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곽성기, "아동발달", 인문사 artcom,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
2 문용린,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 북스, 2004
3 심지현, 허선아, 채연숙, 조희주, 조동우, 이금생, 김효정, 김유석, "With 문학치료",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2015
4 변학수, "『문학치료』", 서울: 학지사, 2007
5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2005
6 우한용,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서울: 동아시아출판사, 2001
7 최경숙, "아동발달 심리학", 서울: 교문사, 2007
8 변학수, "통합적 문학치료",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6
9 김용식, 이정균, "정신의학 (제 4 판)", 서울: 일조각, 2000
10 곽소현, 박수선, "중년의 심리학노트", 좋은책만들기, 서울: 좋은책만들기, 2014
11 오세진, "인간 행동과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2
12 박세원, "존재의 성장과 교육",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2009
13 함영준, "마흔이 내게 준 선물", 위즈덤하우스, 경기도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1
14 김애순,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15 한용환, "서사 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 서울: 문예출판사, 2002
16 채연숙, "글쓰기치료-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출판부,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17 정운채, "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문학과치료, 서울: 문학과 치료, 2006
18 김계숙, 김영희, 김신정, "어머니의 아동 양육태도", 한국아동간호학회, 한국아동간호학회, 9(4), 392-398, 2003
19 김병오, "칼 융과 중년의 자기실현", 백석기독학회, 백석저널, 3, 189-207, 2003
20 구형모, 황순택, 김지혜,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 20(3), 569-581, 2001
21 채연숙, "형상화된 언어, 치유적 삶",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2015
22 이죽내, "『융 심리학과 동양사상』", 서울: 하나의학사, 2005
23 김춘경, "아들러아동상담 이론과 실제",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6
24 성은혜, "내러티브 기반 문학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5 김미숙, "나는 오늘도 가면을 쓰고 산다", 서울: 대림북스, 2016
26 박민서, 오우성, "『이야기 상담의 과정과 기법』",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27 김명소, 김지경, "한국남녀의 관계적 자아의 특성",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문제, 9(2), 41-59, 2003
28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29 이해리(Lee Harriot), 조한익(Jo Han-Ik),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42(12), pp. 161-206, 2005
30 문정애, "「자기배려를 위한 교육론 탐색」",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8(2), 58-77, 2007
31 성정희, "문학치료 임상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 10, 169-202, 2009
32 조긍호, "문화유형과 타인이해 양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5(1), 104-139, 1996
33 배철현, "심연: 나를 깨우는 짧고 깊은 생각", 21세기북스, 경기도 파주: 21세기 북스, 2016
34 김신정, 김영희,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한국아동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지, 9(3), 309-322, 2003
35 김대현, "내러티브 탐구의 이론적 기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4(2), 111-134, 2006
36 채연숙, "한국과 독일의 정신건강 정책 비교", 대한의사협회 연구보고서, 2011
37 윤현희, 홍창희, 이진환, "부모보고형 자아탄력성 척도의 개발",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심리학회, 10(1), 2001, 33-53, 2001
38 최성애, "나와 우리 아이를 살리는 회복탄력성", 해냄, 서울: 해냄, 2014
39 안체윤, 오미경, "성인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개발 연구", 인간발달연구, 20(1), 51-78, 2013
40 이혁구, "중년의 위기와 반응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1999(1), 253-265, 1999
41 이민희, "융의 개성화과정으로 바라본 인간이해", 협성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42 이흔정,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4
43 Gardner, H., "마음의 틀. (이경희 옮김). 서울: 문음사",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1983)〕, 1993
44 민경산, "가족치료와 회복탄려성의 상관관계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5
45 이무영,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자아와 신 문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2
46 심지현, "문학치료를 통한 빈곤아동의 공격성 해소",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7 김명진, "EBS<동과 서> 제작팀 EBS 다큐멘터리 동과 서", 서울: 지식채널, 2012
48 권석만,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욕망과 행복의 관계",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사상, 36, 121-152, 2010
49 정영혜, "자기성찰, 자기효능감, 학업성적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2
50 한규석 ( Gyu Seog Han ), "집단주의-개인주의 이론의 현황과 그 전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 반, 10(1), 1-19, 1991
51 임경수, "인생의 봄과 가을: 중녀의 심리이해와 분석", 서울: 학지사, 2005
52 김춘경, 변학수, 채연숙, "기억회상의 치료적 효과를 활용한 문학치료",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 서ㆍ행동장애연구, 23(3), 447-476, 2007
53 신민혜, "요가지도자의 지도 및 수행에서의 자기성찰",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4 정우연, "다중지능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5 홍은숙,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 교육학 연구, 41(2), 45-67, 2006
56 조수철, "대인관계에 있어서 성찰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ㆍ청소년정 신의학, 11(2), 179-185, 2000
57 김춘경, "중년기 우울여성의 우울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1(4), 1783-1806, 2010
58 이정표, "방법론으로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고찰", 초등교육학회, 초등교 육학연구, 19(2), 127-147, 2012
59 이재용,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0 김주환,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경기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1
61 Cobley, P., "내러티브. (윤혜준 옮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Narrative (2001)〕, 2013
62 장성단, "자기이해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3 김민규, 신우열(Shin Woo-Yeol),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 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연구, 20(4), 105-131, 2009
