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향평준화” 현상의 실증 분석: 고입 전형방식에 따른 학생 성적 변화의 비교 = Can Competitive Entrance Exam Boost Students’ Test Scores? :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Policy and Intellectual Growth in High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1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ddress the issue that has been most seriously debated time after time in Korea for the last three decades or so. Is there any propensity for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o decline because they attend a high sch...

      In this study we address the issue that has been most seriously debated time after time in Korea for the last three decades or so. Is there any propensity for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o decline because they attend a high school without an entrance exam? Is a selective school more advantageous to high‐ranking students? To answer this questions, we compared the growth rates of students who enrolled in an entrance exam prohibited school, a non-prohibited school, and a selective school(i.e. Foreign Language & Science high schools). We analyzed a national sample data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administra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ducation (KICE) in 2001 and trial Scholastic Aptitude Test administered by KICE. The method we used is a kind of 3-level latent variable regression hierarchical linear model. We found that the claim of “Equal Dull‐Brained Policy” does not coincide with our data. There were no sector effects and no sign of declining growth rates over time among the most able students in prohibited schools.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schools in the no‐entrance exam sector are superior to those in the other groups. In fact, intellectual growth seems to be mostly determined by initial status levels at 10th grade or earlier achievement. An increase in test scores depends a lot more on other factors than on the admission policy. Therefore, we are just suggesting that we should investigate how to improve individual school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교평준화 정책의 이른바 “아킬레스 건”이라고 할 수 있는 성적 하향화 현상을 다룬다. 고교평준화 정책으로 학생들의 실력이 내려갈 것이란 우려는 정책 시행 초기부터 끊이...

      이 연구는 고교평준화 정책의 이른바 “아킬레스 건”이라고 할 수 있는 성적 하향화 현상을 다룬다. 고교평준화 정책으로 학생들의 실력이 내려갈 것이란 우려는 정책 시행 초기부터 끊이지 않고 제기되었다. 그렇지 않다는 실증 연구가 있었으나, 성적 하락 현상에 대한 걱정과 우려는 오히려 점점 더 심해졌다. 이 연구는 이러한 우려가 사실과 일치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글이다. 구체적으로 추첨배정(평준화) 방법으로 고교에 입학한 학생과 경쟁적인 입시(비평준화)를 통해 입학한 학생 사이에 고교 3년 동안 성적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01년 시행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자료와 모의수학능력시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다층모형의 3-수준 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추첨배정 학교 학생들의 성적 하향화 현상은 지지되지 않았다. 고입 단계에서 성취 수준의 차이는 나타났지만, 3년간 성적 변화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의미 있는 발견에도 불구하고, 이 분석은 엄밀한 의미의 종단설계에 기반하지 않았고, 평준화 학교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갖는다. 단순히 평준화와 비평준화라는 이분법을 지양하면서 다양한 입시방식에 따라 차별화되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과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 그리고 그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변화를 다루는 국가수준의 엄밀한 종단설계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동섭, "학교 컨설팅" 학지사 2002

      2 김기석,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3 강태중,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24 : 15-28, 2001

      4 김광억, "입시제도의 변화: 누가 서울대학교에 들어오는가?"

      5 성기선, "고등학교 평준화정책과 학력하향화 현상과의 관련성 분석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121-135, 2002

      6 성기선,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26 (26): 149-168, 1999

      7 김태종, "고교평준화 정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개혁연구소 2003

      8 강영혜,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실태분석, 정책효과의 검증 및 개선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9 윤종혁,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03

      10 Spiegelhalter,D.,A.Thomas,N.Bets,and D.Lunn, "WinBUGS:windows version of Bayesian inference using Gibbs sampling,version 1.4,User Manual.MRC Biostatistics Unit" 2003

      1 진동섭, "학교 컨설팅" 학지사 2002

      2 김기석,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3 강태중,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24 : 15-28, 2001

      4 김광억, "입시제도의 변화: 누가 서울대학교에 들어오는가?"

      5 성기선, "고등학교 평준화정책과 학력하향화 현상과의 관련성 분석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121-135, 2002

      6 성기선,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26 (26): 149-168, 1999

      7 김태종, "고교평준화 정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개혁연구소 2003

      8 강영혜,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실태분석, 정책효과의 검증 및 개선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9 윤종혁,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03

      10 Spiegelhalter,D.,A.Thomas,N.Bets,and D.Lunn, "WinBUGS:windows version of Bayesian inference using Gibbs sampling,version 1.4,User Manual.MRC Biostatistics Unit" 2003

      11 Seltzer, "Using new developments in growth modeling to gain insight into the distribution of achievement within schools" 25 : 263-286, 2003

      12 Goldschmidt, "Using Hierarchical Growth Models to Monitor School Performance over Time: Comparing NCE to Scale Score Results" CRESST/UCLA 2004

      13 Rumberger, "Multilevel models for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In D. Kaplan (ed.),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Sage 2003

      14 Choi, "Modeling heterogeneity in relationships between initial status and rates of change" CRESST/UCLA 2005

      15 Coleman, "High school achievement: Public, catholic and private schools compared" Basic Books 1982

      16 Raudenbush, "Hierarchical linear models" Sage 2002

      17 Coleman,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18 정구향, "2002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연구: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9 채선희, "2002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연구 :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