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라톤의 『국가(政體)』와 『파이돈』에 나타난 죽음교육론적 시사점 = The Implications of the Death-educational Theory Dedicated in Plato’s『Politeia』and『Phaid?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0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플라톤 저작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견해를 중심으로,죽음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죽음교육론의 가능성 및 그 시사점을 탐구한다.『국가(政體)』와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

      본 연구는 플라톤 저작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견해를 중심으로,죽음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죽음교육론의 가능성 및 그 시사점을 탐구한다.『국가(政體)』와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육신과 영혼의 분리라고 정의한다.감각에 의해 인식되는 육신은 소멸하는 것이고 지성에 의해 인식되는 영혼은 불멸하는 것이라는 이분법적 가정이 여기에 있다.죽음교육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 철학의 관점을 인식과 존재의 문제로 구분하여 다루고자 한다.먼저 인식의 문제에서는 죽음에 대한 개인의 의견이 논박(대화법)을 통하여 감각적 지각의 결과임을 알아차리면서 무지에 대해 자각하게 되고,산파술을 통하여 지성에 의한 죽음의 이해에 도달하는 과정이 설명된다.다음으로 존재의 문제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신념인 영혼의 불멸 및 윤회와 사후세계에 대한 확신을 통하여 존재 지평의 확장이 가능함이 밝혀진다.결국 소크라테스의 인식과 존재의 분리는 망각하고 있는 앎을 상기하여 본성에 대한 회복의 가능성을 증명함으로써 통합된다.여기서 일상어를 철학적으로 규정하고 이성에 의한 진리를 고찰하는 소크라테스는 삶과 죽음의 순환적 성격을 가정함으로써 죽음교육의 불가피성을 보여준다.요컨대 죽음은 생활에서 발생하는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교육적 주제가 충분히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렇듯 죽음에 대해 고유(告諭)하지 않는다면,죽음은 단지 현상적으로 나타나고 사라질 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meanings of death and to investigate an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for the death-educational theory.In『 Politeia』 and 『Phaidon』 which his student Plato wrote down,Socrates defines death as a seperati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meanings of death and to investigate an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for the death-educational theory.In『 Politeia』 and 『Phaidon』 which his student Plato wrote down,Socrates defines death as a seperation of the spirit from human body. Herein lies an dualistic assumption that its body perceived by senses becomes extinct and its spirit recognized by reason is immortal.In order to derive the death-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Socrates's ideas,this paper deals his philosophical perspectives from the standpoints of epistemology and ontology respectively.Firstly the problematic of cognition can be summarized that the phenomenon death as a subject of death-education through the ‘Socratic methode’is made clear from the darkness ofindividual ignorance. Secondly,the problematic of being show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of thought horizon through Socrates’s believes in immortality of the human spirit, in transmigration of souls(Sams?ra)and in the existence of the world after human death.Finally,the dualistic structure of cognition and being in the Socrates’s philosophy is integrated by verifying the possibilities that the lives of forget fulness is recalled and the human natural mind is recovered.Socrates’s reflection up on the philosophical definition of daily language and his search fortruth by means of reason dedicates that the problematic ofdeath proves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The death is not a simple event which occurs in our usual circumstance,but can be come a subject of the educational ones.In short,if we do not dwell upon death seriously, this appears and disappears vainly in the phenomenal dimen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지, "휴먼서비스 학문 분야의 죽음교육에 관한 교과내용분석과 욕구조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263-286, 2005

      2 정순목, "한국인의 사망관과 교육관: 시간관 삶의 태도 교육관 연구(Ⅲ)" 10 (10): 45-61, 1972

      3 박종현, "플라톤의 네 대화편:에우티프론,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 서광사 247-461, 2009

      4 박종현, "플라톤의 국가(政體)" 서광사 2008

      5 김은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9 (39): 1-9, 2009

      6 김인자, "죽음에 대한 심리적 이해" 서강대학교출판부 1985

      7 조계화, "죽음에 대한 가상강좌 개발과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37 (37): 442-452, 2007

      8 金素希, "죽음교육의 교육 철학적 의미" 한국종교교육학회 15 : 205-223, 2002

      9 조계화, "죽음관련 교과목의 교과내용 평가 도구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6 (36): 74-83, 2006

      10 Kearl, Michael C, "죽음과 주검의 사회학" 미출판 2006

      1 이현지, "휴먼서비스 학문 분야의 죽음교육에 관한 교과내용분석과 욕구조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263-286, 2005

      2 정순목, "한국인의 사망관과 교육관: 시간관 삶의 태도 교육관 연구(Ⅲ)" 10 (10): 45-61, 1972

      3 박종현, "플라톤의 네 대화편:에우티프론,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 서광사 247-461, 2009

      4 박종현, "플라톤의 국가(政體)" 서광사 2008

      5 김은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9 (39): 1-9, 2009

      6 김인자, "죽음에 대한 심리적 이해" 서강대학교출판부 1985

      7 조계화, "죽음에 대한 가상강좌 개발과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37 (37): 442-452, 2007

      8 金素希, "죽음교육의 교육 철학적 의미" 한국종교교육학회 15 : 205-223, 2002

      9 조계화, "죽음관련 교과목의 교과내용 평가 도구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6 (36): 74-83, 2006

      10 Kearl, Michael C, "죽음과 주검의 사회학" 미출판 2006

      11 강선보,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교육문제연구소 (19) : 1-24, 2003

      12 김인회, "서양인의 사망관과 교육관: 시간관 삶의 태도 교육관 연구(Ⅲ)" 10 (10): 32-44, 1972

      13 정재걸, "불교와 죽음 그리고 죽음교육" 동양철학연구회 55 (55): 107-138, 2008

      14 양진희, "문학적 접근을 통한 죽음개념 교육이유아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9-74, 2007

      15 정재걸,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16) : 197-236, 2007

      16 차주연, "고등학교 수학수업에서의 죽음교육"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9): 261-280, 2006

      17 조상식, "“학습주의 교육” 패러다임 논의에서 Bildung 개념의 흔적 혹은 부재(不在)" 한국교육철학학회 (43) : 173-190, 2008

      18 Moreman, Christoper M, "eaching death and dy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9 Valberg,J.J, "dream, death, and the self" Princeton/Woodsstoc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20 Bregman,L, "What should a Course on Death and Dying Accomplish?" Teaching Death and Dy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1 Leming, Michael R, "Understanding dying, death, and bereavement" Belmont: Thomson Wadsworth 2007

      22 DeSpelder, Lynne Ann, "The last dance: encountering death and dying" New York: McGraw-Hill 2005

      23 Barry,Vincent,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death and dying" Belmont : Thomson Wadsworth 2007

      24 김완수, "PLATON 의 「파이돈」에 나타난 이데아논고" 8 : 179-198, 1973

      25 Northcott, Herbert C, "Dying and death in canada" Toronto: Broadview press 2008

      26 Miller, J. H, "Death education and The educator" Illinois: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86

      27 Eddy, "Death education" St. Louis/Toronto/London: The C. V. Mosby Company 1983

      28 Seale,Clive, "Constructing Death: The sociology of dying and bereavement" Cambridge/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9 Klicker,Ralph L, "A student dies, a school mourns: dealing with death and loss in the school community" New York: Brunner-Routledge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2-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5 0.8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