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교사들의 창의성에 관한 미시담론 형성 과정 = Micro-Discourses on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1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about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were five elementary teachers, naturally grouped through lectures, an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an open discussion about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shed light on the social language of various sources implied in the “extraordinary creativity” that emerged from the teachers' early dialogue on creativity. Secondly, through the disconstructing of the “extraordinary creativity” perspective and pursuing the meaning of “everyday creativity,” Thirdly, we dealt with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that proceeds to rethink creativity education by dealing with the capture and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of 'general creativity' in 'My Life'. In the discussion,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shifted from the macro to the micro perspectives of creativity. A series of discourses showed the teachers' discourse flow about opened questions of "what is creativity?" It also showed a process of generation of meaning that is interactively constructed about this ques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pecific discourses by teachers is not a process of following a linear theory but of passing through a long flow of discourse intertwined with life. It also suggests that pedagogical practice should be approached with a long-term view that encompasses the formation of specific discourse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about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were five elementary teachers, naturally grouped throu...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about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were five elementary teachers, naturally grouped through lectures, an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an open discussion about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shed light on the social language of various sources implied in the “extraordinary creativity” that emerged from the teachers' early dialogue on creativity. Secondly, through the disconstructing of the “extraordinary creativity” perspective and pursuing the meaning of “everyday creativity,” Thirdly, we dealt with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that proceeds to rethink creativity education by dealing with the capture and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of 'general creativity' in 'My Life'. In the discussion,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shifted from the macro to the micro perspectives of creativity. A series of discourses showed the teachers' discourse flow about opened questions of "what is creativity?" It also showed a process of generation of meaning that is interactively constructed about this ques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pecific discourses by teachers is not a process of following a linear theory but of passing through a long flow of discourse intertwined with life. It also suggests that pedagogical practice should be approached with a long-term view that encompasses the formation of specific dis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의 창의성과 관련된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일반적인 질적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강의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다섯 명의 초등 교사들이었으며, 자료는 창의성에 관한 끝열린 토론에서 수집되고 분석 및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성에 대한 교사들의 초기 발화인 ‘비범한 창의성’에 내포된 다양한 출처의 사회적 언어를 조명하는 것으로부터, 둘째 ‘비범한 창의성’ 관점의 해체와 ‘일상적 창의성’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을 통과하고, 셋째 ‘나의 삶’에서 ‘일상적 창의성’ 발현의 포착과 해석을 다루며 창의성 교육을 재고하는 것으로 진행되는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다루었다. 토론 과정에서 참여교사들의 담화는 창의성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이동했으며, 일련의 담화 과정은 ‘창의성이란?’이라는 열린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발화 흐름과 상호행위적으로 구성되는 공동의 의미생성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교사들의 특정 담론 형성이 선형적인 이론을 따라가는 과정이 아니고 삶과 복잡하게 얽힌 긴 담화의 흐름을 통과해야 하는 과정임을 보여주며, 교육적 실행은 특정 담론 형성을 포괄하는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의 창의성과 관련된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일반적인 질적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강의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다섯 명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의 창의성과 관련된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일반적인 질적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강의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다섯 명의 초등 교사들이었으며, 자료는 창의성에 관한 끝열린 토론에서 수집되고 분석 및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성에 대한 교사들의 초기 발화인 ‘비범한 창의성’에 내포된 다양한 출처의 사회적 언어를 조명하는 것으로부터, 둘째 ‘비범한 창의성’ 관점의 해체와 ‘일상적 창의성’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을 통과하고, 셋째 ‘나의 삶’에서 ‘일상적 창의성’ 발현의 포착과 해석을 다루며 창의성 교육을 재고하는 것으로 진행되는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다루었다. 토론 과정에서 참여교사들의 담화는 창의성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이동했으며, 일련의 담화 과정은 ‘창의성이란?’이라는 열린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발화 흐름과 상호행위적으로 구성되는 공동의 의미생성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교사들의 특정 담론 형성이 선형적인 이론을 따라가는 과정이 아니고 삶과 복잡하게 얽힌 긴 담화의 흐름을 통과해야 하는 과정임을 보여주며, 교육적 실행은 특정 담론 형성을 포괄하는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경희, "학교교육에서 창의성을 둘러싼 주요 쟁점 검토: 교육과정 연구에의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99-119, 2016

