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 및 매너 분석 = Analysis of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 in accordance with gol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4872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 스포츠산업경영전공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10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장명재
        참고문헌 : p.95-102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analyzing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in accordance with golf participating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difference in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golf participants, and influence of health and admission satisfactions over matters, so we could find mutual relationships. I would like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create right admission culture by acknowledging problems on manners of golf galleries, and finding plans to revitalize golf admission culture as we understand expectations of golf participants. Moreover, I hop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marketing in the industries, which is related to gold industry or opening golf competitions. To achieve the aim, I conducted surveys that follow random sampling with 1,100 golf participants and then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1,017 survey papers that were possible to study and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I performed Cross-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years of experience in the golf fiel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statistics, including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salaries.

      Second, for distinction of health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ese distinctions were also significant for statistics. Actually, men have higher satisfactions in their health includ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en compared to ladies.

      Third, for differences in admission satisfac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I also studied that these dissimilarities were meaningful. Technical satisfaction and event area, men’s satisfactions were higher than women.

      Fourth, in the analysis to find contrasts in manner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For the gender, men’s manner was higher than women, while for the age, people in their 50s had worse clothing manners than those in their 20s. However, admission manners showed significant distinction in the indicator, as of p<.05, yet, I could not find any variances in the post-examination.

      Fifth, difference in health satisfactions according to golf galler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olf, I discover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s. Firstly, health satisfaction disparity for experiences, more than ten years had less satisfaction in their physical health than those between four to six years, while for mental section, players with less than one year and between one and three years of experiences had lower satisfaction than the ones between seven to nine years

      Sixth, in search of admission satisfaction contrasts in accordance with to golf galler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olf, there are significant statistic distinctions. For admission satisfactions, less than one year had lower technical satisfaction than the ones between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event satisfactions had fewer satisfactions among those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than the ones between four to six years.

      Seventh, difference in manner according to golf galler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olf, I found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statistics. For experiences, negative factors of all manners had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groups, while admission manners were less popular among the ones under one year or between one and three years, when compared to seven to nine years. For clothing manners,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had the lowest manners.

      Eighth, mental health was found to be =.470, which proves that admission manner will be higher if their mental health is better. When I studied each factor in details, both mental and physical health had important significances for statistics, among two individual variables.

      I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foundation to develop plans to activate golf admissions and create mature golf admission culture, as people can learn right admission manners, by analyzing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according to gol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with outcomes of this research as basis. If marketers in the golf industry could create an active marketing strategy for golf participants, who are interested in professional golf competitions, they will bring very significant outcomes in industries that are related to golf competitions.
      번역하기

      By analyzing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in accordance with golf participating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difference in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according ...

      By analyzing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in accordance with golf participating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difference in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golf participants, and influence of health and admission satisfactions over matters, so we could find mutual relationships. I would like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create right admission culture by acknowledging problems on manners of golf galleries, and finding plans to revitalize golf admission culture as we understand expectations of golf participants. Moreover, I hop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marketing in the industries, which is related to gold industry or opening golf competitions. To achieve the aim, I conducted surveys that follow random sampling with 1,100 golf participants and then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1,017 survey papers that were possible to study and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I performed Cross-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years of experience in the golf fiel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statistics, including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salaries.

      Second, for distinction of health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ese distinctions were also significant for statistics. Actually, men have higher satisfactions in their health includ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en compared to ladies.

      Third, for differences in admission satisfac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I also studied that these dissimilarities were meaningful. Technical satisfaction and event area, men’s satisfactions were higher than women.

      Fourth, in the analysis to find contrasts in manner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For the gender, men’s manner was higher than women, while for the age, people in their 50s had worse clothing manners than those in their 20s. However, admission manners showed significant distinction in the indicator, as of p<.05, yet, I could not find any variances in the post-examination.

      Fifth, difference in health satisfactions according to golf galler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olf, I discover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s. Firstly, health satisfaction disparity for experiences, more than ten years had less satisfaction in their physical health than those between four to six years, while for mental section, players with less than one year and between one and three years of experiences had lower satisfaction than the ones between seven to nine years

      Sixth, in search of admission satisfaction contrasts in accordance with to golf galler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olf, there are significant statistic distinctions. For admission satisfactions, less than one year had lower technical satisfaction than the ones between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event satisfactions had fewer satisfactions among those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than the ones between four to six years.

      Seventh, difference in manner according to golf gallerie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olf, I found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statistics. For experiences, negative factors of all manners had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groups, while admission manners were less popular among the ones under one year or between one and three years, when compared to seven to nine years. For clothing manners,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had the lowest manners.

      Eighth, mental health was found to be =.470, which proves that admission manner will be higher if their mental health is better. When I studied each factor in details, both mental and physical health had important significances for statistics, among two individual variables.

