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207-216, 2014

      7 김진화, "첨단 과학에 대한 초등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390-403, 2009

      8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73-197, 2013

      9 정덕임,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 나타난 과학적 소양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권계현, "우리나라와 미국 초등 과학 교과서의 천문 영역 내용 비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166-185, 2010

      1 서예원,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3학년 물질 영역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09-524, 2007

      2 서예원, "한국과 미국의 초등 과학 교육과정 지구영역의 학년 간 내용 연계성 분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356-370, 2008

      3 정충덕,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 - 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642-647, 2007

      4 여상인, "한국과 미국 BSCS 초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459-467, 2007

      5 김지혜,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이영희,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 - 4가지 영역의 과학적 소양을 기준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207-216, 2014

      7 김진화, "첨단 과학에 대한 초등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390-403, 2009

      8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73-197, 2013

      9 정덕임,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 나타난 과학적 소양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권계현, "우리나라와 미국 초등 과학 교과서의 천문 영역 내용 비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166-185, 2010

      11 한영욱,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1 (21): 1-11, 2002

      12 이미경, "과학적 소양에 근거한 제 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601-609, 2006

      13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2013

      15 The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The New Zealand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4

      16 McComas, W. 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Kluwer 3-39, 1998

      17 Hammerich, P. L.,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27-136, 1998

      18 Lederman, N. G., "Student' and teachers' conception about the nature of science : A review of the research" 29 (29): 331-359, 1992

      19 Department for Education, "Re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2012

      2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Project 2061: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22 Meichtry, Y. J.,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29 (29): 389-407, 1992

      23 Chiappetta, E. L., "Examination of science text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e United States" 2006

      24 이영희,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Korea and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07-212, 2014

      25 Council of Ministers of Education, Canada, "Common Framework of Science Learning Outcomes K-12" Toronto, Ontario 1997

      2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7 Chiappetta, E. L., "Analysis of fiv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for inclusion of the nature of science" 29 (29): 1847-1868, 2007

      28 Chiappetta, E. L., "A method to quantify major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in science textbooks" 28 (28): 713-725, 1991

      29 이영희, "A Proposal of Inclusive Framework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Based on the 4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for K-12 School Science"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553-568, 2013

      30 김하나,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1〉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2-03-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교육학회지 -> 생물교육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3 1.19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