      2 조난심,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3 이석진, "융합인재교육(STEAM)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7-101, 2017

      4 한기순, "우리는 진정 창의성을 원하는가?:반창의성 편향에 관한 담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3 (13): 53-70, 2013

      5 김흥수, "담화ㆍ텍스트 분석과 문학작품 담론" 27 : 49-75, 2005

      6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4 (14): 106-145, 2006

      7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교육과학사 1998

      8 Putnam, R. T.,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29 (29): 4-15, 2000

      9 김혜리, "Understanding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Teacher Learning: Situated Discourse Approach and Case Analysi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7 (27): 505-529, 2010

      10 Beghetto, R. A.,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creativity" 1 : 73-79, 2007

      1 소경희, "학교교육에서 창의성을 둘러싼 주요 쟁점 검토: 교육과정 연구에의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99-119, 2016

      2 조난심,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3 이석진, "융합인재교육(STEAM)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7-101, 2017

      4 한기순, "우리는 진정 창의성을 원하는가?:반창의성 편향에 관한 담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3 (13): 53-70, 2013

      5 김흥수, "담화ㆍ텍스트 분석과 문학작품 담론" 27 : 49-75, 2005

      6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4 (14): 106-145, 2006

      7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교육과학사 1998

      8 Putnam, R. T.,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29 (29): 4-15, 2000

      9 김혜리, "Understanding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Teacher Learning: Situated Discourse Approach and Case Analysi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7 (27): 505-529, 2010

      10 Beghetto, R. A.,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creativity" 1 : 73-79, 2007

      11 Scho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12 Bakhtin, M., "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1

      13 Hodson, D.,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Language, theories, methods, history, traditions and values" Sence Publisher 2009

      14 Bakhtin, M., "Speech genres and other late essay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6

      15 Gee, J. P., "Social linguistics and literacies: Ideology in discourse" The Falmer Press 1990

      16 Tharp, R. G., "Rousing minds to life: Teaching, learning, and schooling in social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7 Adger, C. T., "Professional conversation and teacher learning" 31 (31): 26-28, 2002

      18 Jeongwoo Park,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 (18): 241-267, 2018

      19 DongWon Kim, "Paradigmatic Implications for the Global Governance of Climate Change in the Postmodern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8 (8): 117-144, 2013

      20 Maslow, A.,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Collins 1970

      21 Yeong-Il Paeng, "Issues Regarding the Conceptualiz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25 (25): 221-243, 2011

      22 Eunjeong Hong, "Investigation of 'Group Scientific Creativity' Factors in Gifted Students' Creative Project Solving Context"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 (36): 527-538, 2016

      23 Jongwon Park, "Investigating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cognition of Contrary Views on Scientific Creativity"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 (35): 395-402, 2015

      24 박동섭, "Inquiry into directions of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through Bakhtin's Dialogicalit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11 (11): 37-72, 2008

      25 Richards, R., "Everyday creativity, eminent creativity, and health : "Afterview"for CRJ special issues on creativity and health" 3 (3): 300-326, 1990

      26 Killingsworth, M. J., "Discourse communities, local and global" 11 (11): 110-122, 1992

      27 Deetz, S., "Describing differences in approaches to organization science : Rethinking burrell and morgan and their legacy" 7 (7): 191-207, 1996

      28 Suh Hyuk, "Critical analysis of Journal's Articles on Reading Discourse through Press Releases : Focused on 2013 Research Report on Reading Status in Korea" Korea Reading Association 35 : 285-317, 2015

      29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6

      30 Runco, M. A., "Creativity and development : Recommendations" 72 : 87-90, 1996

      31 Anderson, C. W., "Canonical and sociocultural approaches to research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 The story of Juan and his group" 97 (97): 359-383, 1997

      32 Kaufman, J. C., "Beyond big and little :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13 (13): 1-12, 2009

      33 NACCCE, "All our futures : 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 DfEE 1999

      34 Reilly, R., "A synthesis of research concerning creative teachers in a Canadian context" 27 (27): 533-542, 2011

      35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 과학"

      36 교육부, "2009 개정 교육과정 : 과학"

      37 이제이, "1인 미디어에 나타난 서울숲의 미시담론 연구 : 장소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