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사회의 적응성과 대인관계의 원만성을 학습하게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서의 스포츠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스포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872367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학과 , 1998. 8
1998
한국어
375.000
경기도
iv, 72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사회의 적응성과 대인관계의 원만성을 학습하게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서의 스포츠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스포츠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사회의 적응성과 대인관계의 원만성을 학습하게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서의 스포츠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스포츠 참여활동과 인성 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려 한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경험과 활동성, 지배성, 안정성, 사회성, 자율성, 사려성, 불안경향, 편집경향등과 같은 인성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8년 3월 현재 안양, 군포시내에 있는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단순 무선을 이용 492명(남255명, 여237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인성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가 위하여 정범모, 이종승의 인성검사지(코리안 테스팅센타), 심상섭(1993)의 “사회체육 참여자와 비참여자간의 인성특성에 관한 비교”에서 이용된 설문을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재구성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수정.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T검증, F검증, 빈도분석 등이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아동의 스포츠활동참여와 인성형성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도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참여스포츠 종목의 영향은 단체종목이나 개인종목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의 경우 스포츠를 전혀 하지 않는 아동보다 활동성, 지배성, 사회성, 안정성의 긍적적인 인성 형성에 긍적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둘째, 스포츠 참여시간은 스포츠활동에 참여하지 않거나 1주일에 2-3시간 이하의 소극적 참여집단보다 매일 1시간이상이나 일주일에 5시간 이상을 참여하는 집단이 활동성, 지배성, 사회성의 인성요인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포츠 환경인, 가정환경적 요인과 학교환경요인 그리고 개인선호도의 인성형성과의 관련성을 보면, 가정환경적 요인은 활동성, 지배성, 안정성, 사회정, 자율성, 사려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편집경향성과는 부의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학교환경요인은 불안경향성과 편집경향성에서 부의상관관계로 나타났고 나머지 변수에서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개인선호도는 활동성, 지배성, 안정성, 사회성, 자율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개인적 특성에 의한 인성형성과의 차이를 보면 아버지 학력, 어머니의 학력 그리고 가정형편 정도의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버지 학력이 높아짐에 따라 지배성, 안정성, 사회성, 사려성이 높아지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지배성, 사회성, 자율성, 사려성이 높아지는 것도 알 수 있다. 또한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인성형성에 좋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ole of sports, as one of the important domains that made elementary children learn social adaptability and amicable human relationship, by finding out, for the fifth- and sixth-year elementary children, what r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ole of sports, as one of the important domains that made elementary children learn social adaptability and amicable human relationship, by finding out, for the fifth- and sixth-year elementary children, what relationship there would be between involvement in sports ac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us, primaril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children's experience involved in sports activities to personality factors, such as vitality, dominance, safety, sociability, autonomy, consideration, anxiety disposition, and paranoia disposition.
For implementing the purpose, a parent group was selected from among the fifth- and sixth-year children who attended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Kunpo as of March, 1998. And then, 492 children(255 boys and 237 girl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the parent group.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volvement in sports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ersonality,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determine if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used in the Personality Test(the Korean Testing Center) by Jung Bum Mo and Lee Jong Seung and in Shim Sang Sup(1993)'s "The Comparis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Participants in Social Physical Education and Non-Participants," could be reconstructed to be suitable for the highest-year elementary children. After another test was made to judg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at was revised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used here against the collected data were T-test, F-test and frequenty analysis, etc.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rom testing the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volvement in sports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ersonality:
Firs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sports events on elementary children, chidlren who practiced group event or individual event were served more positively, than children who never practiced sports, to build up a positive personality, including vitality, dominance, sociability and safety.
Second, for the hour of participating in sports, the group who practiced sports for more than an hour a day or more than five hours a week was more helped, than the groups who never did it or did it passively for less than 2 or 3 hours a week, to develop personality factors, including vitality, dominance and sociability.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to sports environments, including family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personal preference,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lity, dominance, safety, sociability, autonomy, and consideration. Tha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anoia disposition. The school environmental fact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disposition and paranoia disposition, while having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ther variables. The personal preference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lity, dominance, safety, sociability and autonomy.
Fourth, for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caus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it'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depended on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circumstances. It appeared, generally, that children had better dominance, safety, sociability, and consideration as their fa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In case mo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they had better dominance, sociability, autonomy and consideration. Besides, better family circumstances had better effect on developing person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