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란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생명에 대해 가해지는 위협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해, 군사, 정치, 외교, 경제적 수단들을 강구하려는 국가의 정책적 노력을 가리킨다. 무정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11267
2017
Korean
340.5
KCI등재
학술저널
79-116(3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가안보란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생명에 대해 가해지는 위협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해, 군사, 정치, 외교, 경제적 수단들을 강구하려는 국가의 정책적 노력을 가리킨다. 무정부 ...
국가안보란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생명에 대해 가해지는 위협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해, 군사, 정치, 외교, 경제적 수단들을 강구하려는 국가의 정책적 노력을 가리킨다. 무정부 상태를 방불케 하는 국제정치의 세계에서 국가안보는 국가의 우선적인 정책목표가 되어 왔다. 따라서 국제정치학의 영역에서도 국가안보연구는 중심적인 위치를 점해 왔다.
이 글은 국제정치논총을 중심으로 지난 60여 년간 한국 국제정치학자들이 국가안보에 대해 발언해온 담론들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냉전기 한국의 연구자들은 주로 현실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북한의 군사적 위협과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 간의 세력관계를 주요 위협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의 체결, 집단안보기구의 형성, 그리고 자주국방 정책을 통한 국력 강화 방안 등을 정책수단으로 제안해 왔다. 적대국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호혜적 안보’ 나, 군사안보 이외에 국제법이나 국제기구를 활용한 포괄적 안보개념이 선구적으로 제안되기도 하였다.
탈냉전기 이후 한국 연구자들은 서구에서 유래된 ‘공동안보’ 및 ‘협력안보’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여, 북한과의 공존적 관계 구축, 그리고 동북아 역내에서의 ‘다자간 안보협의체’ 구축 등의 정책방침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연구자들의 국가안보연구는 21세기 들어 노무현 정부나 이명박 정부의 국가안보전략서에 반영되는 성과도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안보에 관한 이론적 자산을 주로 서구에서 유래된 개념들에 의존하거나, 한국 국가안보정책 전개에 대한 실증적 고찰이 부족한 점은 한국 안보연구의 한계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불확실성을 더해가는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정세를 타개해 나가기 위해서라도, 한국의 국가안보 연구가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해 가려는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a centerpiece of international studies. This paper tries to overview the Korean security studies which have been appeared its annually published journ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 Association of Internati...
The study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a centerpiece of international studies. This paper tries to overview the Korean security studies which have been appeared its annually published journ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later 1950s.
During the Cold War period, Korean security studies had emphasized possible threats from North Korea as well as surrounding super powers rivalry. To respond to it, Korean
theorists of security studies who were strongly influenced by realist approach proposed multiple tools for national security such as a formation of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forging the collective security organization of anti-communist countries in the region, and self-strengthening of military powers. It should be noted that some theorists suggested a more liberal approach such as the concept of ‘security for mutual benefit’ or a policy of ‘expanding diplomacy toward communist countries’ prior to the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pts which became prevalent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system among Western scholars.
