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일본제국의 국제·식민박람회 사용법 -1910년 일본-영국박람회와 1929년 조선박람회 사례를 중심으로- = The Japanese Empire’s Appropriation of International · Colonial Expositions as a Cultural Tool of Colonialism: Focusing on the 1910 Japan-British Exhibition and the 1929 Choseon Exhibi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observes and analyzes how the Japanese Empire imitated·appropriated·reinvented international and colonial exhibitions as a cultural tool of colonialism by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1910 Japan-British Exhibition and the 1929 Choseon Exhibition.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traces the diplomatic processes after the victory in the Sino-Japanese·Russo-Japanese War, in that Meiji Japan, a new emerging imperial power in the East Asian region, had joined the ‘Imperial Club’, using the Japan-British Exhibition as an opportunity to announce officially the annexation of Korea to obtain the recognition from the Western powers.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reexamines and reevaluate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oseon Exhibition as an effective example of the Japan Empire’s implantation of ‘cultural rule.’ Whereas the Choseon Exhibition had stimulated the ‘colonial nationalism’ propagated by the major nationalist daily newspapers by highlighting the negative/exploitative aspects of the event, a multitude of ordinary Koreans who visited the exhibition subconsciously nourished and desired for the inevitability of modernity, thus breeding a seed of ‘colonial modernity.’ This paper concludes that 1) the Japan-British Exhibition and Choseon Exhibition well demonstrated how the Japanese Empire successfully positioned and justified itself as a nation that willingly took a ‘yellow-man’ burden’ of civilizing neighboring countries.; 2) the steel gun-boat and machine gun are not exclusive ‘tools of empire’, but ‘world/colonial fairs’ and other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Olympia are insidious and invincible tools of empire as well. This is truer and more applicable in the so-called post-colonial globalization era.
      (Chung-Ang University / waldo@cau.ac.kr)
      번역하기

      The paper observes and analyzes how the Japanese Empire imitated·appropriated·reinvented international and colonial exhibitions as a cultural tool of colonialism by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1910 Japan-British Exhibition and the 1929 Choseon Exhi...

      The paper observes and analyzes how the Japanese Empire imitated·appropriated·reinvented international and colonial exhibitions as a cultural tool of colonialism by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1910 Japan-British Exhibition and the 1929 Choseon Exhibition.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traces the diplomatic processes after the victory in the Sino-Japanese·Russo-Japanese War, in that Meiji Japan, a new emerging imperial power in the East Asian region, had joined the ‘Imperial Club’, using the Japan-British Exhibition as an opportunity to announce officially the annexation of Korea to obtain the recognition from the Western powers.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reexamines and reevaluate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oseon Exhibition as an effective example of the Japan Empire’s implantation of ‘cultural rule.’ Whereas the Choseon Exhibition had stimulated the ‘colonial nationalism’ propagated by the major nationalist daily newspapers by highlighting the negative/exploitative aspects of the event, a multitude of ordinary Koreans who visited the exhibition subconsciously nourished and desired for the inevitability of modernity, thus breeding a seed of ‘colonial modernity.’ This paper concludes that 1) the Japan-British Exhibition and Choseon Exhibition well demonstrated how the Japanese Empire successfully positioned and justified itself as a nation that willingly took a ‘yellow-man’ burden’ of civilizing neighboring countries.; 2) the steel gun-boat and machine gun are not exclusive ‘tools of empire’, but ‘world/colonial fairs’ and other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Olympia are insidious and invincible tools of empire as well. This is truer and more applicable in the so-called post-colonial globalization era.
      (Chung-Ang University / waldo@cau.ac.k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일, "현대진(珍)직업전람회(3)"

      2 신기욱,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삼인 2006

      3 최문형,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4 임경석, "한국근대외교사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5 정연태,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푸른역사 2011

      6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8

      7 "침착하자 박람회를 당하야"

      8 윤치호, "참으로 격세(隔世)의 감(感)이 있다" (53) : 1929

      9 육영수, "지식의 세계사: 베이컨에서 푸코까지, 지식권력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해왔는가" 휴머니스트 2019

      10 정수일, "조선인으로서 본 조선박람회" (53) : 1929

      1 정수일, "현대진(珍)직업전람회(3)"

      2 신기욱,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삼인 2006

      3 최문형,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4 임경석, "한국근대외교사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5 정연태,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푸른역사 2011

      6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8

      7 "침착하자 박람회를 당하야"

      8 윤치호, "참으로 격세(隔世)의 감(感)이 있다" (53) : 1929

      9 육영수, "지식의 세계사: 베이컨에서 푸코까지, 지식권력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해왔는가" 휴머니스트 2019

      10 정수일, "조선인으로서 본 조선박람회" (53) : 1929

      11 "조선인 향객(鄕客)은 오십칠만명"

      12 최석영, "조선박람회와 일제의 문화적 지배" 3⋅4합 : 1999

      13 김영희, "조선박람회와 식민지 근대" 국학연구원 (140) : 221-267, 2007

      14 건국대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선박람회기념사진첩: 1929년, 조선을 박람하다1" 소명출판 2018

      15 "조선박람회 전기(前記)(6): 규모광대한 교통건축토목관과 취미진진(津津)한 경무위생관"

      16 정인섭, "조선박람회 안내" 조양출판사 1929

      17 "조박의 영향"

      18 사토노 토오루, "제국일본과 인류학자(1884-1952)" 민속원 2013

      19 "전 조선 상대의 상업자 일본인이 육백배 우세"

      20 송인호, "일제강점기 박람회의 개최와 경복궁의 위상변동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와 1929년 조선박람회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55) : 111-138, 2014

