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요구를 탐색하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사회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3986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7-118(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요구를 탐색하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사회정...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요구를 탐색하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사회정서학습 역량, 사회정서학습 역량 요구도,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만 15세부터 만 18세에 해당하는 14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혼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현재수준은 ’관계관리’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학습 역량별 요구도는 ‘자기인식’, ‘자기관리’, ‘책임있는 의사결정’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를 중단한 기간에 따라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 방식과 관련해서 총 6회기 이상~8회기 미만, 개별 활동, 회기당 1시간~2시간 미만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대상에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eed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ocial-emotional learning (SEL) programs tailored for them. To achieve this, the study assessed the SEL competencies, the demand for these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eed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ocial-emotional learning (SEL) programs tailored for them. To achieve this, the study assessed the SEL competencies, the demand for these competencies, and the demand for SEL programs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44 adolescents aged 15 to 1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employ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priorities for SEL competency needs, a combination of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used. First, the highest SEL compet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as 'relationship skills'. Second, the highest SEL competency in demand was 'self-awareness,' followed by 'self-management'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 Thir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SEL programs was moderat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urth, SEL competencies in demand were different based on the period how long participants were out of school. Finally, preferred program formats included 6 to 8 sessions, individual activities, and sessions lasting less than one to two hou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EL programs by identifying specific need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incorporating these needs into program design.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만성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속박감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청소년 자살생각, 자살시도의 영향요인 분석: 스트레스, 외로움, 절망감의 상호작용효과
대학생의 유기/불안정 도식과 관계중독의 관계: 외로움과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