With the advent of Post-Cold War Period, Korean security studies began to suggest more liberal approach of security studies implementing the concept of ‘common security’ or ‘cooperative security’ to the real diplomatic sphere. Based upon these security studies, Korean government could actively propose multilateral security framework in the region and published its national security strategy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Foreseeing more conflicting security environment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Korean security studies should focus on formation of its own security theory based on indigenous historical experi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종대, "현대전략이론 연구의 현황: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9 : 1979
2 최창윤, "현대국제체제에 있어서의 국가들의 계층구조" 한국국제정치학회 15 : 1975
3 조명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다자간 안보체제" 한국국제정치학회 33 (33): 1993
4 김홍철, "한반도 평화정착건설의 군사적 과제와 조건" 한국국제정치학회 18 : 1978
5 김학준, "한반도 평화의 국제적 조건: 평화의 3단계론에 입각하여" 한국국제정치학회 18 : 1978
6 문수언, "한반도 통일의 국제정치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한국국제정치학회 37 (37): 1998
7 이호재, "한반도 통일을 위한 동북아 국제체제와 조건" 한국국제정치학회 29 (29): 1989
8 이호재, "한반도 군비축소문제의 한계와 가능성" 한국국제정치학회 26 (26): 1986
9 오기평, "한반도 국제질서기능의 재고" 한국국제정치학회 13 : 1977
10 이영호, "한국인의 한반도 평화관" 한국국제정치학회 18 : 1978
1 황종대, "현대전략이론 연구의 현황: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9 : 1979
2 최창윤, "현대국제체제에 있어서의 국가들의 계층구조" 한국국제정치학회 15 : 1975
3 조명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다자간 안보체제" 한국국제정치학회 33 (33): 1993
4 김홍철, "한반도 평화정착건설의 군사적 과제와 조건" 한국국제정치학회 18 : 1978
5 김학준, "한반도 평화의 국제적 조건: 평화의 3단계론에 입각하여" 한국국제정치학회 18 : 1978
6 문수언, "한반도 통일의 국제정치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한국국제정치학회 37 (37): 1998
7 이호재, "한반도 통일을 위한 동북아 국제체제와 조건" 한국국제정치학회 29 (29): 1989
8 이호재, "한반도 군비축소문제의 한계와 가능성" 한국국제정치학회 26 (26): 1986
9 오기평, "한반도 국제질서기능의 재고" 한국국제정치학회 13 : 1977
10 이영호, "한국인의 한반도 평화관" 한국국제정치학회 18 : 1978
11 유종해, "한국의 비동맹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22 : 1982
12 신진, "한국의 국방정책과 안보" 한국국제정치학회 40 (40): 2000
13 백락준, "한국을 위요한 국제정세의 今昔" 1953
14 편집위원회, "한국국제정치학회약사" (1) : 1963
15 황병무, "한국 안보의 영역, 쟁점, 정책" 봉명 2004
16 박영준,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 한울 2017
17 국가안전보장회의, "평화번영과 국가안보 : 참여정부의 안보정책구상" 청와대 2004
18 조명현, "탈냉전시대 한반도의 안보환경의 변화와 안보전략의 변화" 한국국제정치학회 36 (36): 1996
19 정춘일, "탈냉전시대 한미안보체제의 장래: 변화전망과 구조조정" 한국국제정치학회 32 (32): 1992
20 박명림, "탈냉전기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 - 김대중 사례 연구" 한국정치학회 43 (43): 151-174, 2009
21 홍용표,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한반도 안보환경의 재조명" 한국정치학회 36 (36): 121-140, 2002
22 이병희, "집단안전보장: 역사적 변천과정" 한국정치학회 37 (37): 167-194, 2003
23 김국진, "주한미군과 한반도 통일" 한국국제정치학회 29 (29): 1989
24 박인휘, "주권과 글로벌 안보: 세계화시대 주권과 안보의 개념적재구성" 한국정치학회 35 (35): 2001
25 외무부, "외무행정의 10년" 외무부 1959
26 이상우, "약소국의 방어능력과 고슴도치 이론" 한국국제정치학회 16 : 1976
27 서재만, "약소국에 있어서 국내정치와 외교정책과의 관계: 제3세계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20 : 1980
28 이상우, "약소국 시각에서 본 국제평화질서" 한국국제정치학회 17 : 1977
29 박영준, "안전보장의 국제정치학" 사회평론 2010
30 어수영,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신국제질서를 위한 태평양지역 공동체 구상" 한국국제정치학회 20 : 1980
31 이승헌, "아세아태평양 협조체제의 특성" 한국국제정치학회 15 : 1976
32 백락준, "아세아와 世界政局" 1954
33 오수열, "신국제질서와 동북아지역 국제기구형성의 현황" 한국국제정치학회 33 (33): 1993
34 이두산, "소위 ‘공존’의 문제와 냉전의 새 단계" 1955
35 청와대, "성숙한 세계국가: 이명박 정부 외교안보의 비전과 전략" 청와대 2009
36 하영선, "새로운 국제정치이론을 찾아서: 평화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21 : 1981
37 이신화, "비전통안보와 동북아지역협력" 한국정치학회 42 (42): 411-434, 2008
38 하경근, "비동맹운동과 한국" 한국국제정치학회 20 : 1980
39 이상우, "분단과 통일, 그리고 민족주의" 박영사 1984
40 박준영,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정책: 의도와 실상" 한국국제정치학회 39 (39): 1999
