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말~일제강점기 목포 양동교회의 설립과 활동 =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Mokpo Yangdong Church between the Korean empire to Japanese coloni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08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목포 최초의 교회인 양동교회의 설립과 활동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시간적 범위는 목포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로 설정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범위는 첫째, 목포 최초 교회의 설립과 정착 과정 둘째, 양동교회의 운영 양상과 확산 양상, 셋째, 양동교회의 지역사회에 미친 사회적 기능이다. 당시 선교사들이 남긴 1차 사료를 집중 검토하고, 대한제국 시기부터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각종 지방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목포 최초교회 설립과 정착 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목포 최초 교회의 설립 흐름은 목포선교부 설치에 기인한다. 미국남장로회 선교사들은 일찍이 목포 개항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개방하는 항구를 통한 교통의 편리, 물자 공급과 주변 지역과 접근 용이, 많은 섬의 존재 등과 같은 장점 속에서 목포를 주목하였다. 나주에서의 선교 실패 이후, 외국인의 신분상 거주의 안전이 확보된 목포에 선교부를 두었다. 목포교회의 실제 시작점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본 연구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목포교회는 유진 벨 선교사가 목포 선교 책임자로 결정이 된 군산 연례회의 1897년 11월 이후 목포에서 예배를 통해 시작되었다. 첫 예배의 정확한 기록이 정확히 남지 않아, 교회 설립시기를 1897년 늦가을로 추정하였다. 목포교회는 임시거주지, 배리하우스, 위더스푼기념교회당, 현존 예배당으로 총 4차례 걸친 예배당의 건립이 있었다. 교회의 위치인 양동은 한국인 마을과 인접하여 한국인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 1920년대 목포 내 다양한 교회의 형성 속에서, 목포교회도 1926년 동네 명칭을 통해 명칭을 변경하면서 양동교회로 정착하였다.
      둘째, 양동교회의 운영 양상과 확산 양상을 살펴보았다. 양동교회의 예배는 초기인 1898년부터 1902년에 주일아침예배, 주일저녁예배, 주일학교, 주일오후영어예배, 아침기도회, 수요기도회로 총 5가지가 있었다. 교인에게 성경반, 성경학원, 사경회를 통해 성경학습을 시키고 이를 통해 양성된 인력이 조사, 전도부인, 권서인과 같은 전도자가 되었다. 이는 양동교회의 확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양동교회의 재정은 미국남장로회 지원과 교인들의 헌금을 통해 마련되었다. 선교사들이 양동교회를 통해 각종 선교활동을 펼쳤고, 컨트롤타워로서 미국 선교회로부터 받은 예산을 집행하였다. 선교 건물에 대한 건축 비용이나, 구제활동을 위해 특수하게 모금을 받아 재정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전도활동과 예배를 통해 양동교회 교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교인의 증가 속에서 예배당을 확장 건축을 해나갔으며, 분립을 통해 목포 곳곳에 확산해나갔다.
      셋째, 의료활동과 교육활동, 사회개선활동, 선교활동이라는 4가지 활동으로 양동교회의 사회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양동교회는 의료활동을 통해 프렌치병원을 설립하고 한국인들의 열악한 의료환경을 보완하였다. 한국인 의료인력 양성의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양동교회는 교육활동을 통해서 정명여학교와 영흥학교를 세우고 한국인 대상 고등교육을 실시하였다. 여성야학과 희성유치원의 아동교육을 통해서도 지역사회 근대교육에 기여하였다. 교인들은 1919년 만세운동 참여와 기독청년활동, 예배를 통한 일제에 저항하는 등 민족의식 기반 사회개선활동을 펼쳤다. 이는 목포 지역 독립운동과 민족운동에 중요한 중심축이 되었다. 양동교회는 주변 지역으로 전도를 꾸준히 펼쳤고, 특히 섬 지역에서도 전담자를 두어 정기적인 선교활동을 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목포의 항구를 통해 지역과 섬 선교를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신앙을 갖게 된 지역 인재들이 양동교회를 통해 활동하고 교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교사 활동 중심의 연구와는 달리 목포 최초의 교회인 양동교회를 연구 중심에 놓고, 항구도시 목포의 근대 사회상과 연계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면에서 연구사적인 의미를 지닌다. 광주·전남지역의 최초교회이자 개신교 확산과 근대문물 전파에 많은 기여를 했던 양동교회에 대한 개별 논문으로는 처음으로 발표되는 성과이다. 양동교회는 여러가지 활동을 통해 목포의 근대화 과정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근대도시 목포에 활발한 사회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의 역할로 자리하며, 지역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목포 최초의 교회인 양동교회의 설립과 활동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시간적 범위는 목포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로 설정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범위는 첫째, 목포 최초 교회의 설...

