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幼兒期 子女에 대한 어머니의 性敎育 實態調査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43102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淑明女子大學校, 199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5.1 판사항(3)

      • DDC

        301.4180541 판사항(18)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49장;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즈음 우리사회는 개방화 및 자유화로 많은 변화가 있는데 특히 성에 대해서는 예전에 비해 현저하게 개방되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로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불건...

      요즈음 우리사회는 개방화 및 자유화로 많은 변화가 있는데 특히 성에 대해서는 예전에 비해 현저하게 개방되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로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불건전하고 왜곡된 성정보가 사춘기 학생들은 물론 자라나는 아동들에게 까지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서 각종 성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급기야는 성 범죄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유아들을 건전하게 보호하고, 올바른 성교육을 위해서 성교육은 인간교육이라는 데 의의를 두고 올바른 성발달과 성의식을 갖게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부모의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두고 있는 어머니를 통해서 성교육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유아들에게 바람직한 성교육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의 성교육 필요성의 여부에 대해서 대다수의 어머니가 필요성을 인정하였고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그릇된 성 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로 나타났다. 효과적으로 성교육을 할 수 있는 곳은 유치원, 성교육 담당자로는 부모가 더 많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자녀의 적절한 성 교육시기는 5∼6세로 어머니들은 보고 있다. 성교육할때 중요시 하는 분야에 대해서 여아어머니가 남아어머니보다 유아 자신의 신체보호 및 신체관리에서 28.2 % 더 많은 반응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자녀의 성지식 출처에 대한 어머니의 의견은 대종매체가 많았고, 자녀의 성교육이 성장후 어느 분야에 영향을 주리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건전한 이성관이라고 남아어머니와 여아어머니가 똑같은 반응을 보였으며 그다음 항목인 자신의 신체보호 및 신체관리에 대해서는 여아어머니가 34% 더 많은 반응을 보였다. 자녀와 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경우는 유아가 질문할때 만으로 대다수의 어머니들의 반응이 나타났다. 성에 대해서 자녀로 부터 처음 질문을 받은 시기는 5∼6세로 가장 않은 반응이 나타났고, 그질문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비유를 들어서 설명했다가 과반수를 넘고 있다. 자녀의 성행위 모방이나 유사한 행동의 유무에서 그러한 행동이 있다 라고 대답한 어머니의 수는 34%이며, 이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다른것으로 관심을 갖게했다로 나타났다. 성교육을 위해서 어머니는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하지못하고 있다로 나타났으며,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성교육 경험의 유무에 대해서 없다가 거의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녀를 위한 성교육 지식출처는 대중매체로 의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자녀의 성교육 지도시 문제점은 어머니 자신의 성교육 지도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유아기에 있어서 성에 대한 관심이 가장 활발한 때는 5∼6세로 나타났는데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하기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대다수의 어머니가 느끼고 있지만, 성교육 지도방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성교육 경험이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에게 유아를 위한 성교육 지도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이를 홍보하고 교육의 기회를 부여한다면 가정에서 부터 올바른 성지식과 성발달을 얻게되어 성장후 건전한 삶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성교육이 일상생활을 통한 인간교육이라는 개념을 어머니에게는 물론 유아에게도 심어주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어머니와 유아가 성지식 습득을 대중매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사회와 교육기관의 성교육이 조화있게 이루어지도록 대중매체가 담당해야할 분야와 그 정도에 관해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attitude toward sex, in particular, has become remarkedly open compared with the extremely restrictive attitude we have before. Unfortunately the rapidity of the changes has brought about many undesirable side effects. Misleading informations abo...

      Our attitude toward sex, in particular, has become remarkedly open compared with the extremely restrictive attitude we have before.
      Unfortunately the rapidity of the changes has brought about many undesirable side effects. Misleading informations about sex is having a bad effect even on children as well as to juvenile students.
      This research aims to assist in recommendations as to how the mothers of boys and girls should educate them concerning sex.
      The result of this inquiry are as follows.
      1) Necessity of sex education.
      Most of the mothe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Because they want to pretect their children from misleading information on sex.
      2) Mother's attitude on sex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ose polled think the proper place for the education is kindergarten, and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such education should be parents.
      Mothers consider that the sex education should start when the children are 5-6 years old. Regarding the points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the education, the others of girls contrast with those of boys in that put the emphasis on former placing the items of protection and taking care of the children's own bodies foremost is 28.2%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mothers.
      The current sources of sex information for their children the mothers think, are mainly the Mass Media. To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such sex education will affect most?" The Responses of the mothers of boys and girls are equal in the item "sound view of the other sex".
      3) Mother's practice on sex education.
      Only when their children ask the mothers, to tell them about sex. The age 5-6 was the time most often cited for children's first questions about sex. And more than half of the mothers explained it with a metapher.
      For the item asking whether their child have ever imitated a sexual act or similar act, 34% of respondents said yes.
      Mother's reaction is to turn their children's interest away from it. For the items asking whether mothers explain verbally about methods for sex education and whether they have any experience in sex education, most of them respond in the negative.
      Mothers are shown to be heavily dependent on Mass Media for their sources of knowledge needed for the education and feel a back of knowledge in methods of sex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II. 이론적 배경 = 3
      • 1. 성교육의 중요성 = 3
      • 논문개요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II. 이론적 배경 = 3
      • 1. 성교육의 중요성 = 3
      • 2. 유아의 성심리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
      • 3. 성교육의 현황 = 13
      • III.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8
      • 1. 연구대상 = 18
      • 2. 조사도구 = 18
      • 3. 연구절차 = 18
      • IV. 결과 및 해석 = 20
      • 1. 유아기 자녀의 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의식 = 20
      • 2. 유아기 자녀의 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실제 = 26
      • V. 결론 및 논의 = 33
      • 참고문헌 = 38
      • 영문초록 = 41
      • 부록 =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