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 =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83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LBT) by focusing the notion of logical justification. In section two I shall discuss four theses of the metaphysics of LBT. In section three I shall analyze the notion of logical justification by comparing the schemes of LBT and REBT and shall contend that the notion of causation cannot be a criterion of demarcating the two theories. And I shall suggest the teleological approach as a candidate for philosophical practice. In section four I shall discuss the poverty of metaphysics of LBT in the outer and inner level. I shall contend that the problems of our lives should be explicated at th social level as well as at the personal level and that the rational attitude to life cannot be understood as the logical attitude. Lastly, I shall point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how why LBT is the best theory in explaining ou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t is my conclusion that LBT locates itself at the border line between psychological therapy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so it failed in securing its identity so fa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LBT) by focusing the notion of logical justification. In section two I shall discuss four theses of the metaphysics of LBT. In section three I shall analyze the notion of l...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LBT) by focusing the notion of logical justification. In section two I shall discuss four theses of the metaphysics of LBT. In section three I shall analyze the notion of logical justification by comparing the schemes of LBT and REBT and shall contend that the notion of causation cannot be a criterion of demarcating the two theories. And I shall suggest the teleological approach as a candidate for philosophical practice. In section four I shall discuss the poverty of metaphysics of LBT in the outer and inner level. I shall contend that the problems of our lives should be explicated at th social level as well as at the personal level and that the rational attitude to life cannot be understood as the logical attitude. Lastly, I shall point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how why LBT is the best theory in explaining ou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t is my conclusion that LBT locates itself at the border line between psychological therapy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so it failed in securing its identity so f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코헨(Cohen)이 제시한 논리기반치료(LBT)의 형이상학을 논리적 정당화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절에서는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을 구성하는 논제들을 소개하고 이어서 그 논제들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3절에서는 논리적 정당화를 검토한다. 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REBT)와 LBT의 설명 구조를 비교하고 이어서 인과 개념이 두 가지 이론을 구획하는 기준이 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고 아울러 폰 리히트(von Wright)가 제시한 목적론적 설명의 구조가 제시된다. 4절에서는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의 한계가 이론 외적 · 내적 차원에서 논의된다. 삶의 문제는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해명되어야 하는 데 LBT는 그 점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점, 삶에 대한 합리적 태도가 논리적 태도와 동일하지 않다는 점, LBT가 더 나은 이론인지를 보여주는 설명이 요청된다는 점이 지적된다. 심리치료와 철학상담의 중간자로서의 논리기반치료는 철학상담의 정체성을 확보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코헨(Cohen)이 제시한 논리기반치료(LBT)의 형이상학을 논리적 정당화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절에서는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을 구성하는 논제들을 소개하고 이어...

      이 글은 코헨(Cohen)이 제시한 논리기반치료(LBT)의 형이상학을 논리적 정당화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절에서는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을 구성하는 논제들을 소개하고 이어서 그 논제들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3절에서는 논리적 정당화를 검토한다. 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REBT)와 LBT의 설명 구조를 비교하고 이어서 인과 개념이 두 가지 이론을 구획하는 기준이 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고 아울러 폰 리히트(von Wright)가 제시한 목적론적 설명의 구조가 제시된다. 4절에서는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의 한계가 이론 외적 · 내적 차원에서 논의된다. 삶의 문제는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해명되어야 하는 데 LBT는 그 점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점, 삶에 대한 합리적 태도가 논리적 태도와 동일하지 않다는 점, LBT가 더 나은 이론인지를 보여주는 설명이 요청된다는 점이 지적된다. 심리치료와 철학상담의 중간자로서의 논리기반치료는 철학상담의 정체성을 확보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ohen, E., "What would Aristotle do" Prometheus 2003

      2 Frankl, V,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s and appli- cations of logotherapy" World Publishing Co 1969

      3 Cohen, E, "The new rational therapy" Rowman & Littlefield 2007

      4 Cohen, E,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3 (3): 1-19, 2005

      5 Epictetus, "The art of living" Harper One 1994

      6 Ellis, A,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2nd ed" Impact 2005

      7 Wright, G. H,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Cornell University Press 1971

      8 Zinaich, S, "Elliot D. Cohen on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3 (3): 20-31, 2005

      1 Cohen, E., "What would Aristotle do" Prometheus 2003

      2 Frankl, V,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s and appli- cations of logotherapy" World Publishing Co 1969

      3 Cohen, E, "The new rational therapy" Rowman & Littlefield 2007

      4 Cohen, E,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3 (3): 1-19, 2005

      5 Epictetus, "The art of living" Harper One 1994

      6 Ellis, A,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2nd ed" Impact 2005

      7 Wright, G. H,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Cornell University Press 1971

      8 Zinaich, S, "Elliot D. Cohen on the metaphysics of Logic-based therapy" 3 (3): 20-3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