      본 연구는 목포 최초의 교회인 양동교회의 설립과 활동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시간적 범위는 목포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로 설정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범위는 첫째, 목포 최초 교회의 설립과 정착 과정 둘째, 양동교회의 운영 양상과 확산 양상, 셋째, 양동교회의 지역사회에 미친 사회적 기능이다. 당시 선교사들이 남긴 1차 사료를 집중 검토하고, 대한제국 시기부터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각종 지방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목포 최초교회 설립과 정착 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목포 최초 교회의 설립 흐름은 목포선교부 설치에 기인한다. 미국남장로회 선교사들은 일찍이 목포 개항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개방하는 항구를 통한 교통의 편리, 물자 공급과 주변 지역과 접근 용이, 많은 섬의 존재 등과 같은 장점 속에서 목포를 주목하였다. 나주에서의 선교 실패 이후, 외국인의 신분상 거주의 안전이 확보된 목포에 선교부를 두었다. 목포교회의 실제 시작점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본 연구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목포교회는 유진 벨 선교사가 목포 선교 책임자로 결정이 된 군산 연례회의 1897년 11월 이후 목포에서 예배를 통해 시작되었다. 첫 예배의 정확한 기록이 정확히 남지 않아, 교회 설립시기를 1897년 늦가을로 추정하였다. 목포교회는 임시거주지, 배리하우스, 위더스푼기념교회당, 현존 예배당으로 총 4차례 걸친 예배당의 건립이 있었다. 교회의 위치인 양동은 한국인 마을과 인접하여 한국인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 1920년대 목포 내 다양한 교회의 형성 속에서, 목포교회도 1926년 동네 명칭을 통해 명칭을 변경하면서 양동교회로 정착하였다.
      둘째, 양동교회의 운영 양상과 확산 양상을 살펴보았다. 양동교회의 예배는 초기인 1898년부터 1902년에 주일아침예배, 주일저녁예배, 주일학교, 주일오후영어예배, 아침기도회, 수요기도회로 총 5가지가 있었다. 교인에게 성경반, 성경학원, 사경회를 통해 성경학습을 시키고 이를 통해 양성된 인력이 조사, 전도부인, 권서인과 같은 전도자가 되었다. 이는 양동교회의 확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양동교회의 재정은 미국남장로회 지원과 교인들의 헌금을 통해 마련되었다. 선교사들이 양동교회를 통해 각종 선교활동을 펼쳤고, 컨트롤타워로서 미국 선교회로부터 받은 예산을 집행하였다. 선교 건물에 대한 건축 비용이나, 구제활동을 위해 특수하게 모금을 받아 재정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전도활동과 예배를 통해 양동교회 교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교인의 증가 속에서 예배당을 확장 건축을 해나갔으며, 분립을 통해 목포 곳곳에 확산해나갔다.