41 황진환,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한국의 위기관리 대책" 한국국제정치학회 39 (39): 1999
42 김달중, "북방정책의 개념, 목표 및 배경" 한국국제정치학회 29 (29): 1989
43 이호재, "북방외교의 길" 흥사단출판부 1983
44 김정익, "미국의 신아태 전략과 한국 국방" 한국국제정치학회 35 (35): 1995
45 손제석, "미국에 있어서의 국제관계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국제정치학회 2 : 1964
46 박상섭, "미국 국제정치학의 추세와 한국 국제정치학의상황" 한국국제정치학회 35 (35): 1995
47 남궁곤, "라카토스식「국가안보 프로그램」 발전을 통해 본 안보 개념의 심화와 확대"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73-95, 2002
48 홍용표, "동아시아의 지역협력과 한반도" 통일연구원 11 (11): 255-279, 2002
49 조명현, "동북아 평화정책과 지역협력: 회고와 전망" 한국국제정치학회 30 (30): 1990
50 김유남, "동북아 안보레짐의 형성 및 가능성: 다자간 안보협의체와의 상호보완성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39 (39): 1999
51 홍규덕,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체제"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994
52 이호재, "동북아 국제질서, 핵무기, 그리고 한반도" 한국국제정치학회 17 : 1977
53 박건영, "대북 정책의 새로운 접근" 한국국제정치학회 38 (38): 1998
54 최영종, "다자외교 강국으로 가는 길" 동아일보사 2009
55 이근, "노태우 시대의 재인식: 전환기의 한국 사회" 나남 출판 [경기 파주] 2012
56 이 장, "남북한의 긴장완화를 위한 제안" 한국국제정치학회 30 (30): 1990
57 함택영, "남북한의 군사력: 사실과 평가방법" 한국국제정치학회 37 (37): 1997
58 안병준, "남북한 군축의 방향" 한국국제정치학회 29 (29): 1989
59 정병호, "남북한 군사력: 그 실상과 허상" 한국국제정치학회 29 (29): 1989
60 전웅, "군사안보와 비군사안보의 상관관계" 한국국제정치학회 37 (37): 1997
61 김치욱, "국제정치의 분석단위로서 중견국가(Middle Power) : 그 개념화와 시사점"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7-36, 2009
62 구영록, "국가이익과 한국의 대외정책" 한국국제정치학회 31 : 1991
63 최경락, "국가안전보장서론: 존립과 발전을 위한 대전략" 법문사 1989
64 이민룡, "국가안보론" 박영사 2001
65 육군사관학교, "국가안보론" 박영사 2001
66 백종천, "국가안보, 국가방위 및 군사연구: 대상과 시각" 한국국제정치학회 24 (24): 1984
67 황병무, "구미의 평화연구와 한국에서의 적용" 30 (30): 1990
68 박용옥, "강대국 정치 속에서의 약소국 정치: 약소국의 적응행태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17 : 1977
69 山本吉宣, "安全保障槪念と傳統的安全保障の再檢討" 國際安全保障學會 30 (30): 2002
70 田中明彦, "安全保障: 戰後50年の模索" 讀賣新聞社 1997
71 김태우, "‘동아시아 평화지대’ 제안의 의의와 전망" 한국국제정치학회 38 (38): 1999
72 Limb, Ben C., "The Pacific Pact: Looking Forward or Backward?" 29 (29): 1951
73 Buzan, Barry, "Rethinking East Asian Security" 36 (36): 1994
74 Hahm, Pyong-choon., "Political Dilemmas in the Republic of Korea" 1 (1): 1974
75 Barry Buzan, "People, States and Fear: An Agenda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in the Post-Cold War Era" Lynne Rinner Publishers 1991
76 홍기준, "OSCE와 ARF 사례연구를 통해서 본 동북아 지역안보협력의 방향" 한국국방연구원 (40) : 1997
77 Ha, Young-Sun., "Nuclearization of Small States and World Order: The Case of Korea" 18 (18): 1978
78 Hahm, Pyong-choon., "Korea and the Emerging Asian Power Balance" 50 (50): 1972
79 Jervis, Robert.,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30 (30): 1978
80 Christensen, Thomas J., "China, the U.S.-Japan Alliance, and the Security Dilemma in East Asia" 23 (23): 1999
81 김기정, "21세기 한국 외교의 좌표와 과제: 동북아 균형자론의 국제정치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1 (11): 149-174, 2005
82 이호재, "21세기 동북아 국제질서와 새로운 세력균형체제 모색:동북아 5개국 체제" 한국국제정치학회 39 (39): 1999
83 양승함, "21세기 국제사회의 안보·평화 개념과 평화지수의 적실성"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7-27, 2003
Centralization through Consolidatio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Peace Studie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5-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평화연구소 ->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for Peace Studies, Korea University -> Peace & Democracy Institut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2 | 0.82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4 | 1.22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