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BIM-based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n Domestic Architectural Design Fi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3178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건축환경공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91 p. ; 26 cm : 삽도.

      • 일반주기명

        국문요지: p. vii-viii
        Abstract: p. 86-88
        지도교수: 전한종
        참고문헌: p. 81-83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larger and more complex, much information is going into each part and phase. For this reason, collaboration is emphasized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 building design process has to change. However, problems occurs on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es that are accomplished with focus on the outcome goods and followed in project or by the team leader. In the United States, the 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alifornia Council focuses on collaboration and the coordination, which, pursues change and perfects cooperation in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Also, th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aradigm of 20th century is a new concept technology in construction industry. It is a process of effecting optimum integrating, re-using information, and expense reduction throughout the life-cycle of a building. Also, it establishes a base for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to build a collaboration system. But, many problems are exposed such as mismatched plans, construction delay of building during its life-cycle. Therefore,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has to change and collaboration is emphasized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and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based on BIM using a IDEF0 methodology. And then, it establishes a desirable domestic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application plan focusing on the design phase of domestic cases.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objectives, method and scope of the research are described.
      In chapter 2, we depict the definition of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of the AIA California Council, the concept and trait of BIM and the Integration DEFinition0(IDEF0) methodology of the design process analysis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chapter 3, through the BIM-based cases, we draw the rapidity(accuracy),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in the traits of the BIM.
      In chapter 4, we draw problems from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Also, this paper of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based on AIA California Council's demonstrates the flow of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using a IDEF0 methodology. This IDEF0 methodology compares and analyzes each phases between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and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n chapter 5, we interview and analyze the domestic firm's cases focusing small architectural firms using BIM-based. We choose small architectural companies because small architectural companies have better conditions better than big architects company. Also, this study is limited to three domestic architectural companies which are three architect firms. It compared and analyzed each project and it grasps a domestic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n present condition.
      In chapter 6,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described.
      As a result of analysis, flowing conclusions are included ;
      Firstly, problems occur on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that are accomplished with focusing on the outcome. It makes much errors because of 2D-based information. Another problems is that collaboration doesn't go on smoothly. But,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s accomplished with the collaboration and the coordination which pursues change and perfects cooperation.
      Secondly, BIM is a process of effecting optimum integrating, re-using information, and expense reduction throughout the life-cycle of a building. Moreover, it establishes a basis for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to build a collaboration system.
      번역하기

      As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larger and more complex, much information is going into each part and phase. For this reason, collaboration is emphasized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 building desig...

      As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larger and more complex, much information is going into each part and phase. For this reason, collaboration is emphasized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 building design process has to change. However, problems occurs on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es that are accomplished with focus on the outcome goods and followed in project or by the team leader. In the United States, the 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alifornia Council focuses on collaboration and the coordination, which, pursues change and perfects cooperation in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Also, th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aradigm of 20th century is a new concept technology in construction industry. It is a process of effecting optimum integrating, re-using information, and expense reduction throughout the life-cycle of a building. Also, it establishes a base for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to build a collaboration system. But, many problems are exposed such as mismatched plans, construction delay of building during its life-cycle. Therefore,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has to change and collaboration is emphasized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and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based on BIM using a IDEF0 methodology. And then, it establishes a desirable domestic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application plan focusing on the design phase of domestic cases.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objectives, method and scope of the research are described.
      In chapter 2, we depict the definition of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of the AIA California Council, the concept and trait of BIM and the Integration DEFinition0(IDEF0) methodology of the design process analysis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chapter 3, through the BIM-based cases, we draw the rapidity(accuracy),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in the traits of the BIM.
      In chapter 4, we draw problems from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Also, this paper of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based on AIA California Council's demonstrates the flow of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using a IDEF0 methodology. This IDEF0 methodology compares and analyzes each phases between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and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n chapter 5, we interview and analyze the domestic firm's cases focusing small architectural firms using BIM-based. We choose small architectural companies because small architectural companies have better conditions better than big architects company. Also, this study is limited to three domestic architectural companies which are three architect firms. It compared and analyzed each project and it grasps a domestic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n present condition.
      In chapter 6,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described.
