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운동 강도가 비만 대학생의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471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6.4109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of obese college students

      • 형태사항

        viii, 94 p. : 삽도,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용수
        참고문헌: p.80-92

      • 소장기관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체지방 율 25% 이상 20대 비만남성에게서 운동 강도의 차이가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FOEI와 80% VO₂max에 해당하는 유 산소 운동을 적용한 후, 운동 전 안정 시는 물론 운동 직후, 회복기 30분, 1시간, 2시간에 채혈된 혈액에서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글루코스, 젖산 및 인슐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에서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강도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강도 모두 측정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안정 시에 비해 운동 직후는 물론 회복기 동안 비교적 낮은 수준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보였다.
      둘째, MFOEI와 80% VO₂max 강도의 운동을 적용한 후,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 별 상호작용 효과와 강도 사이의 주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운동 직후부터 회복기 2시간까지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관찰되었다.
      셋째, 운동 중과 회복기의 글루코스는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 운동 강도와 측정 시기별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특히, MFOEI 운동 및 회복기에는 글루코스 농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적 높은 80% VO₂max 강도의 운동 직후에는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보였다.
      넷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강도와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특히, MFOEI에서는 측정시기별 젖산 농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VO₂max 운동 강도에서는 운동 직후에 측정된 혈중 젖산 농도가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회복기 동안 MFOEI 그룹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혈중 인슐린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에서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운동 강도 사이의 주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강도 모두 측정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운동 직후 측정된 인슐린 농도는 안정 시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회복기 30분에 다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며, 회복기 2시간까지 지속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동일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운동에서 MFOEI와 80% VO₂max 강도 모두 운동 중은 물론 회복기 동안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와 유리지방산의 이용을 증가시켜 지방 산화에 유용한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80% VO₂max 강도에서는 일시적으로 증가된 혈중 글루코스와 젖산으로 인해 운동 중 지질대사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반해 MFOEI에서의 운동은 비교적 낮은 강도로 혈중 글루코스와 젖산의 변화 없이 체지방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 후 회복기 동안에도 고강도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인체의 지방 이용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운동 강도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체지방 율 25% 이상 20대 비만남성에게서 운동 강도의 차이가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FOEI와 80% VO₂max에 해당하는 유 산소 운동을 적용...

      본 연구는 체지방 율 25% 이상 20대 비만남성에게서 운동 강도의 차이가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FOEI와 80% VO₂max에 해당하는 유 산소 운동을 적용한 후, 운동 전 안정 시는 물론 운동 직후, 회복기 30분, 1시간, 2시간에 채혈된 혈액에서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글루코스, 젖산 및 인슐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에서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강도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강도 모두 측정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안정 시에 비해 운동 직후는 물론 회복기 동안 비교적 낮은 수준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보였다.
      둘째, MFOEI와 80% VO₂max 강도의 운동을 적용한 후,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 별 상호작용 효과와 강도 사이의 주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운동 직후부터 회복기 2시간까지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관찰되었다.
      셋째, 운동 중과 회복기의 글루코스는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 운동 강도와 측정 시기별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특히, MFOEI 운동 및 회복기에는 글루코스 농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적 높은 80% VO₂max 강도의 운동 직후에는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보였다.
      넷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강도와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특히, MFOEI에서는 측정시기별 젖산 농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VO₂max 운동 강도에서는 운동 직후에 측정된 혈중 젖산 농도가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회복기 동안 MFOEI 그룹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혈중 인슐린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에서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운동 강도 사이의 주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강도 모두 측정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운동 직후 측정된 인슐린 농도는 안정 시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회복기 30분에 다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며, 회복기 2시간까지 지속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동일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운동에서 MFOEI와 80% VO₂max 강도 모두 운동 중은 물론 회복기 동안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와 유리지방산의 이용을 증가시켜 지방 산화에 유용한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80% VO₂max 강도에서는 일시적으로 증가된 혈중 글루코스와 젖산으로 인해 운동 중 지질대사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반해 MFOEI에서의 운동은 비교적 낮은 강도로 혈중 글루코스와 젖산의 변화 없이 체지방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 후 회복기 동안에도 고강도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인체의 지방 이용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운동 강도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of obese college students. Eight healthy obese men (23.5±5.2) participated in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MFOEI) (40-60% VO₂max, n=8) and high intensity (80% VO ₂max, n=8).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pre-exercise, post-exercise, 30, 60, 120min recovery after exercise, which were used to extract plsma for the assessments of triglyceride (TG), free fatty acid (FFA), glucose, lactic acid (LA), and insulin. The data were handled by 2x5 two-way repeated ANOVA and executed contrast test (simple and repeate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intensity and time in glucose and LA. In particular, the glucose and LA in 80% VO₂max trial were dramatical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comparison with them in MFOEI trial. Nonetheless, the TG and FFA levels in blood improved during recovery as well as post-exercise in both trial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MFOEI is mor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than 80% VO₂max.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of obese college students. Eight healthy obese men (23.5±5.2) participated in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maximal fat oxidation exerci...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of obese college students. Eight healthy obese men (23.5±5.2) participated in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MFOEI) (40-60% VO₂max, n=8) and high intensity (80% VO ₂max, n=8).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pre-exercise, post-exercise, 30, 60, 120min recovery after exercise, which were used to extract plsma for the assessments of triglyceride (TG), free fatty acid (FFA), glucose, lactic acid (LA), and insulin. The data were handled by 2x5 two-way repeated ANOVA and executed contrast test (simple and repeate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intensity and time in glucose and LA. In particular, the glucose and LA in 80% VO₂max trial were dramatical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comparison with them in MFOEI trial. Nonetheless, the TG and FFA levels in blood improved during recovery as well as post-exercise in both trial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MFOEI is mor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than 80% VO₂ma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가설 4
      • 4. 연구의 제한점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가설 4
      • 4. 연구의 제한점 5
      • 5.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운동중 에너지 이용 조절 8
      • 2. 비만 11
      • 3. 비만과 운동 13
      • 4. 지질대사 15
      • 5. 운동강도와 지방대사 17
      • 6. 운동 강도와 지질 대사 관련 호르몬 22
      • 7. 최대운동강도(MFOEI) 27
      • 8. EPOC 29
      • 1) EPOC 개념 29
      • 2) EPOC의 중요성 29
      • 3) EPO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 9. 운동 후 초과 산소소비(EPOC) 32
      • 1) EPOC의 발생원인 32
      • 2) EPOC의 양과 지속시간 35
      • 10. 운동에 따른 호흡 순환계의 변화 38
      • 1) 운동과 EPOC 39
      • 2) 운동 유형에 따른 EPOC 40
      • Ⅲ 연구 방법 42
      • 1. 연구 대상 42
      • 2. 연구 절차 및 방법 43
      • 1) 피검자의 신체적 특성 검사 44
      • 2) 최대산소섭취량 측정 44
      • 3) 최대지방연소운동강도(MFOEI) 결정 45
      • 4) 총 운동량(400kcal) 결정 방법 46
      • 5) 혈액 채혈 및 분석 46
      • 3. 실험도구 48
      • 4. 자료처리 49
      • Ⅳ. 연구 결과 50
      • 1. 혈중지질의 변화 50
      • 1) 중성지방 50
      • 2) 유리지방산 55
      • 2. 지질대사 관련 혈액변인의 변화 59
      • 1) 글루코스 59
      • 2) 젖산 63
      • 3) 인슐린 67
      • Ⅴ. 논의 71
      • Ⅵ. 결론 78
      • 참고문헌 80
      • Abstract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