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 검토 및 대안 :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 Review and Alternatives to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 Focused on the Clothing & Textiles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3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justification of the subject through review and alternatives example 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focused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a based on the beliefs and values inherent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perspective of the assumptions about the fiv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 family, society, objective, subject matter, method in education - from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to in 2015, and suggests an example of subject matter based on th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 textiles area of the revised curriculum from in 2007 to in 2015, family, society, objective, subject matter and method in education, excluding subject matter, were take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order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to be internally consistent, assumptions about the subject matter should be transformed to deal with the clothing & textiles as a family work. And needed to complement assumptions about family, objective and method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discussion, suggested an alternative example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a based 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justification of the subject through review and alternatives example 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focused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a based on the beliefs and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justification of the subject through review and alternatives example 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focused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a based on the beliefs and values inherent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perspective of the assumptions about the fiv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 family, society, objective, subject matter, method in education - from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to in 2015, and suggests an example of subject matter based on th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 textiles area of the revised curriculum from in 2007 to in 2015, family, society, objective, subject matter and method in education, excluding subject matter, were take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order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to be internally consistent, assumptions about the subject matter should be transformed to deal with the clothing & textiles as a family work. And needed to complement assumptions about family, objective and method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discussion, suggested an alternative example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a based 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과정에 내재된 신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의생활 영역에서의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고 대안적 예시 제안을 통해 교과의 정당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비판과학 관점이 내재된 2007 개정과 2009 개정,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이 어떠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까지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 중 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비판과학 관점을 취하였고,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전통적 관점을 취하였다. 이에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가 내적 일관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가족의 일’로서 의생활 문제를 다루도록 전환시켜야 하며, 가족과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에서는 가족행동체계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보완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비판과학 관점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과정에 내재된 신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의생활 영역에서의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고 대안적 예시 제안을 통해 교과의 정당성을 제공하는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과정에 내재된 신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의생활 영역에서의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고 대안적 예시 제안을 통해 교과의 정당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비판과학 관점이 내재된 2007 개정과 2009 개정,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이 어떠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까지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 중 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비판과학 관점을 취하였고,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전통적 관점을 취하였다. 이에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가 내적 일관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가족의 일’로서 의생활 문제를 다루도록 전환시켜야 하며, 가족과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에서는 가족행동체계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보완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비판과학 관점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현영,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가정과교육 의생활 문화 영역의 교육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2 이수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07-129, 2008

      3 김학준, "타일러 논리의 재음미: ‘교사배제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26, 2013

      4 이은주, "초등 실과,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1-14, 2007

      5 반윤자,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1학년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1-17, 2011

      6 김명순, "중학생의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기술‧가정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51-65, 2010

      7 어지현,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옷차림 단원의 활동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수행경험과 선호도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51-69, 2009

      8 성은주, "중학교 가정교과 의복구매 단원의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수업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9 강미향,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63-77, 2006

      10 박일록, "의생활 교육내용의 필요도와 실천도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5 (15): 89-103, 2003

      1 배현영,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가정과교육 의생활 문화 영역의 교육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2 이수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07-129, 2008

      3 김학준, "타일러 논리의 재음미: ‘교사배제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26, 2013

      4 이은주, "초등 실과,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1-14, 2007

      5 반윤자,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1학년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1-17, 2011

      6 김명순, "중학생의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기술‧가정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51-65, 2010

      7 어지현,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옷차림 단원의 활동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수행경험과 선호도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51-69, 2009

      8 성은주, "중학교 가정교과 의복구매 단원의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수업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9 강미향,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63-77, 2006

      10 박일록, "의생활 교육내용의 필요도와 실천도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5 (15): 89-103, 2003

      11 전재훈, "유비쿼터스 시대의 청소년 의복문화-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패션 상품에 대한 수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1 (31): 319-330, 2007

      12 유태명,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93-206, 2006

      13 주인숙,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81-95, 2006

      14 조은영, "기술?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에 대한 여고생들의 학습 요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5 (15): 23-35, 2003

      15 이수희, "가정교과에서 ‘생활과 연계된’ 생애 관점의 진로교육 탐색"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23-142, 2012

      16 유지연, "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의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183-195, 2005

      17 박미정,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인식과 요구도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31-143, 2008

      18 한국경제신문, "‘바느질’에도 밀리는 SW교육"

      19 Dohner, R. 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State of the field"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986

      20 Park S-B, "Understanding curriculum : a chronological approach" Yangseowon 2001

      21 Lee S-H, "Trends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Advanced Countries and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Revised Curriculum"

      22 Plihal, J., "The meaning of curriculum: Alternative perspectives" 19 : 2-22, 1999

      23 Dewey, J.,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Vol. 5" The University of 1902

      24 Kliebard, H. M., "The Tyler rationale" 78 (78): 259-272, 1970

      25 Hur S, "Study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Curriculum Studies" 33 (33): 217-242, 1995

      26 Kister, J., "Resource Management Resource Guide. A Resource for Teaching the Resource Management Core Course Area of Ohio's Work and Family Life Program" 1993

      27 Kokoszka, J, "Reforming the Teaching of Textiles" 2015

      28 Montgomery, B., "Redefining sewing as an educational experience in middle and high schools" 98 (98): 47-, 2006

      29 Yoo T-M, "Practical Problem Class for Widening Ⅰ" Shingangsa 2004

      30 Park H-J, "Model and Practice of Curriculum Development" Gyoyuggwahagsa 2005

      31 Habermas, J.,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Beacon Press 1971

      32 Brown, M. M., "Home economics: A definition"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979

      33 Ministry of Education, "Home Economics・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3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35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ome Economics・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36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ome Economics・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37 Johnson, J.,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Teacher Education Yearbook 19" McGraw Hill Glenco 1999

      38 Hauxwell, L.,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Teacher Education Yearbook 19" McGraw Hill Glenco 1999

      39 Kister, J.,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Teacher Education Yearbook 19" McGraw Hill Glenco 1999

      40 Wright, P,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Teacher Education Yearbook 19" McGraw Hill Glenco 1999

      41 Montgomery, B., "Curriculum development: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42 Montgomery, B., "Building Strong Families and Communities: A Critical Science Rationale for FCS" 96 (96): 52-56, 2004

      43 Brown, M. M,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Wiscons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project"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978

      44 유태명,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대한가정학회 15 (15): 25-39, 2014

      45 조현주,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의생활 단원 내용 분석 및 실천적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학습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2) : 385-417, 2004

      46 주수언,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1-19, 2016

      47 오경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에 준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 및 조직"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91-119, 2011

      48 이수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등 가정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와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25-145, 2010

      49 유태명,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19, 2009

      50 박순자, "2007 교육과정 개정 전과 후의 실과 및 가정과 의생활 교육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37-6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