      As a result of analysis, flowing conclusions are included ;
      Firstly, problems occur on the existing building design process that are accomplished with focusing on the outcome. It makes much errors because of 2D-based information. Another problems is that collaboration doesn't go on smoothly. But,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s accomplished with the collaboration and the coordination which pursues change and perfects cooperation.
      Secondly, BIM is a process of effecting optimum integrating, re-using information, and expense reduction throughout the life-cycle of a building. Moreover, it establishes a basis for the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to build a collabor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건설 산업의 규모는 갈수록 대형화, 복합화 되는 추세로 각 단계별, 분야별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이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른 타분야 간의 원활한 협업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건축설계프로세스도 변화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설계프로세스에서는 업무가 결과물 도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프로젝트나 팀장에 따라 업무의 흐름이 달라져 많은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최근 미국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alifornia Council에서는 완벽한 협업과 고도의 통합화를 핵심으로 하는 통합설계프로세스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2000년대에 들어 건축 산업계에 도입되고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패러다임은 건물의 전생명주기(Life-cycle)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재활용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과정이며,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최적의 효과를 추구함에 따라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기반이 되고 있다. 그러나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는 현재 건물의 전생명주기 중 도면상의 불일치, 공기지연 등의 문제점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시공단계에 많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통합 및 관리와 원활한 협업을 중심으로 하는 설계단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건물의 전생명주기를 다루는 통합설계프로세스로의 변화가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의 범위는 건축의 전생명주기 중 건물을 구축하는 단계인 설계단계로 한정하여 그 단계까지 IDEF0(Integration DEFinition)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설계프로세스를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와 비교, 분석하여 기존설계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 BIM기반 설계프로세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과 그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AIA California Council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정의, BIM패러다임의 개념과 특징, 설계프로세스 분석 방법론인 IDEF0모델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 3 장에서는 BIM의 국내외 적용사례를 통해 신속성(정확성), 효율성(설계품질 향상), 비용절감의 효과 및 BIM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 4 장에서는 기존설계프로세스 고찰을 통해 기존설계프로세스를 각 단계마다 IDEF0방법론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AIA California Council의 통합설계프로세스를 IDEF0방법론으로 제시하여 두 설계프로세스를 비교하였다.
      제 5 장에서는 BIM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중소형 설계사무소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BIM기반 프로젝트 현황과 AIA California Council에서 제시하는 통합설계프로세스와 상이한 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설계프로세스는 결과물 도출의 중심으로 업무가 이루어졌으며, 2차원으로 작업하는 작업환경은 수많은 오류를 발생시켰다. 또한, 타 분야간의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통합설계프로세스는 3차원 모델링의 사용으로 통합된 정보를 생산 및 관리하며, 이를 통한 각 단계마다의 설계와 타분야간의 원활한 협업에 따른 업무의 효율화 및 완성도 높은 건물을 구축 할 수 있었다.
      둘째, BIM은 건물의 전생명주기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재활용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과정이며,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최적을 효과를 추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관점에서 BIM은 적극적으로 협업을 지원 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신속성, 효율성,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오늘날 건설 산업의 규모는 갈수록 대형화, 복합화 되는 추세로 각 단계별, 분야별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이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른 타분야 간의 원활한 협업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오늘날 건설 산업의 규모는 갈수록 대형화, 복합화 되는 추세로 각 단계별, 분야별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이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른 타분야 간의 원활한 협업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건축설계프로세스도 변화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설계프로세스에서는 업무가 결과물 도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프로젝트나 팀장에 따라 업무의 흐름이 달라져 많은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최근 미국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alifornia Council에서는 완벽한 협업과 고도의 통합화를 핵심으로 하는 통합설계프로세스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2000년대에 들어 건축 산업계에 도입되고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패러다임은 건물의 전생명주기(Life-cycle)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재활용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과정이며,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최적의 효과를 추구함에 따라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기반이 되고 있다. 그러나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는 현재 건물의 전생명주기 중 도면상의 불일치, 공기지연 등의 문제점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시공단계에 많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통합 및 관리와 원활한 협업을 중심으로 하는 설계단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건물의 전생명주기를 다루는 통합설계프로세스로의 변화가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의 범위는 건축의 전생명주기 중 건물을 구축하는 단계인 설계단계로 한정하여 그 단계까지 IDEF0(Integration DEFinition)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설계프로세스를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와 비교, 분석하여 기존설계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 BIM기반 설계프로세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과 그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AIA California Council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정의, BIM패러다임의 개념과 특징, 설계프로세스 분석 방법론인 IDEF0모델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 3 장에서는 BIM의 국내외 적용사례를 통해 신속성(정확성), 효율성(설계품질 향상), 비용절감의 효과 및 BIM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 4 장에서는 기존설계프로세스 고찰을 통해 기존설계프로세스를 각 단계마다 IDEF0방법론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AIA California Council의 통합설계프로세스를 IDEF0방법론으로 제시하여 두 설계프로세스를 비교하였다.