64 이재용, "다산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적용한 자기성찰적 상담",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5 김준식, "심리극이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6 전은경, "여자 대학생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제뇌교 육종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7 조희주, "헤세 작품의 통합문학치료 콘텐츠 개발 및 실행연구", 경북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8 김주현,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 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69 김종숙, 최선남, "부부의 갈등해소를 위한 단기 대상관계 부부미술치료",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 23(1), 167-194, 2016
70 김현정, 김아영, 조숙자, 조혜자, 윤진영, 방희정, "한국 성인의 관계적 자 기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3), 23-63, 2007
71 원수라, "중학생의 자기성찰 태도 향상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제뇌 교육종합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2 이경희, "중년여성의 자아분화와 자아정체성과의 발달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서울여 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3 김춘경, 변외진,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55-276, 2007
74 김자영, "성인여성 평생교육에서 ‘자기 삶 성찰 교육’ 사례분석",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5 박아청, "성인발달 연구를 통해 본 평생발달 심리학의 경향과 전망",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 발달연구, 2(1), 95-106, 1995
76 조래채, "초등학생의 자기성찰 프로그램이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건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7 기경희 ( Ki Kyung Hee ), 김광수 ( Kim Kwang Soo ),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한부모 가정 아동의 회복탄력성 분석",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한국초등교육, 27(3), 15-36, 2016
78 노영주, 한경혜, "중년 여성의 40대 전환기 변화경험과 대응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2(1), 67-91, 2000
79 이경은, "중년기 스트레스와 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 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0 한기연, "개별성-관계성과 자기위로능력관계에서 자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한 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75-89, 2003
81 Polkinghorne, D. E.,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강현석 옮김). 서 울: 학지사",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1988)〕, 2009
82 이연수,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증진 프로그램(SRPP)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36, 171-202, 2011
83 안영미, "내러티브탐구를 통한 두 남성 노인의 삶과 죽음에 관한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4 박세원, "“교사의 교육 활동에서 내러티브 탐구 과정이 가지는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교 육인류학연구, 10(1), 37-62, 2007
85 황주연, "중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 향상 방안에 관한 연 구",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6 박세원, "초등학생의 존재론적 탐구를 돕는 성찰적 교육과정 구성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25, 117-146, 2007
87 백지연,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 사진작업을 활용한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8 김보경,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관과 사회불안: 공적 자의식의 매개효 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9 김수연, "자기성찰을 위한 소설 교육 연구: 고등학교『문학』을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0 정춘화, "그림책을 활용한 어머니 자기성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 구",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1 김용섭,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적응성에 관한 실증적 인과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3), 135-145, 2014
92 이미숙, "중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93 김명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역량증진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4 안순옥, "중년 여성 우울증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이야기치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5 김유리, "분리-개별화와 자기위로능력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 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상담심리학석사학위논문, 2016
96 김정민, 이정숙, 유안진,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2005
97 길은영, 장인희, "융의 개성화 관점에서 본 우울성향의 중년 여성의 미술 치료 중재과정", 인지발달중재학회,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1), 73-89, 2016
98 황주연, "자기성찰 척도개발 및 자기관과 자기성찰, 안녕감 간의 경로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99 원상화, "독일예술심리치료의 발전 동향과 한국예술심리치료 발전을 위한 제 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구, 5(1), 1-21, 2009
100 박철한, "“중년기 우울증의 문제와 그 극복의 방안: 칼 융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49, 533-554, 2016
101 권현용, 이선희, "「자비명상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존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6(1), 121-138, 2013
102 이정주, "청소년의 사이버공간에서 자아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 브 탐구",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03 정성훈,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 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4 양경미,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가정간호학회지, 22(2), 300-309, 2015
105 이영경, "플라톤의 자기애 성찰: 아리스토텔레스의 자기애 개념을 실마리 로 해서", 지성과 창조, (10), 123-158, 2007
106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2003
107 Dewey, J.,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정희옥 옮김). 서울: 학이시습", 〔How we think (1998)〕, 2011
108 소경희, 김정희,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의의와 예술기반 연구로서 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32(2), 21-40, 2014
109 이희락, "낙관성, 회복탄력성, 삶의 의미가 성인의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 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10 강현석,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에서 지식의 재해석: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 브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 38, 1-34, 2009
