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축가 김 균과 스승 Louis I. Kahn의 이야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375336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시공문화사,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10.911 판사항(5)

      • DDC

        720.951

      • ISBN

        9788955923261 : ₩(원화)15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건축가 김 균과 스승 Louis I. Kahn의 이야기 / 김균 저.

      • 기타서명

        A Journey to the Essence

      • 형태사항

        168 p. : 삽화(일부천연색).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자료제공 : aladin
      • 서문
      • 한성부의 ‘작은 일본’, 일본인 거류지
      • 시작하며 26
      • 19세기 말, 한성부의 근대도시화와 일본인 거류지 28
      • 서울에서 사라져 버린 ‘작은 일본’, 왜 지금 다시 이야기하는가? 32
      • 자료제공 : aladin
      • 서문
      • 한성부의 ‘작은 일본’, 일본인 거류지
      • 시작하며 26
      • 19세기 말, 한성부의 근대도시화와 일본인 거류지 28
      • 서울에서 사라져 버린 ‘작은 일본’, 왜 지금 다시 이야기하는가? 32
      • 연구시기와 연구자료 35
      • 연구범위 35
      • 주요 연구자료 39
      • 1장
      • 한성부의 ‘작은 일본’, 일본인 거류지의 형성과 변화
      • 1885년 이전 진고개 일대 46
      • 거류지 설치 이전 진고개 일대 46
      • 일본인 거류지의 설치와 초기의 혼란 50
      • 일본인 거류지 입지 선정의 배경 54
      • 1885~1894. 진고개 일대의 불안한 임시 거주지 57
      • 거류지를 둘러싼 상황과 거류지 내부의 변화 57
      • 초기 거류지 영역 58
      • 자치 제도의 도입과 주요 시설의 구축 66
      • 1895~1904. 남산 북쪽 언덕 일본식 마을 만들기 72
      • 청일전쟁 이후 거류지 내외부의 상황 72
      • 거류지 영역의 확장: 남대문로로의 진출 74
      • 거류지 정비와 한국정부와의 관계 79
      • 1904~1910. 정주지定住地화 되어가는 일본인 거류지 84
      • 러일전쟁 이후 거류지 내 외부의 상황 84
      • 거류지 영역의 팽창과 용산개발 86
      • 통감부 설치와 거류지 내부의 변화 94
      • 2장
      • 일본인 거류지 사회와 상업
      • 일본인 거류지 사회 104
      • 거류민 104
      • 거류민 인구 104
      • 거류민 출신지 107
      • 거류민 직업 분포 112
      • 거류지 주요 기관들 118
      • 영사관 118
      • 이사청 120
      • 거류민단 122
      • 기타 공공기관들 : 경찰서와 우편국 126
      • 거류지 제도와 문화 128
      • 위생제도와 시설 129
      • 교육제도와 시설 134
      • 종교문화와 신사, 공원 138
      • 유흥문화와 신정新町특별영업지역 144
      • 거류지 도시 행사 148
      • 거류지 상업 157
      • 거류지 상계의 성장 157
      • 한일 무역의 팽창 157
      • 일본 상계商界의 성장 167
      • 거류지 상인들과 상업회의소 173
      • 일본 상인들의 유형별 특징 173
      • 상업회의소 179
      • 거류지 상업시설의 분포 181
      • 지역적 분포 181
      • 업종별 분포 182
      • 거류지 상업시설의 분포 190
      • 금융업 190
      • 교통·운수업 193
      • 무역·잡화상 194
      • 의류·장신구 194
      • 식료품·기타 197
      • 건축·자재 199
      • 생활용품·기타 200
      • 3장
      • 일본인 거류지의 도시환경
      • 거류지 내 도로개수사업 204
      • 도로개수사업의 필요성과 배경 204
      • 새로운 거류지 영역으로의 진출 205
      • 교통상의 필요성 206
      • 위생상의 필요성 210
      • 거류지 외부적 상황 211
      • 도로개수사업의 연차별 시행 213
      • 1895년 도로개수 213
      • 1897년 도로개수 217
      • 1901년 도로개수 218
      • 1904년 도로개수 219
      • 1905년 도로개수 220
      • 1907년 도로개수 220
      • 1909년 도로개수 222
      • 도로개수사업의 성격과 특징 226
      • 거류지 도시환경의 구성 1: 도로환경 229
      • 도로 229
      • 상하수도 232
      • 가로시설물 234
      • 거류지 도시환경의 구성 2: 필지 240
      • 세장형 필지 유형 241
      • 방형 필지 유형 250
      • 불규칙한 형태의 필지 유형 254
      • 대형필지: 256
      • 거류지 도시환경의 구성 3: 주요 건축물 260
      • 공공건축 260
      • 공사관 261
      • 통감부 263
      • 영사관 및 이사청 265
      • 경찰서 267
      • 우체국 267
      • 거류민단 사무실 269
      • 상업회의소 271
      • 의료시설 272
      • 교육시설 274
      • 상업건축 276
      • 일본 전통식 건축물 277
      • 절충식 건축물 282
      • 서양식 건축물 287
      • 상업건축의 점두 장식 293
      • 주거건축과 종교건축 295
      • 주거건축 296
      • 종교건축 300
      • 거류지 경관의 형성 303
      • 가로경관 (Streetscape) 303
      • 도시경관 (Townscape) 308
      • 4장
      • 한성에서 경성으로, 진고개에서 본정으로
      • 혼종적 도시경관의 형성 316
      • 도시공간의 기능적 분화 322
      • 통감부 설치 전후의 거류지 도시 변화의 성격 325
      • 식민지 근대화의 관점에서 본 거류지 도시변화 336
      • 맺으며
      • 한성부 속 '작은 일본‘, 일본인 거류지의 공간과 사회
      • 남산 언덕 위 ‘작은 일본’, 일본인 거류지 345
      • 일본인 거류지와 주변과의 관계 348
      • 일본인 거류지 연구의 불편함,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과제 352
      • 부록
      • 일본인 거류지 내부 지도 358
      • 1891년 二十四年機密信第十三號附屬 358
      • 1895년 在京城日本人居住家屋番號附之圖 360
      • 1896년 泥峴地方道路修理之圖 362
      • 본정도로주변 주요건물 분포현황(1907 최신경성전도에 표시) 364
      • 일본인 거류지 내 주요 도로 366
      • 일본인 거류지 내 주요 건축 378
      • 공공건축 378
      • 상업건축 381
      • 주거건축 390
      • 종교건축 391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A Journey to the Essence

      품절 15,000원 13,500원 (10%)

      종이책 구매

      150포인트 (1%)
      알라딘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本町 - 삼원건축학술상 제6회 수상작

      판매중 20,000원 19,000원 (5%)

      종이책 구매

      570포인트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A Journey to the Essence (건축가 김 균과 스승 Louis Kahn의 이야기)

      전반적으로 일본인 거류지의 생성과 변화 과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한국 근대 도시사 연구에 비해 상당히 이질적인 성격을 가진다. 특히 일본인 거류지 연구를 과연 한국 근대 도시사 연구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느냐의 문제부터 시작하여, 일본인들에 의해 남겨진 기록들을 위주로 하는 연구 자체의 정당성의 문제까지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그 이상의 불편함, 즉 일본인 거류지의 발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오히려 그들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불편함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있어 일본이 미친 영향이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간에 매우 크며 특히 전통도시 한성으로부터 식민근대도시 경성으로의 변화가 한국의 근대도시화에 있어서 큰 의미를 가짐을 생각해볼 때 일본인 거류지의 문제는 불편하더라도 최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며 다루어야할 문제일 것이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