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Vibrio vulnificus의 人血淸殺菌力에 對한 感受性과 Vibrio感染이 마우스의 Hematocrit値에 미치는 影響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0663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全北大學校, 198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全北大學校 大學院 , 醫學科 , 1986

      • 발행연도

        198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1.55 판사항(3)

      • DDC

        616.014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22p.: 삽도;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Vibrio vulnificus, Vibrio parahemolyticus 및 콜레라菌의 正常 人血淸殺菌力에 對한 感受性과, 이들 Vibrios, 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大腸菌感染이 마우스의 hematocrit値에 미치는 影響에 關하여 比較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人血淸殺菌作用은 V. parahemolyticus에 對해서 보다 V. vulnificus 및 콜레라菌에 對하여 더 높았다. 熱處理人血淸에서의 供試菌株의 生存菌數가 熱非處理人血淸에서의 그것보다 많았는데, 이는 血淸補體가 Vibrios 殺菌에 有意하게 關與함을 强力히 示唆한다.
      마우스를 10^7生存菌數로 腹腔注射하여 感染시키면, 感染 2-6時間內에 多少의 血液濃縮을 일으켰다. 이와는 反對로 V. vulnificus S. typhimurium 및 大腸菌은 感染後 4 또는 6時間後에 血液稀釋을 일으켰다. 以上의 結果로 V. vulnificus는 다른 Vibrios에 比하여 血淸殺菌作用에 對하여 더 感受性이 있고, 또한 V. vulnificus는 血液濃縮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結論할 수 있다.
      번역하기

      Vibrio vulnificus, Vibrio parahemolyticus 및 콜레라菌의 正常 人血淸殺菌力에 對한 感受性과, 이들 Vibrios, 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大腸菌感染이 마우스의 hematocrit値에 미치는 影響에 關하여 比較實驗...

      Vibrio vulnificus, Vibrio parahemolyticus 및 콜레라菌의 正常 人血淸殺菌力에 對한 感受性과, 이들 Vibrios, 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大腸菌感染이 마우스의 hematocrit値에 미치는 影響에 關하여 比較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人血淸殺菌作用은 V. parahemolyticus에 對해서 보다 V. vulnificus 및 콜레라菌에 對하여 더 높았다. 熱處理人血淸에서의 供試菌株의 生存菌數가 熱非處理人血淸에서의 그것보다 많았는데, 이는 血淸補體가 Vibrios 殺菌에 有意하게 關與함을 强力히 示唆한다.
      마우스를 10^7生存菌數로 腹腔注射하여 感染시키면, 感染 2-6時間內에 多少의 血液濃縮을 일으켰다. 이와는 反對로 V. vulnificus S. typhimurium 및 大腸菌은 感染後 4 또는 6時間後에 血液稀釋을 일으켰다. 以上의 結果로 V. vulnificus는 다른 Vibrios에 比하여 血淸殺菌作用에 對하여 더 感受性이 있고, 또한 V. vulnificus는 血液濃縮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結論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brio vulnificus, a halophilic Vibrio has gained worldwide attention as a cause of severe and frequently fatal wound infections and life-threatening septicemia. For this reason, V.vulnificus is thought to produce extreme hemoconcentration and rapid death after infection, and because V.vulnificus is thought to be less susceptible to bactericidal activity of normal human serum,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susceptibility of V.vulnificus to human serum bactericidal activity with that of V.parahemolyticus and V.cholerae and to assess the effect of Vibrio speci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coli on hematocrit values in experimentally infected mice. Serum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both V.vulunificus and V.cholerae was higher than against V.parahemolyticus. Survival of the test strains in heat-inactivated human serum was grester than that in heat-uninactivated serum Both V.parahemolyticus and V.cholerae produced slight hemoconcentration within 2 to 6 hr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0^7 viable bacteria into mice. In contrast, V. vulunificus, S.typhimurium and E.coli produced hemodilution rather than hemoconcentration after 4 or 6 hr after infection.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can conclude that V.vulunificus is more susceptible to serum bactericidal activity than other Vibrio species, and V.vulunificus did not produce hemoconcentration.
      번역하기

      Vibrio vulnificus, a halophilic Vibrio has gained worldwide attention as a cause of severe and frequently fatal wound infections and life-threatening septicemia. For this reason, V.vulnificus is thought to produce extreme hemoconcentration and rapid d...

      Vibrio vulnificus, a halophilic Vibrio has gained worldwide attention as a cause of severe and frequently fatal wound infections and life-threatening septicemia. For this reason, V.vulnificus is thought to produce extreme hemoconcentration and rapid death after infection, and because V.vulnificus is thought to be less susceptible to bactericidal activity of normal human serum,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susceptibility of V.vulnificus to human serum bactericidal activity with that of V.parahemolyticus and V.cholerae and to assess the effect of Vibrio speci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coli on hematocrit values in experimentally infected mice. Serum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both V.vulunificus and V.cholerae was higher than against V.parahemolyticus. Survival of the test strains in heat-inactivated human serum was grester than that in heat-uninactivated serum Both V.parahemolyticus and V.cholerae produced slight hemoconcentration within 2 to 6 hr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0^7 viable bacteria into mice. In contrast, V. vulunificus, S.typhimurium and E.coli produced hemodilution rather than hemoconcentration after 4 or 6 hr after infection.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can conclude that V.vulunificus is more susceptible to serum bactericidal activity than other Vibrio species, and V.vulunificus did not produce hemoconcent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英文抄錄 = 1
      • 緖論 = 2
      • 實驗材料 및 方法 = 4
      • 實驗成績 = 6
      • 목차
      • 英文抄錄 = 1
      • 緖論 = 2
      • 實驗材料 및 方法 = 4
      • 實驗成績 = 6
      • 考按 = 15
      • 要約 = 18
      • 參考文獻 = 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