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歌)․요(謠)․곡(曲)의 해부학 4 -‘한국가요(韓國歌謠)’의 발명과 곡종(曲種)의 점멸(點滅) 1960-1979- = An Anatomy of Song(歌), Ballad(謠) and Tune(曲) 4 -The Invention of “Korean songs” and the Demise of its “Species (genres)” 1960-197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0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질적으로 대중가요를 지칭하는 ‘한국가요’라는 용어는 1960년대 후반 이후에야 등장해 정착했다. 이는 1960-70년대 ‘가요인’들이 정치권력에 대한 교섭을, 음악산업 내부의 조정을 수행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이와 관련된 중요한 성과물이 1980년 9월에 출판된 『한국가요전집』인데, 이 책은 1926개 ‘가요곡’의 악보를 포괄적으로 수록하고 있으며, 박노홍이 저술한 「한국가요사」와 다양한 사진 자료도 함께 담고 있다. 전집에 수록된 악보는 가요곡의 리듬 패턴을 유형별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 가요인들이 ‘장르 분류’ 인식을 어떻게 했는지 보여 준다. 현재 관점에서 보면 결점과 오류가 보이지만, 이 책은 한국 대중음악의 ‘토착적’ 장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논문은 전반부에서는 정량적, 후반부에서는 정성적 분석으로 세간에 존재하는 두 가지 견해를 모두 비판한다. 하나는 한국 대중음악을 장르 없는 일반적 가요로 보는 시각이고, 다른 하나는 구미(歐美) 대중음악의 장르 분류에 강박적으로 부합하려는 시각이다. 그에 대해 이 논문은 ‘곡종(曲種)’, ‘조(調)’, ‘계열(系列)’ 등 토착적으로 생산되어 일상적으로 사용된 용어들이 장르와 스타일 등 구미의 공식적(이라고 암묵적으로 인정된) 용어에 대한 독특한 대체어였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에 속하는 여러 범주들에 대해 현대적 용어로 (재)명명하기보다는 그 자체로 정명(定名)하고 정명(正名)을 부여해 역사적 장르와 양식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한국가요’의 발명과 구축에 대해서는, 한편으로 외래․불온․퇴폐라는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종․조․계열을 동질화․평탄화한, 양날의 칼 같은 이중적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한다.
      번역하기

      실질적으로 대중가요를 지칭하는 ‘한국가요’라는 용어는 1960년대 후반 이후에야 등장해 정착했다. 이는 1960-70년대 ‘가요인’들이 정치권력에 대한 교섭을, 음악산업 내부의 조정을 수행...