      I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foundation to develop plans to activate golf admissions and create mature golf admission culture, as people can learn right admission manners, by analyzing health satisfaction, admission satisfaction and manners according to gol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golf galleries, with outcomes of this research as basis. If marketers in the golf industry could create an active marketing strategy for golf participants, who are interested in professional golf competitions, they will bring very significant outcomes in industries that are related to golf compet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 및 매너를 분석하여 골프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의 차이와 매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가 매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상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골프참여자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골프관람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골프갤러리의 매너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올바른 관람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골프대회를 개최하거나 골프산업과 관련된 산업 분야의 마케팅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골프참여자 11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법에 따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 가능한 설문지 총 1017부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학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구력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에서는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만족도에서도 기술만족과 이벤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에서는 성별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매너가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복장매너 요인에서 20대가 50대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관람매너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수준 p<.05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사후검증에서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골프구력에 따른 건강만족의 차이에서 육체적 요인에서는 10년 이상이 4년-6년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요인에서는 1년 미만과 1년-3년이 7년-9년 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만족도에서는 기술만족요인에서는 1년 미만이 1년-3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벤트 요인에서는 10년 이상이 4년-6년 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골프구력에 따라서는 매너의 모든 하위요인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관람매너 요인에서는 1년 미만과 1년-3년이 7년-9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복장매너는 1년 미만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정신적 건강은 =.470으로 정신적 건강이 높을수록 관람매너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개의 독립변수 중 정신적 건강, 육체적 건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 및 매너를 분석함으로써 골프관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올바른 관람매너를 숙지하여 성숙된 골프관람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골프관련 마케터는 프로골프대회에 관심이 많은 골프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면 골프대회와 관련 산업에 있어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 및 매너를 분석하여 골프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의 차이와 매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건강만족...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 및 매너를 분석하여 골프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의 차이와 매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가 매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상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골프참여자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골프관람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골프갤러리의 매너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올바른 관람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골프대회를 개최하거나 골프산업과 관련된 산업 분야의 마케팅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골프참여자 11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법에 따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 가능한 설문지 총 1017부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학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구력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에서는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만족도에서도 기술만족과 이벤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갤러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에서는 성별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매너가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복장매너 요인에서 20대가 50대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관람매너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수준 p<.05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사후검증에서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골프구력에 따른 건강만족의 차이에서 육체적 요인에서는 10년 이상이 4년-6년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요인에서는 1년 미만과 1년-3년이 7년-9년 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만족도에서는 기술만족요인에서는 1년 미만이 1년-3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벤트 요인에서는 10년 이상이 4년-6년 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골프구력에 따라서는 매너의 모든 하위요인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관람매너 요인에서는 1년 미만과 1년-3년이 7년-9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복장매너는 1년 미만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정신적 건강은 =.470으로 정신적 건강이 높을수록 관람매너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개의 독립변수 중 정신적 건강, 육체적 건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골프갤러리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 및 매너를 분석함으로써 골프관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올바른 관람매너를 숙지하여 성숙된 골프관람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골프관련 마케터는 프로골프대회에 관심이 많은 골프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면 골프대회와 관련 산업에 있어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3. 연구변인 및 연구가설 8
      • 1) 연구변인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3. 연구변인 및 연구가설 8
      • 1) 연구변인 8
      • 2) 연구가설 9
      • 4. 연구의 제한점 11
      • 5. 용어의 정의 11
      • Ⅱ. 이론적 배경 13
      • 1. 스포츠고객의 유형 13
      • 1) 스포츠 관람객의 개념과 유형 13
      • 2) 관람형 소비자 14
      • 3) 참여형 소비자 16
      • 4) 골프대회 관람객 관련연구의 사례 17
      • 2. 골프의 특성 19
      • 1) 골프참가자의 특성 19
      • 2) 골프의 스포츠적 특성 20
      • 3. 만족의 개념 21
      • 1) 욕구만족 21
      • 2) 관람만족과 불만족 22
      • 3) 건강만족 23
      • 4. 시장세분화 24
      • 1) 시장세분화의 개념 24
      • 2) 시장세분화의 유용성 및 조건 25
      • 3) 시장세분화의 기준 27
      • Ⅲ. 연구 방법 29
      • 1. 연구설계 29
      • 2.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31
      • 3. 조사도구 34
      • 1) 조사도구의 타당도 검증 37
      • 2) 조사도구의 신뢰도 검증 41
      • 4. 조사절차 45
      • 5. 자료처리 46
      • Ⅳ. 연구 결과 47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참여특성의 차이 47
      • 2.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 56
      • 3.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 60
      •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 64
      • 5.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 68
      • 6.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 72
      • 7.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 76
      • 8.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가 매너에 미치는 영향 80
      • Ⅴ. 논의 83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참여특성의 차이 분석 83
      • 2.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 분석 84
      • 3.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 분석 85
      • 4.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 분석 85
      • 5.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건강만족도의 차이 분석 86
      • 6.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의 차이 분석 87
      • 7.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매너의 차이 분석 88
      • 8. 건강만족도와 관람만족도가 매너에 미치는 영향 분석 88
      • Ⅵ. 결론 및 제언 90
      • 1. 결 론 90
      • 2. 제 언 92
      • 참고 문헌 95
      • ABSTRACT 103
      • 부 록 <설문지> 1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