      21 신용하, "일제 식민지정책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문학과지성사 2006

      22 "일영박람회 내용"

      23 이승일, "일본의 식민지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연구재단 2008

      24 강만길,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선인 2004

      25 김원수, "영일동맹과 한일병합의 글로벌 히스토리, 1905-1911 - 전지구적 국제관계와 연계하여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21-133, 2010

      26 김제정, "식민지기 박람회 연구 시각과 지역성 — 1929년 조선박람회를 중심으로 —" 도시사학회 (9) : 7-32, 2013

      27 "소위『정신적 병합』문제"

      28 마쓰다 교코, "세기 전환기 식민지 표상과 인간전시 : 제국 ‘일본’의 박람회를 중심으로" (26) : 2013

      29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된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보급에 대한 고찰" 길 2018

      30 상섭생, "박람회를 보고 보지 못한 기(記)(1): 근정전개장식에 불청객이 자래(自來)로"

      31 상섭생, "박람회를 보고 보지 못한 기(4): 역사(役事)하다 말고 이사(移徙)한 집 갓다"

      32 상섭생, "박람회를 보고 보지 못한 기(3): 색지로 발른 문루(門樓)와 오리목의 석난공(石欄工)"

      33 상섭생, "박람회를 보고 보지 못한 기(2): 만정추초(滿庭秋草) 나븟기는 거기에 선 그 이들"

      34 "박람회 덕으로 배부른 화류계"

      35 유광렬, "무슨 평을 하리까" (53) : 1929

      36 "명일로 종막되는 조박(朝博) 각 방면 영향 여하(如何)"

      37 육영수, "만국박람회와 인간의 역사" 소명출판사 2020

      38 박경석, "동아시아의 ‘근대’ 체험" 한울 2018

      39 하세봉, "동아시아 엑스포의 역사 : 메가 이벤트의 감성공학" 산지니 2019

      40 "뎐당(典當)을 내어서라도 박람회 구경을 가라"

      41 "남촌(南村)을 차저 고용사리하는 이들(2): 시일짜른 박람회녀간수"

      42 "고리여비 차용케하고 박람회관광단 강제모집"

      43 朴美貞, "植民地朝鮮の博覧会事業と京城の空間形成" 21 (21): 2010

      44 佐野真由子, "万覽學: 万国博覽會という, 世界を把握する方法" 思文出版社 2020

      45 佐野真由子, "万国博覽會と 人間の歷史" 思文出版社 2015

      46 "『키쓰찔』의 출현"

      47 육영수, "‘은자(隱者) 왕국’의 세상 엿보기 혹은 좌절된 접속: 1900년 파리세계박람회에 전시된 ‘세기말’ 조선" 대구사학회 114 : 153-182, 2014

      48 Tierney Robert Thomas, "Tropics of Savagery: The Culture of Japanese Empire in Comparative Frame" 2010

      49 이태진, "Treaties Leading to Japan’s Annexation of Korea: What Are the Problems?" 한국학중앙연구원 56 (56): 5-32, 2016

      50 "The Progress of Japan"

      51 Midori Komatsu, "The Old People and the New Government" IV-Part I : 1912

      52 Hotta-Lister. Ayako, "The Japan-British Exhibition of 1910: Gateway to the Island Empire of the East" 1999

      53 Hirokichi, Mutsu, "The British Press and the Japan-British Exhibition of 1910" 2010

      54 Ann Laura Stoler, "Tensions of Empire: Colonial Cultures in a Bourgeois World" 1997

      55 "Successful Inauguration"

      56 Hale, D. S., "Races on Display: French Representations of Colonized People" 2008

      57 Hong Kal, "Modeling the West, Returning to Asia: Shifting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Japanese Colonial Expositions in Korea" 47 (47): 2005

      58 Ageron, Charles Robert, "L’Exposition coloniale de 1931: Mythe républicain ou mythe impérial?" 1 : 2005

      59 Morton Patricia A., "Hybrid Modernities" 2000

      60 육영수, "Fin de Siècle Korea as Exhibited at the World's Columbian Exposition of 1893 in Chicago: Revisited"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4 (24): 1-27, 2011

      61 Greenhalgh, Paul, "Ephemeral Vistas: The Expositions Universelles, Great Exhibitions and World’s Fairs, 1851-1939" 1988

      62 Ayako Hotta-Lister, "Commerce & Culture at the 1910 Japan-British Exhibition: Centerary Perspectives" 2012

      63 Jun Uchida, "Brokers of Empire: Japanese Settler Colonialism in Korea, 1876-1945" 2011

      64 Todd A. Henry, "Assimilating Seoul: Japanese Rule & Politics of Public Space in Colonial Korea, 1910-1945" 2014

      65 Rydell. Robert W., "All the World’s a Fair: Visions of Empire at American International Expositions, 1876-1916" 1984

      66 Hong Kal, "Aesthetic constructions of Korean nationalism: spectacle, politics, and history" 2011

      67 남기웅, "1929년 조선박람회와 ‘식민지 근대성’"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3) : 157-184, 2008

      68 김태웅, "1915년 京城府 物産共進會와 日帝의 政治宣傳" 서울학연구소 (18) : 139-168, 2002

      69 노유니아, "1910년 일영박람회 동양관의 한국 전시 ―일본제국의 대외선전에 나타난 식민지 조선의 표상"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8) : 179-210, 2014

      70 "13만8천 원: 박람회 바람에 수난 유곽"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서양사론
      외국어명 : The Western History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6 0.49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