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행일기, 일기의 등장 - 15세기 후반 일기체 기록의 등장에 대해서 - = The appearance of a diaries in the late 15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6세기 전반 인물 魚叔權이 증언하듯, 일기체 기록은 15세기 후반부터 등장했다. 1472년 김종직이 자신의 지리산 여행을 기록한 「유두류록」은 현재까지 우리나라 일기 기록의 시초로 보인다...

      16세기 전반 인물 魚叔權이 증언하듯, 일기체 기록은 15세기 후반부터 등장했다. 1472년 김종직이 자신의 지리산 여행을 기록한 「유두류록」은 현재까지 우리나라 일기 기록의 시초로 보인다.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새로운 기록 형식의 등장이나 변화는 내밀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이 조선시대 일기체기록의 등장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이것은 자신을 중심으로 한 세계가 기록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15세기 후반에 생산된 8편의 일기체 기록을 검토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아마도 15세기 후반에 일기체 기록이 시작되었지만, 형식이 완전히 정착되었던 것 같지는 않다. 15세기 후반에 가장 발전된 형식의 일기를 기록한 사람이 남효온이다. 그는 3편의 여행기록을 남기는데, 그중에서도 「智異山日課」는 전형적인 일기의 형식과 내용을 가진다. 더구나 「遊金剛山記」에서는 당일의 기록을 당일에 기록하는, 일기의 주요한 특성인 ‘卽時性’의 모습도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기록에 ‘日記’ 혹은 ‘日錄’이라는 단어 대신에 ‘日課’라는 단어를 쓰고 있다. 이것은 당시에 ‘일기’나 ‘일록’이 사회적으로 정착된 말은 아니었다는 것을 암시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Eo Sook-kwon[魚叔權], who lived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estified, the appearance of diaries began in the late 15th century. In particular, "Yuduryurok(遊頭流錄)," which recorded Kim Jong-jik[金宗直]'s trip to Jirisan Mount...

      As Eo Sook-kwon[魚叔權], who lived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estified, the appearance of diaries began in the late 15th century. In particular, "Yuduryurok(遊頭流錄)," which recorded Kim Jong-jik[金宗直]'s trip to Jirisan Mountain in 1472,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Korea's diary records.
      The emergence or change of a new record format that is spreading socially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 What is believed to be sharing the background is that at this time, there was a tendency among writers to record what they saw and heard around them. The advent of these records suggests that some important changes are under way in the minds of writers during this period. This can mean that even if it is not serious like Confucian sutras or history books, the world centered on oneself is also worth recording.
      This paper reviewed eight diaries appearing in the late 15th century. As a result, perhaps until the end of the 15th century, the "diary" as a record format seems not to be fully established. Nam Hyo-on[南孝溫] recorded the most advanced type of diary in the late 15th century. He leaves three travel records, among which "Jirisan Ilgwa(智異山日課)」" has a typical style and content of diaries. Furthermore, "Yugeumgangsangi(遊金剛山記)" showed the record of the day being recorded on that day.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he is using the word 'Ilgwa' instead of the word 'ilgi(日記)' or 'illok(日錄)' for his record. This would at least imply that "diary" or "ilok" were not firmly established in the late 15th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형택, "한국사 1" 국사편찬위원회 1981

      2 정출헌, "추강 남효온과 遊山 : 한 젊은 이상주의자의 상처와 지리산의 慰撫" 한국한문학회 (47) : 339-375, 2011

      3 "지리산 日課"

      4 "연산군일기"

      5 "성종실록"

      6 박현순, "문집을 통해 본조선시대의 일기와 일기쓰기" 조선시대사학회 (79) : 73-119, 2016

      7 정출헌,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한국한문학회 (58) : 211-244, 2015

      8 강정화, "경남학: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지리산유람(智異山遊覽)과 「속두류록(續頭流錄)」" 31 : 2010

      9 "頭流紀行錄"

      10 황결청(王潔淸), "韓ㆍ中 日記體 遊山記 문학의 한 비교 − 金宗直의 <遊頭流錄>과 宋濂의 <游鐘山記>의 경우 −" 온지학회 (57) : 89-117, 2018

      1 임형택, "한국사 1" 국사편찬위원회 1981

      2 정출헌, "추강 남효온과 遊山 : 한 젊은 이상주의자의 상처와 지리산의 慰撫" 한국한문학회 (47) : 339-375, 2011

      3 "지리산 日課"

      4 "연산군일기"

      5 "성종실록"

      6 박현순, "문집을 통해 본조선시대의 일기와 일기쓰기" 조선시대사학회 (79) : 73-119, 2016

      7 정출헌,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한국한문학회 (58) : 211-244, 2015

      8 강정화, "경남학: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지리산유람(智異山遊覽)과 「속두류록(續頭流錄)」" 31 : 2010

      9 "頭流紀行錄"

      10 황결청(王潔淸), "韓ㆍ中 日記體 遊山記 문학의 한 비교 − 金宗直의 <遊頭流錄>과 宋濂의 <游鐘山記>의 경우 −" 온지학회 (57) : 89-117, 2018

      11 "遊頭流錄"

      12 "遊金剛錄"

      13 "遊金剛山記"

      14 "遊松都錄"

      15 "遊松都錄"

      16 "稗官雜記"

      17 문범두, "濯纓金馹孫의 <續頭流錄>攷 - 記述方式과 作家意識을 中心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51) : 429-466, 2007

      18 "松京錄"

      19 이훈, "再思堂 李黿의 산수 유람관과 「遊金剛錄」 연구" 26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3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3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