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8년 초등 스포츠강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왜 지금까지 초등체육 현장에서 뜨거운 이슈로 남아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스포츠강사제도의 문제점과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11696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7-100(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8년 초등 스포츠강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왜 지금까지 초등체육 현장에서 뜨거운 이슈로 남아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스포츠강사제도의 문제점과 개...
본 연구는 2008년 초등 스포츠강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왜 지금까지 초등체육 현장에서 뜨거운 이슈로 남아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스포츠강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정, 초등 스포츠강사와 관계자들의 상반된 시각, 초등 스포츠강사제도 개선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등을 탐색하여 초등체육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스포츠강사제도’ 와 관련된 선행연구 중 최종 15편을 체계적 문헌분석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실태: 처우 개선 현황’은 ‘낮은 급여체계의 개선’과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으로 나타났다. 둘째, ‘쟁점: 초등 스포츠강사와 초등(예비) 교사 간 갈등’은 ‘초등 체육수업권 문제’, ‘초등체육 전문성 문제’, ‘무기계약직 전환 문제’로 나타났다. 셋째, ‘대안: 초등체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는 ‘초등체육 문제의 명확한 진단’, ‘양질의 체육수업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 ‘초등체육전담교사 확보 및 스포츠강사 역할 재정립’으로 나타났다. 제언은 첫째,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상호 보완, 둘째, 문서적 수준과 실천적 수준의 병행, 셋째, 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 등을 제시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난영 ; 이호철,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민속 표현활동 교수경험에 관한 해석적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103-122, 2013
2 김지현 ; 장승현 ; 이근모, "학교체육진흥법 개정의 정책적 함의: 초등스포츠강사의 제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17 (17): 175-192, 2019
3 서재복 ; 김성일,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와 스포츠강사의 지각된 감정노동이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고용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한국스포츠학회 15 (15): 259-267, 2017
4 임헤림 ; 이옥선,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115-143, 2016
5 성기훈,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현황과 과제" 6 (6): 33-40, 1999
6 김명수,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운영 현황 및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901-916, 2015
7 김승우 ; 조한무 ; 임승엽,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문제점과 정책 개선안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83-94, 2018
8 박준환 ; 김영주,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학회 14 (14): 289-298, 2016
9 이종형,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117-129, 2012
10 이승배 ; 서장원 ; 전세명,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33-49, 2011
1 송난영 ; 이호철,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민속 표현활동 교수경험에 관한 해석적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103-122, 2013
2 김지현 ; 장승현 ; 이근모, "학교체육진흥법 개정의 정책적 함의: 초등스포츠강사의 제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17 (17): 175-192, 2019
3 서재복 ; 김성일,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와 스포츠강사의 지각된 감정노동이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고용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한국스포츠학회 15 (15): 259-267, 2017
4 임헤림 ; 이옥선,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115-143, 2016
5 성기훈,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현황과 과제" 6 (6): 33-40, 1999
6 김명수,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운영 현황 및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901-916, 2015
7 김승우 ; 조한무 ; 임승엽,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문제점과 정책 개선안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83-94, 2018
8 박준환 ; 김영주,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학회 14 (14): 289-298, 2016
9 이종형,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117-129, 2012
10 이승배 ; 서장원 ; 전세명,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33-49, 2011
11 최동일 ; 이근모,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좌절감 형성과정"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49-162, 2015
12 이경환 ; 전영한,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55-68, 2011
13 강선영,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역할과 인식에 관한 연구" 14 (14): 69-81, 2013
14 홍지현,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역할갈등" 24 : 107-123, 2012
15 이양주,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업의식,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78) : 47-58, 2019
16 김정완 ; 문한식,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체육수업 재미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09-120, 2012
17 진지형 ; 이대형,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교육대학원 수학 경험을 통한 전문성 발달 과정 탐색"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4 (24): 169-189, 2020
18 오원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갈등요인과 바람직한 역할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김현자 ; 손천택, "초등학교 스포츠강사가 학교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151-164, 2010
20 문상기,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 운영이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4
21 박재정 ; 박문수,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사업검토와 운영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61-81, 2010
22 한만규,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41-53, 2014
23 김미숙 ; 정구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배치사업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본 정책적 함의"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57-165, 2012
24 한만규,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13-121, 2013
25 박창범 ; 박대권,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235-247, 2010
26 신예지 ; 이경은 ; 원영신, "초등학교 담임교사, 체육전담교사, 스포츠강사의 지향 및 실제 가치정향" 한국체육과학회 28 (28): 945-964, 2019
27 채창목 ; 김태형 ; 박문환 ; 김영식, "초등학교 교사의 스포츠 강사 운영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35-366, 2011
28 이승배, "초등체육 교직문화와 구조적 현실에 대한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41-62, 2006
29 김지현, "초등스포츠강사제도 실태 및 학교체육진흥법 개정 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30 김지현 ; 이근모, "초등스포츠강사 안정적 지위 확보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정책학회 15 (15): 135-151, 2017
31 김지현 ; 이근모, "초등스포츠강사 보수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모색" 한국체육정책학회 15 (15): 191-209, 2017
32 고문수,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서 드러난 체육교육의 간극과 해소 전략"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7-33, 2012
33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초등 스포츠강사 의무배치 법안 즉각 철회하라!"
34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등 스포츠강사 의무매치 법안 즉각 철회하라!"
35 홍석호 ; 고문수, "초등 스포츠 강사제 운영의 교육적 가치와 지원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61-75, 2012
36 정상원 ; 이호철, "초등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체육수업 지도 경험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157-178, 2019
37 안양옥, "초둥체육 교과교육론" 무지개사 2010
38 한상모, "체육수업을 하는 초등교사들의 어려움과 교육적 요구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59-80, 2020
39 정현수 ; 윤기준, "체육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교사 전문성 개발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17, 2020
40 이옥선 ; 최의창 ; 정현수 ; 윤기준,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1-23, 2017
41 교육부 정규직 전환심의의원회, "정규직 전환심의위원회 최종회의록"
42 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 "임오경 의원이 대표 발의한 ‘학교체육진흥법 일부 개정 법률안’에 대한 성명서"
43 대한민국 국회, "의안번호 2114251. 학교체육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 임오경 의원 등 10인"
44 고재천,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수업실습활동의 저해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1-491, 2018
45 박주한, "스포츠강사제도의 정책윤리적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20 (20): 55-69, 2012
46 송지환 ; 서연희, "스포츠강사의 체육수업 참여 지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59-68, 2011
47 문제민 ; 조홍식, "스포츠강사의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교수관심사 및 전략적 행위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67-79, 2012
48 전세명 ; 정현우, "스포츠강사 제도 분석을 통한 초등체육 정책 발전 방향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1 (21): 197-209, 2015
49 양정모,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 변화와 교수전문성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50 한상모 ; 유생열 ; 김재운,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에 따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쟁점과 대안"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49-165, 2017
51 정지수, "강원도 내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2 Davies, P., "The relevance of systematic reviews to educational policy and practice" 26 (26): 365-378, 2000
53 Locke, L. F., "Research o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 New hope for a dismal science" 28 (28): 2-16, 1977
54 김수영,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2011
55 우푸름, "IPA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관리자가 인식하는 스포츠강사 제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6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014
57 교육부, "2022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기본계획" 2022
초등학생의 스포츠 공격성에 대한 인식 분석 :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4-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 |
2011-04-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 |
2011-03-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7 | 1.67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 | 1.37 | 1.644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