      실질적으로 대중가요를 지칭하는 ‘한국가요’라는 용어는 1960년대 후반 이후에야 등장해 정착했다. 이는 1960-70년대 ‘가요인’들이 정치권력에 대한 교섭을, 음악산업 내부의 조정을 수행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이와 관련된 중요한 성과물이 1980년 9월에 출판된 『한국가요전집』인데, 이 책은 1926개 ‘가요곡’의 악보를 포괄적으로 수록하고 있으며, 박노홍이 저술한 「한국가요사」와 다양한 사진 자료도 함께 담고 있다. 전집에 수록된 악보는 가요곡의 리듬 패턴을 유형별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 가요인들이 ‘장르 분류’ 인식을 어떻게 했는지 보여 준다. 현재 관점에서 보면 결점과 오류가 보이지만, 이 책은 한국 대중음악의 ‘토착적’ 장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논문은 전반부에서는 정량적, 후반부에서는 정성적 분석으로 세간에 존재하는 두 가지 견해를 모두 비판한다. 하나는 한국 대중음악을 장르 없는 일반적 가요로 보는 시각이고, 다른 하나는 구미(歐美) 대중음악의 장르 분류에 강박적으로 부합하려는 시각이다. 그에 대해 이 논문은 ‘곡종(曲種)’, ‘조(調)’, ‘계열(系列)’ 등 토착적으로 생산되어 일상적으로 사용된 용어들이 장르와 스타일 등 구미의 공식적(이라고 암묵적으로 인정된) 용어에 대한 독특한 대체어였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에 속하는 여러 범주들에 대해 현대적 용어로 (재)명명하기보다는 그 자체로 정명(定名)하고 정명(正名)을 부여해 역사적 장르와 양식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한국가요’의 발명과 구축에 대해서는, 한편으로 외래․불온․퇴폐라는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종․조․계열을 동질화․평탄화한, 양날의 칼 같은 이중적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rm “Korean songs” (Han’guk kayo), which specifically refers to Korean popular songs, emerged as a cultural invention only after the late 1960s, a timeline that many might find unexpectedly delayed. This development was shaped by a complex interplay of negotiations with political authorities and internal coordination within the music industry during the 1960s and 1970s. A seminal work in this context is the Collection of Korean Songs (Han’guk kayo Chŏnjip), published in 1980. This volume is notable for its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basic scores for 1,920 songs and ballads, supplemented by a historical narrative of Korean popular music “Han'guk kayosa” authored by Pak No-hong, along with photographic documentation. The score sheets included in the collection also illustrate the typical rhythmic patterns associated with each popular tune. Despite several shortcomings and errors from a contemporary standpoint, this book remains a crucial text for understanding the vernacular genres of Korean popular music. Utili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article challenges prevailing views that either oversimplify Korean popular music as generic and genreless or conform to international or Anglo-American genre classifications. Instead, this paper argues that vernacular terms such as kokchong, cho, and kyeyŏl should be recognized as distinctive alternatives to the Western terms like genre and style, rather than being dismissed as mere clumsy hybrid constructs. Thus, it suggests that these categories should be understood and studied in their own right, rather than being reinterpreted with contemporary terminologies. About the evaluation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songs," it argues that it represents a dual-edged phenomenon: on one hand, it defended popular music against accusations of being “vulgar” or “foreign” or “decadent,” while on the other hand, it homogenized and flattened diverse and heterogeneous kokchong, cho, and kyeyŏl.
      번역하기

      The term “Korean songs” (Han’guk kayo), which specifically refers to Korean popular songs, emerged as a cultural invention only after the late 1960s, a timeline that many might find unexpectedly delayed. This development was shaped by a complex ...

      The term “Korean songs” (Han’guk kayo), which specifically refers to Korean popular songs, emerged as a cultural invention only after the late 1960s, a timeline that many might find unexpectedly delayed. This development was shaped by a complex interplay of negotiations with political authorities and internal coordination within the music industry during the 1960s and 1970s. A seminal work in this context is the Collection of Korean Songs (Han’guk kayo Chŏnjip), published in 1980. This volume is notable for its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basic scores for 1,920 songs and ballads, supplemented by a historical narrative of Korean popular music “Han'guk kayosa” authored by Pak No-hong, along with photographic documentation. The score sheets included in the collection also illustrate the typical rhythmic patterns associated with each popular tune. Despite several shortcomings and errors from a contemporary standpoint, this book remains a crucial text for understanding the vernacular genres of Korean popular music. Utili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article challenges prevailing views that either oversimplify Korean popular music as generic and genreless or conform to international or Anglo-American genre classifications. Instead, this paper argues that vernacular terms such as kokchong, cho, and kyeyŏl should be recognized as distinctive alternatives to the Western terms like genre and style, rather than being dismissed as mere clumsy hybrid constructs. Thus, it suggests that these categories should be understood and studied in their own right, rather than being reinterpreted with contemporary terminologies. About the evaluation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songs," it argues that it represents a dual-edged phenomenon: on one hand, it defended popular music against accusations of being “vulgar” or “foreign” or “decadent,” while on the other hand, it homogenized and flattened diverse and heterogeneous kokchong, cho, and kyeyŏ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