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teaching・learning studies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s since 2001. The 22 research, drawn from the database ‘riss4u’,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information of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6317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48(1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teaching・learning studies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s since 2001. The 22 research, drawn from the database ‘riss4u’,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information of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teaching・learning studies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s since 2001. The 22 research, drawn from the database ‘riss4u’,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information of the paper (studied institution & year, implementation & evaluation, subject of study & size) and specific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plans (theme, curricula & textbooks, methode & # of lessons, resourc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ies were reported during the 7th or the 2007 revised curricula period. All, except one doctoral dissertation, were master's theses from a few universities. In all studies, ranging from 2 to 15 lessons, teaching・learning plans were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the class of the researcher while some were applied in other schools, too. The theme of the teaching・learning plans varied but were concentrated on one out of two content elements and two out of six learning elements.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eems to be an important turning point, not only reinforcing the analyses of the curricular and textbooks in the analyzing stage but also facilitating the use of various methods for the lessons in the developing stage. Practical problem based model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while cooperative learning and ICT served as fundamental although not always mentioned. Various teaching resources such as UCC, reading materials, PPT were developed for the teacher. Activity shee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students, followed by reading materials. Because teaching・learning is an essential core of education, teaching・learning studies should be more actively conducted and the variety of subject topics, methods and resources should also be obtained by more researchers.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7차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 2001년부터 2016년 10월 현재까지 최근 15년간 발표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의 일반특징과 교수・학습에서 개발한 수업안의 내용을 알아보는데 ...
이 연구는 제7차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 2001년부터 2016년 10월 현재까지 최근 15년간 발표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의 일반특징과 교수・학습에서 개발한 수업안의 내용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할 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주생활교육 관련 자료 목록을 수집한 후, 중등학교 혹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22편의 연구를 최종 선택하여 연구자 3인이 분석틀을 정하고 합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주생활교육의 교수・학습 연구의 일반특징으로 발표 시기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교육과정 적용시기에 집중되어 있고, 발표기관은 한국교원대 한 곳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모든 연구에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수업에 적용하고 있었으며, 수업 적용에 대한 평가는 최근 들어 실험, 통제 집단을 두지 않고 사후검사만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을 실행한 연구대상학년과 학교 수, 수업실행규모는 개별연구별로 다양했으나 현실적으로 주로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에서 수업 담당하는 1개 학년, 200명 미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주생활교육 교수・학습에서 개발한 내용 가운데 수업주제는 ‘주생활 문화와 주거공간 활용’ 내용요소에 관한 것이 가장 많았고, 학습요소는 ‘효율적인 주거 공간 구성과 활용’과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한 조건’과 관련한 연구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분석에서는 2007 개정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이전에는 교과서와 지도서 중심으로, 이후에는 해당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있는데, 새 교육과정 발표와 그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시차 때문에 과도기에 실시된 연구에서는 교과서와 교과서에 적용된 교육과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실천적 문제 중심과 협동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별로 폭넓게 차시를 개발하였고, 교수・학습자료 중 교사용은 주로 동영상, 읽기자료, PPT 자료를, 학생용은 활동지와 읽기자료가 많이 개발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좋은 수업을 향해 교수・학습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앞으로도 계속 되어야 할 주생활 교수・학습 개발연구는 물론 다른 영역의 교수・학습 개발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정, "환경친화적 주생활 교육을 위한 쟁점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2 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77-193, 2009
3 윤인경,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55-71, 2005
4 김진인,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주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이민정,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가정과 주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박미진, "중등학교 주생활 교육 관련연구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35-49, 2007
7 채지연, "인터넷 활용수업(WBI)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주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이경숙,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및 효과 :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김영미,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가족 생활과 주거 공간 단원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0 Ministry of Education,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1 박희정, "환경친화적 주생활 교육을 위한 쟁점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2 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77-193, 2009
3 윤인경,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55-71, 2005
4 김진인,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주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이민정,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가정과 주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박미진, "중등학교 주생활 교육 관련연구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35-49, 2007
7 채지연, "인터넷 활용수업(WBI)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주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이경숙,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및 효과 :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김영미,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가족 생활과 주거 공간 단원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0 Ministry of Education,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1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호. 별책10"
12 김윤경, "문제중심학습(PBL)에 의한 수업이 학생들의 내적동기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가정과 「주거의 계획과 관리」단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3 조현섭, "기술·가정 교과에서 주제 중심의 통합 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3학년의 조명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김유니, "고등학교 기술·가정 노인주거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한수현, "고등사고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기술ㆍ가정 주생활 영역 평가문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김교연, "가치명료화 이론을 적용한 주생활 문화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 주생활 문화에 내재된 사회·경제적 주거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8 유인영,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 연구동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239-252, 2008
19 김미향, "가정과 주생활 교육을 위한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20 Yoon, I-K, "Trend analysi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13 (13): 73-83, 2001
21 Lee, J-K,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realiz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Focusing on school facility and Universal Desig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6
22 Song, E-M,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to develop, apply, and enhance a sense of saf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23 이선희, "ICT를 활용한『환경친화적 주거』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4 Kim, S-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BI Program for space design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2
25 Na, G-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lans on the senior cohousing for independent later lif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26 Kim, K-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aching・learning plan for practice of green indoor environment in the unit of 'Housing Life' at middl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2
27 Park, H-S, "Analysis on the effect of ICT-utilized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high school: Centering on the unit, 'Design my hom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6
28 Choi, K-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project learning programs of a home economics subject for creativity & character education : Focusing on a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unit in middle school.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engju"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29 박미라, "'이웃과 더불어 만드는 지속가능한 주거'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주제 중심 통합(ITI: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형 가정과 의생활영역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의 개념도 개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37 | 1.6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