      셋째, 의료활동과 교육활동, 사회개선활동, 선교활동이라는 4가지 활동으로 양동교회의 사회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양동교회는 의료활동을 통해 프렌치병원을 설립하고 한국인들의 열악한 의료환경을 보완하였다. 한국인 의료인력 양성의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양동교회는 교육활동을 통해서 정명여학교와 영흥학교를 세우고 한국인 대상 고등교육을 실시하였다. 여성야학과 희성유치원의 아동교육을 통해서도 지역사회 근대교육에 기여하였다. 교인들은 1919년 만세운동 참여와 기독청년활동, 예배를 통한 일제에 저항하는 등 민족의식 기반 사회개선활동을 펼쳤다. 이는 목포 지역 독립운동과 민족운동에 중요한 중심축이 되었다. 양동교회는 주변 지역으로 전도를 꾸준히 펼쳤고, 특히 섬 지역에서도 전담자를 두어 정기적인 선교활동을 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목포의 항구를 통해 지역과 섬 선교를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신앙을 갖게 된 지역 인재들이 양동교회를 통해 활동하고 교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교사 활동 중심의 연구와는 달리 목포 최초의 교회인 양동교회를 연구 중심에 놓고, 항구도시 목포의 근대 사회상과 연계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면에서 연구사적인 의미를 지닌다. 광주·전남지역의 최초교회이자 개신교 확산과 근대문물 전파에 많은 기여를 했던 양동교회에 대한 개별 논문으로는 처음으로 발표되는 성과이다. 양동교회는 여러가지 활동을 통해 목포의 근대화 과정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근대도시 목포에 활발한 사회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의 역할로 자리하며, 지역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Yangdong Church, the first church in Mokpo. The temporal range of this study was set from the opening of Mokpo port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detailed research focuses on: firstly, the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process of Mokpo's first church; secondly, the aspects of how Yangdong Church operated and was spread: thirdly, the social functions of Yangdong Church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e study concentrates on Primary data left by missionaries of that time, compares and analyzes various local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First,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of Mokpo’s first church. The foundation of Mokpo's first church is roo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Mokpo Missionary Station.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were early to recognize Mokpo's opening as a port, noticing its advantages such as convenient transportation, easy access to supplies from surrounding areas, and the presence of numerous islands. After the failure of the evangelizing mission in Naju, it was decided to establish a mission station in Mokpo, a place where foreign residents can be assured of their safety. The study presents the researcher's opinion regarding the debate on the actual starting point of Mokpo Church. Mokpo Church initiated through worship in Mokpo after November 1897 of the Gunsan Annual Meeting of presbyterian mission, when Eugene Bell was nominated to be in charge of Mokpo missionary. Since the exact record of the first worship is not preserved, it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in late fall in 1897.
      Mokpo Church underwent four phases of church hall, starting from a temporary residence, Barry House, Witherspoon Memorial Church, and the current worship hall. The location of the church, Yangdong was able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to Koreans because it was adjacent to a Korean village. In the 1920s, amidst of various churches' formation in Mokpo, Mokpo Church was settled by changing its name to Yangdong Church in 1926.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operational aspects and spread of Yangdong Church. From 1898, the beginning of Yangdong Church, to 1902, Yangdong Church held five types of worship services: Sunday morning worship, Sunday evening worship, Sunday school, Sunday afternoon English worship, morning prayer meetings, and Wednesday prayer meetings. Church members were taught the Bible through Bible classes, Bible institutes, and Bible conferences. And the trained personnel became evangelists, Bible women, and colporteurs. Thi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Yangdong Church.
      The finances of Yangdong Church were supported by the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the offerings of its members. Missionaries carried out various missionary activities through Yangdong Church and as a control tower, managed the budget received from the American Missionary Society. Funds were also raised specifically for the construction costs of missionary buildings or social relief activities. Through evangelism and worship services, the number of Yangdong Church members steadi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members grew, the church extended its building, and was spread throughout Mokpo by separation independence.
      Third, the social functions of Yangdong Church were examined with four activities: medical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soci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missionary activities. Yangdong Church established the French Hospital to improve the poor medical conditions for Koreans and served as a background for the training of Korean medical personnel. Through its educational activities, Yangdong Church founded Jeongmyeong Girls' School and Yeongheung School, providing higher education for Koreans. It also contributed to modern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women's night schools and Huiseong Kindergarten children's education.
      Church members performed activities for amelioration of society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by participat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engaging in Christian youth activities, and resisting Japanese rule through worship. This became a focal point in Mokpo's local independence and national movements. Yangdong Church consistently evangelized to surrounding areas, particularly appointing personnel for continuous missionary activities on islands. Mokpo areas and islands missionary works were possible through the port of Mokpo, and then, local talents who became religious were able to work and interact through Yangdong Church.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 on missionary-centric activities, this study has research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laces Yangdong Church, the first church in Mokpo, at the center of the study and attempts to analyze it in relation to the modern social aspect of Mokpo, the port city. This is the first individual paper published about Yangdong Church, which was the first church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spread of Protestantism and modern culture in the region. Yangdong Church not only influenced Mokpo's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various activities but also positioned itself to open up vibrant social activities in the modern city of Mokpo, and contributed to forming local network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Yangdong Church, the first church in Mokpo. The temporal range of this study was set from the opening of Mokpo port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detailed research focuses on: firstly, the es...