      제 5 장에서는 BIM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중소형 설계사무소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BIM기반 프로젝트 현황과 AIA California Council에서 제시하는 통합설계프로세스와 상이한 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설계프로세스는 결과물 도출의 중심으로 업무가 이루어졌으며, 2차원으로 작업하는 작업환경은 수많은 오류를 발생시켰다. 또한, 타 분야간의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통합설계프로세스는 3차원 모델링의 사용으로 통합된 정보를 생산 및 관리하며, 이를 통한 각 단계마다의 설계와 타분야간의 원활한 협업에 따른 업무의 효율화 및 완성도 높은 건물을 구축 할 수 있었다.
      둘째, BIM은 건물의 전생명주기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재활용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과정이며,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최적을 효과를 추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관점에서 BIM은 적극적으로 협업을 지원 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신속성, 효율성,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제2장 이론적 고찰 = 6
      • 2.1 통합설계프로세스의 정의 = 6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제2장 이론적 고찰 = 6
      • 2.1 통합설계프로세스의 정의 = 6
      • 2.1.1 설계프로세스의 정의 및 디자인 프로세스 유형 = 6
      • 2.1.2 AIA의 통합설계프로세스 이론 = 6
      • 2.2 BIM패러다임 = 8
      • 2.2.1 BIM의 정의 = 8
      • 2.2.2 BIM의 개념 = 11
      • 2.2.3 BIM의 특징 = 12
      • 2.3 설계프로세스 분석 방법론 IDEF0모델링 = 14
      • 2.3.1 프로세스 모델링의 필요성 = 14
      • 2.3.2 IDEF0모델링 = 14
      • 제3장 BIM의 국내외 적용사례 = 16
      • 3.1 국내 적용 사례 = 16
      • 3.1.1 두산 위브 더 제니스 = 16
      • 3.1.2 한국전력 해남사옥 현상설계 당선안 = 22
      • 3.1.3 인천공항 소방서 신축공사 = 24
      • 3.1.4 SKT 을지로 사옥 신축공사 = 25
      • 3.2 해외 적용 사례 = 26
      • 3.2.1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 Project Benjamin D. Hall = 26
      • 3.2.2 미국 세계무역센터 프리덤 타워(Freedom Tower) = 31
      • 3.2.3 호주 멜버른 유레카 타워(Eureka Tower) = 33
      • 3.2.4 런던 시청 = 35
      • 3.3 소결 = 36
      • 제4장 기존설계프로세스와 통합설계프로세스 = 38
      • 4.1 기존설계프로세스 고찰 = 38
      • 4.1.1 기존설계프로세스 = 38
      • 4.1.2 IDEF0모델링을 통한 기존설계프로세스 분석 = 39
      • 4.1.3 기존설계프로세스의 문제점 = 45
      • 4.2 통합설계프로세스 모델 = 46
      • 4.2.1 AIA California Council의 통합설계프로세스 = 46
      • 4.3 기존설계프로세스와 통합설계프로세스의 비교분석 = 58
      • 제5장 국내설계사무소 BIM기반 적용사례 = 60
      • 5.1 조사대상 특성 = 60
      • 5.2 개요 = 63
      • 5.3 BIM의 3가지 특징에 따른 각 설계사무실의 효과 = 65
      • 5.3.1 A설계사무소 = 65
      • 5.3.2 B설계사무소 = 66
      • 5.3.3 C설계사무소 = 70
      • 5.4 IDEF0 분석 = 73
      •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79
      • 참고문헌 = 81
      • 부록 = 84
      • ABSTRACT =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