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놀이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은유(metaphor)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49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놀이에 대한 은유 분석을 통해 그들이 놀이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교사교육의 기초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놀이에 대한 은유 분석을 통해 그들이 놀이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와 K지역 3년제 및 4년제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45명을 대상으로 놀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는 ‘놀이의 본질’, ‘놀이의 특성’, ‘놀이의 기능’의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놀이의 본질’은 ‘삶으로서의 놀이’로 범주화되었고, ‘놀이의 특성’은 ‘즐거움과 행복으로서의 놀이’, ‘자유선택으로서의 놀이’, ‘가변성으로서의 놀이’, ‘다양함으로서의 놀이’, ‘몰입으로서의 놀이’로, ‘놀이의 기능’은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놀이’, ‘성장으로서의 놀이’, ‘교수환경으로서의 놀이’, ‘치유로서의 놀이’, ‘잠재력 계발로서의 놀이’, ‘관계맺음으로서의 놀이’, ‘활력으로서의 놀이’로 범주화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놀이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놀이를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eacher training by examining the meaning pre-service teachers give on their play and the perception the they have on play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eacher training by examining the meaning pre-service teachers give on their play and the perception the they have on play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2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ttending the 3 and 4-year college programs in D and K regions were included as subjects to metaphorically express and explain the reas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play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essence of play’, ‘the nature of play’, and ‘the function of play’. ‘The essence of play’ was categorized as ‘the play of life’, ‘the nature of play’ as ‘playing as fun and happiness,’ ‘playing as a free choice’, ‘playing as a variety’, ‘playing as a diverse’, and ‘playing as a immersion’. As for ‘the function of play,’ it was categorized as ‘playing as a study method’, ‘playing as a growth environment’, ‘playing as a teaching environment’, ‘playing as a cure’, and ‘playing as a potential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worthwhile in that this study implicates the need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not only to positively form their beliefs and values about play, but also to understand and cultivate their play, and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teache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 J.,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2 박병철, "은유와 의미" 11 : 115-136, 2000

      3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4 한종화,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영아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31-55, 2019

      5 김은영, "유치원 특별활동 운영실태보고" 육아정책연구소 2009

      6 김희영,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7 전명자,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 개념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8 이경민,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수업’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09-144, 2009

      9 박애경, "유아의 놀이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337-357, 2018

      10 한희경,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99-920, 2016

      1 Huizinga, J.,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2 박병철, "은유와 의미" 11 : 115-136, 2000

      3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4 한종화,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영아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31-55, 2019

      5 김은영, "유치원 특별활동 운영실태보고" 육아정책연구소 2009

      6 김희영,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7 전명자,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 개념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8 이경민,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수업’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09-144, 2009

      9 박애경, "유아의 놀이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337-357, 2018

      10 한희경,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99-920, 2016

      11 김자영,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12 박영애,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37-56, 2011

      13 정진,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타 학과 신입생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 비교 분석" 한국보육학회 8 (8): 85-104, 2008

      14 윤민아,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30, 2019

      15 김소향, "유아교사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적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161-190, 2018

      16 나은숙,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9-78, 2011

      17 김정원, "유아 숲 활동에서 자유놀이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18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119-140, 2003

      19 서영희,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기관 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5 (5): 115-145, 2007

      20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생명체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나무그리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3 (3): 187-188, 2004

      21 현정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93-113, 2008

      22 조경자,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은유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 교육연구원 28 (28): 337-358, 2012

      23 장미연,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적 감성교육’에 대한 은유(Metaphor)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23-242, 2016

      24 이경화,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49-73, 2018

      25 김영주, "영유아교사의 놀이 은유에서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211-219, 2018

      26 김향전, "영아교사의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Metaphor)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229-253, 2017

      27 백영애, "보육 교사의 놀이 개념 인식에 관한 연구" 13 : 171-188, 2010

      28 임부연,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발전연구소 27 (27): 59-78, 2017

      29 이정욱, "누리과정 개정안의 주요 특징 및 쟁점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55-277, 2019

      30 임수진, "놀이하는 유아-호모 루덴스를 향하여" 양서원 2019

      31 정낙림, "놀이와 형이상학 - 니체, 하이데거, 핑크의 놀이 사유" 한국니체학회 (29) : 7-47, 2016

      32 신은수,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01

      33 엄정애, "놀이와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45-164, 2004

      34 김명순, "놀이에 대한 부정적 오해와 긍정적 편견. 미래사회 변화에서 ‘교육과정 놀이’에 대한 재개념화 방향과 과제" 41-66, 2019

      35 Johnson, J. E., "놀이, 발달, 유아교육" 아카데미프레스 2009

      36 곽노의, "놀이, 놀잇감 그리고 놀이공간에 대하여 다시 생각한다. 늦게 피어도 아름다운 꽃"

      37 이경화,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1 (41): 107-137, 2014

      38 김성재,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숲유치원 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547-570, 2014

      39 정성식, "교육과정에 돌직구를 던져라" 에듀니티 2014

      40 교육부, "개정 누리과정"

      41 이경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9 (9): 5-33, 2019

      42 World Forum Foundati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itiativ, "Univers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Principles"

      43 Nespor, J., "The role of belief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19 (19): 317-328, 1987

      44 Samuelsson, I. P., "The playing learning child: Towards a pedagogy of early childhood" 52 : 623-641, 2008

      45 Froebel, F., "The education of man" A. Lovell & Company 1885

      46 Saban, A., "Prospective teachers’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s of learner" 26 (26): 290-305, 2010

      47 Kagan, D. M.,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62 (62): 129-169, 1992

      48 Hoom, J. V.,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Merrill prentice Hall 2006

      49 Fromberg, D. P., "Play and mea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lyn & Bacon 2002

      50 Bishop, J.,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51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52 Schaefer, C., "Measurement of playfulness :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6 (6): 21-31, 1997

      53 NAEYC, "Guidelines for appropriat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in programs serving children age 3 through 8" 30 : 21-67, 1991

      54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General comment no. 17 (2013) on the right of the child to rest, leisure, play, recreational activities, cultural life and the arts (art. 31) adopted by the committee at its sixty-second session (14 January-1 February 2013)"

      55 Bredekamp, 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EYC 1997

      56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04

      57 Garvey, C., "Child discourse" Academic Press 27-47, 1977

      58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59 보건복지부, "2018년 아동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