      This study analyzes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Yangdong Church, the first church in Mokpo. The temporal range of this study was set from the opening of Mokpo port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detailed research focuses on: firstly, the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process of Mokpo's first church; secondly, the aspects of how Yangdong Church operated and was spread: thirdly, the social functions of Yangdong Church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e study concentrates on Primary data left by missionaries of that time, compares and analyzes various local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First,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of Mokpo’s first church. The foundation of Mokpo's first church is roo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Mokpo Missionary Station.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were early to recognize Mokpo's opening as a port, noticing its advantages such as convenient transportation, easy access to supplies from surrounding areas, and the presence of numerous islands. After the failure of the evangelizing mission in Naju, it was decided to establish a mission station in Mokpo, a place where foreign residents can be assured of their safety. The study presents the researcher's opinion regarding the debate on the actual starting point of Mokpo Church. Mokpo Church initiated through worship in Mokpo after November 1897 of the Gunsan Annual Meeting of presbyterian mission, when Eugene Bell was nominated to be in charge of Mokpo missionary. Since the exact record of the first worship is not preserved, it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in late fall in 1897.
      Mokpo Church underwent four phases of church hall, starting from a temporary residence, Barry House, Witherspoon Memorial Church, and the current worship hall. The location of the church, Yangdong was able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to Koreans because it was adjacent to a Korean village. In the 1920s, amidst of various churches' formation in Mokpo, Mokpo Church was settled by changing its name to Yangdong Church in 1926.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operational aspects and spread of Yangdong Church. From 1898, the beginning of Yangdong Church, to 1902, Yangdong Church held five types of worship services: Sunday morning worship, Sunday evening worship, Sunday school, Sunday afternoon English worship, morning prayer meetings, and Wednesday prayer meetings. Church members were taught the Bible through Bible classes, Bible institutes, and Bible conferences. And the trained personnel became evangelists, Bible women, and colporteurs. Thi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Yangdong Church.
      The finances of Yangdong Church were supported by the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the offerings of its members. Missionaries carried out various missionary activities through Yangdong Church and as a control tower, managed the budget received from the American Missionary Society. Funds were also raised specifically for the construction costs of missionary buildings or social relief activities. Through evangelism and worship services, the number of Yangdong Church members steadi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members grew, the church extended its building, and was spread throughout Mokpo by separation independence.
      Third, the social functions of Yangdong Church were examined with four activities: medical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soci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missionary activities. Yangdong Church established the French Hospital to improve the poor medical conditions for Koreans and served as a background for the training of Korean medical personnel. Through its educational activities, Yangdong Church founded Jeongmyeong Girls' School and Yeongheung School, providing higher education for Koreans. It also contributed to modern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women's night schools and Huiseong Kindergarten children's education.
      Church members performed activities for amelioration of society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by participat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engaging in Christian youth activities, and resisting Japanese rule through worship. This became a focal point in Mokpo's local independence and national movements. Yangdong Church consistently evangelized to surrounding areas, particularly appointing personnel for continuous missionary activities on islands. Mokpo areas and islands missionary works were possible through the port of Mokpo, and then, local talents who became religious were able to work and interact through Yangdong Church.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 on missionary-centric activities, this study has research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laces Yangdong Church, the first church in Mokpo, at the center of the study and attempts to analyze it in relation to the modern social aspect of Mokpo, the port city. This is the first individual paper published about Yangdong Church, which was the first church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spread of Protestantism and modern culture in the region. Yangdong Church not only influenced Mokpo's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various activities but also positioned itself to open up vibrant social activities in the modern city of Mokpo, and contributed to forming local net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 제1장 머리말 1
      •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목 차
      • 국문초록
      • 제1장 머리말 1
      •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5
      • 제2장 목포 최초 교회 설립과 정착 과정 7
      • 제1절 목포 개항과 선교부 설치 7
      • 제2절 교회의 시작과 예배당 건립 11
      • 제3절 위치상의 특징과 ‘양동교회’로 명칭 변화 18
      • 제3장 양동교회의 운영 양상과 확산 23
      • 제1절 예배 양상과 성경학습 프로그램 23
      • 제2절 교회의 재정적 기반과 예산 사례 28
      • 제3절 출석교인의 증가와 교회 분립 32
      • 제4장 양동교회의 사회적 기능 38
      • 제1절 병원 운영을 통한 의료활동 38
      • 제2절 학교 운영을 통한 교육활동 44
      • 제3절 민족 운동을 통한 사회활동 49
      • 제4절 선교를 통한 섬 지역 교류활동 59
      • 제5장 맺음말 68
      • 참고문헌 71
      • ABSTRACT 78
      • 부 록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