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승규 「유봉래산일기」의 유람 여행 글쓰기와 문학교육적 의미 = So Seung-gyu’s 「Yubongnaesan Ilgi」 Pleasure Travel Writing and Literary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0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the writ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o Seung-gyu’s 「Yubongnaesan Ilgi」(Lit., Travelogue Diary on Mountain Bongnaesan), which recorded a trip to Byeonsan in 1897, and summarized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Yub...

      This paper reviewed the writ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o Seung-gyu’s 「Yubongnaesan Ilgi」(Lit., Travelogue Diary on Mountain Bongnaesan), which recorded a trip to Byeonsan in 1897, and summarized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Yubongnaesan Ilgi」 used a formal diary format, focusing on the tour of Byeonsan from preparations for travel to the process of travel and return and writing, but started with and ended up with a dream story about deities, thereby show a completeness of the story. And it described the experiences of each day in chronological order, giving readers the effect of being together in that time. In this process, mak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poetry was composed, and recording actively the poems composed during the excursion, 「Yubongnaesan Ilgi 」 contained 82 poems. The travelogue thus offered a detailed look at the creative situation of classical Sino-Korean poems during tours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premise that it is used in university classes,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of 「Yubongnaesan Ilgi」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ubongnaesan Ilgi」 can be provided as a major resource related to travel literature and diary literature. Second, 「Yubongnaesan Ilgi」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direct experience writing. Third, it can be used to educate the process of writing and enjoying poetry. Fourth, it can be used to discover oral literature and introduce the process of its transmi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1897년의 변산 유람 여행을 기록한 소승규(蘇昇奎, 1844~1908)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 記)」의 글쓰기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유봉래산일...

      본 논문에서는 1897년의 변산 유람 여행을 기록한 소승규(蘇昇奎, 1844~1908)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 記)」의 글쓰기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유봉래산일기」는 정형적인 일기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여행 준비에서부터 여행 과정, 귀환과 글쓰기까지변산 유람 여행에 집중하되, 신선에 관한 꿈 이야기로 시작하고 끝을 맺어 완결성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하루하루의 경험을 시간순으로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독자들이 그 시간 속에 같이 있는 듯한 효과를 주고있었다. 이 과정에서 시를 짓게 되는 상황도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유람 여행 중에 지은 시를 적극적으로 수록하여, 「유봉래산일기」 속에는 82수의 시가 담겨 있었다. 이로 인해 조선후기 유람 여행 중 한시 창작 상황을자세히 볼 수 있었다.
      대학교 수업에서의 활용을 전제로, 「유봉래산일기」의 문학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유봉래산일기」는 기행문학·일기문학 관련 주요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유봉래산일기」는 직접체험 글쓰기에 대한 예시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유봉래산일기」를 바탕으로 한시 작성과 향유 과정을 교육할 수 있다. 넷째, 「유봉래산일기」를 통해 구비문학 작품을 발굴하고, 전승 과정을 소개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령, "해기옹 김령의 임자도 유배생활 <艱貞日錄>, <歷代千字文>" 민속원 2016

      2 김경미, "조선후기 변산반도 유람록의 관광학적 고찰- 소승규 유봉래산일기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26, 2018

      3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4 김미선,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 동아인문학회 (52) : 95-124, 2020

      5 김미선, "전북지역 유람일기의 현황과 활용" 전북학연구센터 1 : 2019

      6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성찰과 소통을 위한 글쓰기" 전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7 국립수목원, "산림역사 자료 연구총서5 충청도, 전라도 ‒ 산림정책과 산림문화 역사성 규명을 위한 국역유산기" 한국학술정보 2016

      8 하윤섭, "고전문학교육의 한 사례와 자성적 제언 – 최치원의 <秋夜雨中>, <題伽倻山讀書堂>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5 : 2014

      9 宋秉璿, "邊山記, 淵齋集(한국문집총간 수록본)"

      10 허경진, "遊蓬萊山日記– 부안 변산 기행문집" 부안문화원 2007

      1 김령, "해기옹 김령의 임자도 유배생활 <艱貞日錄>, <歷代千字文>" 민속원 2016

      2 김경미, "조선후기 변산반도 유람록의 관광학적 고찰- 소승규 유봉래산일기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26, 2018

      3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4 김미선,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 동아인문학회 (52) : 95-124, 2020

      5 김미선, "전북지역 유람일기의 현황과 활용" 전북학연구센터 1 : 2019

      6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성찰과 소통을 위한 글쓰기" 전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7 국립수목원, "산림역사 자료 연구총서5 충청도, 전라도 ‒ 산림정책과 산림문화 역사성 규명을 위한 국역유산기" 한국학술정보 2016

      8 하윤섭, "고전문학교육의 한 사례와 자성적 제언 – 최치원의 <秋夜雨中>, <題伽倻山讀書堂>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5 : 2014

      9 宋秉璿, "邊山記, 淵齋集(한국문집총간 수록본)"

      10 허경진, "遊蓬萊山日記– 부안 변산 기행문집" 부안문화원 2007

      11 소승규, "遊蓬萊山日記– 부안 변산 기행문집" 부안문화원 2007

      12 蘇昇奎, "遊蓬萊山日記, 『蘭谷遺稿』(『遊蓬萊山日記– 부안 변산 기행문집』 내 영인본)"

      13 姜周祜, "玉泉聯芳稿"

      14 김미선, "『간정일록(艱貞日錄)』의 기록 성향과 특징" 한국문학연구소 (54) : 119-14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