111 김명자, 박성연,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12 박원주, 이기학,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1(2), 795-808, 2010
113 Vaillant, G. E., "행복의 조건: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 (이시형 옮김). 서울: 프런티어", 〔 Aging Well: Surprising Guideposts to a Happier Life from the Landmark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 (2003)〕, 2010
114 Pleux, D., "아이의 회복탄력성: 마음이 강하고 적극적인 아이로 키우는 힘. (박주영 옮김)", 서울: 글담출판사, 2012
115 김병극,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 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5(3), 1-28, 2012
116 김춘경, "부모의 과잉보호가 아동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인심리학적 분석",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4(1), 35-49, 2000
117 최중진, 오은숙, "해결중심자기성찰 집단상담이청소년의 자기성찰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해결중심치료학회, 해결중심치료학회지, 1(1), 53-78, 2014
118 이정숙, "Hilarion G. Petzold의 통합치료(IT)에서 Tree of Science 모델에 기초한 통합 방법의 특징",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1(4), 1567-1579, 2010
119 신혜숙, 전은경, "뇌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여자 대학생의 자기성찰 경 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뇌교육연구, 3(11), 1-20, 2013
120 장영림, "중년기 여성의 영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생산성과 자아정체 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21 전찬례, "“중년전환기 여성의 인생구조 변화와 신경증에 관한 기독교 상 담 학적 고찰.”",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2 Cott, J., Sontag, S., "수전 손택의 말-파리와 뉴욕, 마흔 중반의 인터 뷰. (김선형 옮김). 서울: 마음산책", 〔Susan Sontag: The Complete Rolling Stone Interview (2013년)〕, 2015
123 송정아, "이마고 부부치료 이론의 타당서 연구: 배우자 선택과 이마고 형 성 이론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6(1), 261-274, 2005
124 채연숙, "통합문학치료의 한국적 수용 및 적용: 정신 병리적 사례를 통한 한국과 독일의 문화", 뷔히너와 현대문학, 36, 255-279, 2008
125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2015
126 박은미, "기독교 중년여성의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 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7 김미옥, "중년기 여성의 대인애착, 내현적 자기애 및 배우자지지 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8 윤경숙, "행복한 가족관계 위한 자녀이해 연구 - 알프레드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22, 1-20, 2015
129 Wilson, T. D., "내 안의 낯선 나: 나도 모르는 나를 찾아 떠나는 심리여 행. (정명진 옮김). 서울: 부글북스", 〔Strangers to Ourselves: Disco vering the Adaptive Unconscious(2004)〕, 2012
130 조윤경, "한국인의 나 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91-109, 2003
131 엄정희, "원가족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 자아개념 및 부부 응집성, 부부 의사소통과의 경로모형 분석",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32 김남희, "중년기 여성의 직업을 통한 자기실현의 욕구와 자아정체성 확 립을 위한 기독교 상담학적 이해", 개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6
133 최정원, "신중년층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연령에 따른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34 김민아, "문학 과목의 자아 성찰 교육 내용 연구: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제재와 학습 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35 정성옥, "문학치료적 글쓰기와 관계적 자아정체성의 내러티브 연구: 폴 리쾨르의 서술정체성 이론을 기반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36 Dworkin, R. W., "행복의 역습: 행복강박증 사회가 어떻게 개인을 병들 게 하는가. (박한선ㆍ이수인 옮김). 서울: 아로파", 〔Artificial Happiness: The dark side of the New Happy Class (2006)〕, 2014
137 박원주, "자아타력성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 서조절과 긍정 및 부정정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38 Borysenko, J.,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비밀-불안과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마음의 힘. (안진희 옮김). 서울: 이마고", 〔IT'S NOT THE END OF THE WORLD (2010)〕, 2011
139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현석, 박세 원, 조덕주, 조인숙 옮김).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2013)〕, 2015
140 Reivich, K., Shatte, A., "절대회복력: 피할 수 없는 역경을 이겨내는 7가지 회복력 기술. (윤상운, 우문식 옮김). 경기도 안양: 물푸레",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2003년)〕, 2012
141 김민주,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표 불 안정성 및 생애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142 이나영, 조영복, "인지적유연성, 목표지향성, 자기개념명확성이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대한경영정보학회, 경영과 정보연구, 32(3), 221-245, 2013
143 오제은, "중년, 위기인가? 전환점인가? 중년기 위기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인간발달에 대한 세 가지 주요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과 인식, 37(3), 141-166, 2013
144 Gardner, H., "다중지능 인간 지능의 새로운 이해. (문용린 옮김). 서울: 김영사.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2000)〕, 2001
145 서은주, "애착증진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어머니의 성인애착, 자아존중감, 모-자녀 상호작용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8
146 Clandinin, D. J., Connelly, F. M.,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소경희, 강혁석, 조덕주, 박민정 옮김). 경기도 파 주: 교육과학사",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2004)〕, 2007
147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정서적 안녕감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 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48 Graham, L., "내가 나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휘어지되 꺾이지 않는 내 안의 힘, 회복탄력성의 모든 것. (윤서인 옮김). 서울:불광출판사", 〔Bouncing Back: Rewiring Your Brain for Maximum Resilience and Well-Being (2013)〕, 2014
149 Levinson, D. J., "여가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 옮김).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The Seasons of a Woman's Life: A Fascinating Exploration of the Events", Thoughts, and Life Experiences That All Women Share (199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